국민의당, 맨 처음 사용한 사람은 김종인의 할아버지 김병로
아니러니하게 안철수 멘토였다가 이제는 경쟁자가 된 김종인(민주당)의 할아버지가 속한 당 이름이 바로 '국민의당' (1963~64)이었다. 국민의당을 만든 사람들은 김종인의 할아버지인 김병로, 허정, 김도연, 이범석 등이었다. 61년 군사쿠데타를 일으킨 박정희 공화당 후보를 63년 10월 15일 대선에서 이기고 군정을 끝내기 위해서, 민정당 (윤보선), 신정당 (허정), 민우회 (이범석) 등 갈라진 야당들이 하나로 통합하기로 결의하고 만든 당 이름이 바로 국민의당이었다. 국민의당은 1963년 7월 15일에 발족했으나, 후보 문제로 이견을 좁히지 못하다가, 9월 14일에야 비로서 창당을 하게 된다. 하지만 민정당의 윤보선은 불참하게 되고, 신정당과 민우회만 합쳐서 국민의당 을 만든다. 윤보선과 민정당에서 함..
2016. 1. 15.
선거 슬로건을 만드는 과정,우리는 왜 열심히 일해도 부자가 되지 않는가? 돈 도둑놈들이 있는 건 아닐까?
원시2011.09.27 17:58분위기 조금 가볍게~ 을이 슈퍼 갑에게 당당할 수 있는 세상'=> 우리 당 망하겠다 ㅜ.ㅜ. 하하하... 도대체 을이 뭐고, 갑이 뭔지? 하면서, 이장규어투를 다 마스터하고, 이제 다른 나라 사람들과 우리 나라 국민들에게 도 가능한데, 이상한 "갑" "을" 그리고 그 앞에서 들고 나오시니, 또다른 언어 배워야 하나? ㅎㅎ 차라리, 주식투자, 펀드, 저축은행 등 예금 안해도, 우리 얘들 등록금 걱정없는 세상 ~ 뭐 이런 것으로 가야지 않을까요? 이 댓글을수정 삭제 댓글이장규2011.09.27 18:23공무원이 아니라도 많이 씁니다 ^^. 그리고 갑을관계가 폐지되는 세상이 당연히 제일 좋지만그건 자본주의 철폐와 거의 비슷한 수준의 이야기인데요? ^^이 댓글을 댓글 원시2011..
2016. 1. 15.
1987년 1월 14일, 박종철의 죽음, 그 아부지는 왜 할 말이 없다고 했을까?
그 아부지는 왜 할 말이 없다고 했을까? 언젠가부터, 먼저 간 사람들이 더 행복한 삶을 살다가 갔지 않았나? 그런 생각이 든다. 그렇게 현실을 오래 산다거나, 또 주어진 생명의 시간을 다 채운다거나 하는 게 을 의미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 때 데모가 값싼 경력 한 줄이 되고, 고귀하게 팔려 나가지 못했다. 한국의 독특한 정서, 구속된 자식들의 부모들이 가 된다는 것이다. 난 그걸 보면 이 지구상에서 가장 보기 힘든 어떤 어떤 접착제의 원형질을 보는 것 같다. 가족의 소소한 나들이 사진, 그 속 주인공들, 선하게 생긴 사람들이 눈에 들어오다. 그리고 그것들은 2012년 이 나침반 상실, 어처구니없는 정치판과는 대조가 된다. 세월이 흘러 우파는 전 세계적으로 되는데, 오히려 개혁이니 진보니 자유주의 외치는 ..
2016. 1. 14.
서울을 바둑판처럼 쪼개다. 동네 지도와 동네 민주화 운동 메모
동네 민주화- 페친이 올려주신 구로 가리봉동 근처 기획이다. 이 강의 내용은 모르니까 그에 대한 소감을 쓸 수 없고, 그 가리봉 오거리에 대한 몇 가지 기억들을 쓴다. 내 전문분야는 아니지만, 2000년 이후 한국에 진보정당이 들어서고 나서, 나에게 가장 중요하게 떠오른 주제였고 지금도 그렇다. 객관적으로 요구되는 정치적 임무는 늘 나를 앞서고, 난 뒷북을 치다. 당장 할 수만 있다면, 한반도 모든 땅,물,공기,나무를 1미터 간격으로 잣대로 바둑판처럼 실측해서,사람과 자연,집,빌딩,차,움직이는 것과 정지해 있는 것들의 '권력관계'를 심층적으로 민주화하는 운동을 할텐데. 누군가는 이걸 하고 있을테고 희망이 있을 것이다. 서촌,낙골,성미산이건,이름모를 아파트이건 간에. 3D 설계를 하는 공학박사에게 물었다...
2016. 1. 10.
호남민심의 정의, 광주 삼성 김치냉장고 생산라인 베트남으로 이전, 해고 위험 노동자들에 대한 대책은 마련했는가?
호남 민심이란 무엇인가? 민주당, 새누리당, 안철수신당 모두 국회의원 취직에 더 관심이 많다. 그 일례로 안철수 의원은 민주당을 탈당하고 나서 부산,광주를 방문했을 때, 호남의 한을 풀겠다면서, 정치적 퍼포먼스를 했다. 광주은행에 안철수 통장을 하나 만듦으로써. 그런데 실제 광주는 그나마 적은 '제조업' 공장마저 해외 이전을 하고 있고, 그 연관 부품업체 중소기업들은 '유동성 위기'에 빠져 돈을 구하지 못해 도산 위험에 빠져있다. IT건 제조업이건 농업이건 '균형'을 맞추는 게 중요하고, 이러한 해외 이전에 대한 방비책이나 실업 위험성에 대비하는 것이 절실한 과제이다. 삼성전자는 2010년에 세탁기, 2014년에 청소기 공장 설비를 광주에서 베트남으로 이동시켰다. 올해 삼성전자는 김치냉장고 설비 라인을 ..
2016. 1. 7.
중국 시진핑 도서목록, 네티즌에게 화제 대상.
시진핑이 읽고 있는 책 목록들이 소개되다. 중국 중앙 텔레비전에서 시핀징 집무실을 촬영한 것을 네티즌들이 보고 온라인을 통해 알려졌다. 중국 문학, 현대 문학, 과학, 역사, 국제 정치-외교 등 다양하다. 루쉰(鲁迅), , 라오 쉬(老舍) 와 같은 중국 작가들, 을 쓴 윌 듀란트, 아리엘 듀란트 부부 헨리 키신저 르네 데카르트 중국 사람들이 시진핑이 읽고 있는 책들에 관심이 있는 이유는, 중국인들이 중국의 전통 문화, 현대 중국, 그리고 세계(사)를 깊이 이해하고자는 욕구가 있다. 루쉰 (Lu Xun), 라오 쉬 (Lao She)을 쓴 윌 듀란트, 아리엘 듀란트 부부헨리 키신저 (Henry Kissinger)르네 데카르트 (Rene Descartes) 출처: 인민일보 : http://en.people.c..
2016. 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