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일. 이재명 40%, 윤석열 40%, 심상정 2%, 안철수 9% (4개사 조사) . 국정안정론 42%, 정권 심판론 (45%)
조사기관 - 엠브레인 퍼블릭, 케이스탯 리서치, 코리아 리서치, 한국 리서치 4개 회사 공동조사. 면접원 안심번호 2월 28일~3월 2일. 이재명 40%, 윤석열 40%, 심상정 2%, 안철수 9% 성별 특징. 윤석열 남자 42%, 여성(37%) 심상정 (남성 1%, 여성 4%) 차이 발생. 연령 특징. 18~20대. 이재명 26, 윤석열 33%로 윤이 7% 앞서. 심상정 5%, 안철수 20%. 안철수 사퇴 표 분할이 관심. 30대의 경우, 이재명 41%, 윤석열 33%를 8% 앞섬. 40대의 경우 이재명 59%, 윤석열 23%로 26% 격차. 그러나 60대 이후는 윤석열이 21~33% 격차로 이재명에 앞섬. 서울. 이재명 36%, 윤석열 40%로 4% 윤이 앞섬. 심상정 2%, 안철수 11%. 안철수 ..
2022. 3. 7.
[2022 대선, 충북] 이재명 38, 윤석열 42.2, 심상정 3.0, 안철수 10.5, 안철수 사퇴 표심 미정.
자료 1. 충청북도 대선 후보 여론조사. 안철수 사퇴로 안철수 지지가 상대적으로 높은 충북 표심, 오리무중이다. 이재명 38, 윤석열 42.2, 심상정 3.0, 안철수 10.5 충북 특징. (1) 18~20대 안철수 지지 26%로 이재명 26.8%, 윤석열 29.6% 3자 균일 구도. 심상정 8.1%. 30대의 경우 이재명 38.6%, 윤석열 31.3%, 안철수 18.3%, 심상정 2.5%로 민주당이 앞섬. 주부 윤석열 58.3,이재명 31.9로 주부 층이 국힘 지지율이 높아졌다. 학생 층은 안철수 29.2%, 이재명 24.5%, 윤석열 26.9%, 심상정 10.8%로 안철수가 가장 높지만, 네 후보가 다 10%가 넘어 가장 균등하게 분할했다. 정의당 지지자들 중, 이재명 37.5%, 윤석열 6.7%, ..
2022. 3. 6.
윤석열 '무주택자라서 청약통장을 못만들었다' , 주 120시간, 부정식품 먹을 자유, 손발노동은 아프리카 후속작. 근본 이유는 정당활동 경험없어, 이념,철학,정책노선,민주적 토론 훈련 부족.
한국 민주주의의 미래를 위해, 10대 청년들의 자유로운 '정당 활동'을 보장해야, 제 2의 윤석열, 최재형 사태를 예방할 수 있다. 윤석열, 최재형, 더 나아가 홍준표 등 '말 실수'는 단순 말실수가 아니라, 지배자의 정신세계를 투명하게 보여준 것이다. 윤석열 발언 문제점 1) 주 120시간 노동, 화끈하고, 그 다음에 놀자. 2) '부정식품'을 먹을 자유를 정부가 가로막아서는 안된다. , 3) ‘손발노동은 인도도 이제 하지 않고, 아프리카나 하는 것' 에 이어서 4) '무주택자라서 청약통장을 만들지 못해' 등. 셀 수 없을 정도로 윤석열 발언들이 논란이 되고 있다. 그 이유는 정당 활동 무경험에서 비롯된다. 국정운영을 목표로 하는 정치집단으로서 '정당'에서 한 당원으로서 정당의 이념, 철학, 정책노선,..
2021. 9. 24.
윤석열 대선 후보 기자회견 - 특징들 (1) 조국 '언급 0', (2) 정치노선 자세히 보면 김대중 정부와 거의 유사하다 (3) 국민의힘과 가치관이 같다고 했지만, 국힘은 '성장과 복지 균형' 실천한 적 ..
윤석열 대선 후보의 기자회견을 들으면서 메모 1. 윤석열 컨셉이겠지만, 조국 장관 이름을 한번도 언급하지 않았다. 2. 윤석열의 연설을 듣다가 직감적으로 느낀 것은, 국민의힘 후보로 나오는 줄 알았는데, 김대중 정부 집권시기 정책 내용과 거의 다르지 않았다는 점이다. 윤석열의 '자유민주주의 강조', 산업화와 민주화라는 상식. 이것은 김대중 정치노선과 동일하다. 특히 1998년 대통령이 당선된 이후 김대중 노선과 거의 같다. 정치세력과 민주당-국힘의 대결처럼 보이지만, 윤석열 사건은 '민주당 내 분열적 성격'을 지닌다. 다만 윤석열과 김대중의 차이는, 후자의 경우, 인동초 드라마 요소가 다양했다는 점이고, 전자는 드라마 주제가 단순하다는 것이다. 3. 윤석열이 국민의힘과 자기 정치적 가치가 유사하다고 말했..
2021. 6. 29.
윤석열 기자회견 분석 - 문재인 소득주도성장 비판했지만, 윤석열의 '지속가능한 성장' 개념, '성장과 복지 공존' 주장은, '소득주도성장' 개념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윤석열 "경제상식을 무시한 소득주도 성장"이라고, 문재인 정부 소득주도성장정책을 비난했다. 그래놓고는, 윤석열은 자신은 "성장과 복지는 서로 선후문제가 아니고, 성장과 복지는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하나가 되어야 한다"고 했다. 이런 윤석열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복지의 균형'이 지난 40년 넘게 미국 학계와 정치 지배자들의 신자유주의 노선을 비판하면서 나온 "소득(임금) 주도성장"개념이다. 본질적으로는 같은 말이다. 소득주도성장론 정책은 민주당 문재인의 대선 선거용이었고, 실천된 바 거의 없다. 대충 들으면 무슨 '국힘'과 '민주당'이 엄청난 차이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내용을 들여다보고, 단어를 뜯어보면, 차이가 사라진다. 그리고 논리적 정합성도 떨어진다. 이렇게 되면, '나 때린 놈 미워서, 힘을 길..
2021. 6.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