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내란. 여론조사.
내란죄와 외환의 죄에 대해서는, 대통령도 형사불소추권을 박탈당한다.
그래서 윤석열은 경찰,검찰,공수처의 '내란죄' 혐의 수사 대상이다.
윤석열 탄핵 찬성 69%, 헌법재판관 임명해야 56%
입력 : 2024.12.31 14:03 수정 : 2024.12.31 19:51심진용 기자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에서 가결된 지난 14일 국회 앞에서 열린 국민촛불대행진에 참석한 시민들이 탄핵안 가결 소식에 응원봉을 흔들고 있다. 권도현 기자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계속되는 정국 혼란 속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요구하는 민심은 뚜렷했다. 윤 대통령 탄핵과 그 심판을 맡을 헌법재판관 임명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과반을 차지했다. 헌법재판관 임명을 사실상 거부한 한덕수 국무총리에 대한 국회 탄핵소추안 가결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도 국민 다수를 차지했다.
경향신문이 여론조사기관 메타보이스에 의뢰해 지난 28~29일 전국 18세 이상 성인 10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응답자 69%는 헌법재판소의 윤 대통령 탄핵 인용에 찬성했다. ‘매우 찬성한다’는 응답이 58%로 조사됐다. 탄핵 반대는 28%에 그쳤다. 중도층도 76%가 탄핵 인용을 지지했다. 윤 대통령 구속 수사 필요성에 공감한다는 응답은 66%로 나타났다.
앞서 윤 대통령은 지난 3일 45년 만에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선포 2시간30분 만에 국회 의결로 비상계엄은 해제됐지만 혼란은 이어지고 있다. 지난 14일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27일에는 한덕수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 탄핵안이 국회를 통과했다. 대통령 권한대행까지 탄핵소추로 직무가 정지된 것은 유례 없는 일이다.
한 총리 탄핵안 가결에 대해 응답자 55%가 잘한 일이라고 응답했다. 잘못한 일이라는 응답은 40%로 조사됐다. 한 총리 탄핵안 가결은 헌법재판관 임명 문제에서 비롯했다. 한 총리가 지난 26일 ‘여야 합의’를 앞세워 국회 추천몫 헌법재판관 3명의 임명을 거부하자, 야권은 이튿날 바로 한 총리 탄핵안을 가결했다.
권한대행을 이어받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헌법재판관 3명을 임명해야 한다는데 응답자 56%가 찬성했다. 한 총리 탄핵안 가결을 긍정 평가한 응답 비율과 비슷한 수준으로 조사됐다.
[신년 여론조사]윤석열 탄핵 찬성 69%, 헌법재판관 임명해야 56%사진 크게보기
조기 대선 가능성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차기 대통령감을 두고는 이재명 민주당 대표를 꼽은 응답이 3명 중 1명꼴(33%)로 가장 많았다. ‘없음·잘 모름’ 답변이 31%를 차지한 가운데 다른 후보들이 한 자릿수를 기록했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7%), 김문수 고용노동부장관·오세훈 서울시장(각 5%), 홍준표 대구시장(4%) 순이었다.
비상계엄 사태 이후 대통령 권한을 분산하는 방안으로 개헌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헌법 개정에 대해서도 국민 다수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2025년 안으로 개헌을 해야 한다는 응답이 38%를 차지했다. 2026년 지방선거 때 개헌하자는 응답이 22%, 지방선거 이후 개헌을 하자는 응답이 13%로 조사됐다. 개헌할 필요가 없다는 응답은 18%에 그쳤다.
헌법을 개정할 경우 가장 중요한 과제로는 현행 5년 단임 대통령제 개정을 꼽은 응답이 36%로 가장 많았다. 뒤를 이어 기본권 권리 보장이 25%, 헌법 전문에 5·18 정신 명문화가 14%로 조사됐다. 북한을 포함해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대한민국 영토로 규정한 헌법 규정을 현실화해야 한다는 응답도 7%로 나타났다.
[신년 여론조사]윤석열 탄핵 찬성 69%, 헌법재판관 임명해야 56%
경향신문은 여론조사 전문기관 메타보이스에 의뢰해 지난 28일부터 29일까지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2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작위 전화면접방식이었다. 대상자 표집은 2024년 11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에 따라 성별, 연령대별, 권역별 비례할당 후 무작위로 추출했다. 응답률은 19.8%이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이다. 통계표 값은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해 세부 항목 합이 99%나 101%로 나타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