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비교/국제정치556

2020 김종대 ,헨리 키신저 만남 , 사인 받았다고 함. 전범 War Criminal 에게 사인받는 게 진보정당 의원이 할 일인가? 2020 김종대 ,헨리 키신저 만남 , 사인 받았다고 함. 전범 War Criminal 에게 사인받는 게 진보정당 의원이 할 일인가? [세상 읽기] 미 대선 이후 열릴 기회의 창 / 김종대 등록 2020-11-05 14:37 김종대 l 연세대 통일연구원 객원교수 2년 전 여름, 필자는 뉴욕에서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을 만난 적이 있다. 95세의 이 노인은 당시 낙관적 전망이 팽배하던 북-미 대화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왜 미국과 북한의 비핵화 협상이 성공할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섣부른 기대는 하지 말라, 중요한 것은 한국 국민의 의지다. 트럼프만 믿지 말고 한국이 평화를 만들겠다는 의지를 굳혀라.” 2019년에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되고 난 후 키신저의 말은 아프게 다가왔다. 국가의 중장기적인.. 2023. 11. 21.
팔레스타인 -이스라엘 전쟁사. '검은 9월단', PLO의 무장 투쟁. 제 4차 아랍-이스라엘 전쟁과 협정. 요르단 후세인 국왕의 이해관계 1) 이스라엘과도 친분을 쌓으려고 함, 2) 급진적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왕조를 타도하려고 할 것을 우려. 아라파트는 레바논 국경에서 이스라엘과 교전을 벌일 계획 수립. 아라파트 ‘파타’의 정치 노선, 요르단이나 레바논, 쿠웨이트 등 파타의 근거지에서 국내정치에는 개입하지 않으려고 함. 그러나 요르단 국왕은 ‘파타’의 봉건왕조 타도 노선을 우려함. 레바논 베이루트는 아라파트에게는 ‘파타’ 투쟁을 전 세계에 더 잘 홍보할 수 있는 공간이었음. 레바논 정부와 군대는 요르단보다 더 취약했기 때문에, ‘PLO’의 군사적 행동을 제어할 힘이 없었다. 1968~73년 사이 레바논 군대와 PLO 사이 군사적 충돌 발생. 그러나 충돌이 일어날 때마다 레바논 정부는 아라파트와 그의 후원자의 .. 2023. 11. 20.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전쟁사. 1968년 3월 21일. 카라메 전투 (Battle of Karameh) 이스라엘 군대의 전략적 패배와 팔레스타인 '파타'의 존재감을 아랍 세계에 알림. 팔레스타인들에게 왜 카라메 전투는 중요한가? 1. 카라메 전투, 1968년 3월 21일.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와 요르단 연합군이 이스라엘 방위군과 카라메에서 벌인 15시간 전투. 이스라엘군은 팔레스타인과 요르단 국경 근처에 있는 카라메(Karameh)와 사피(Safi)에 있는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PLO’ 기지를 동시다발 공격했다. 1967년 ‘6일 전쟁’ 패배로, 요르단이 서안지구를 이스라엘에 빼앗긴 이후, ‘팔레스타인’ 독립운동 단체 PLO 전사들은 근거지를 요르단 국경 마을 카라메로 옮겼다. 이스라엘의 급습 목표는 카라메의 아랍 게릴라 캠프를 제거하고 ‘파타’ 지도자 아라파트를 체포하는 것이었다. 또한 이스라엘은 아랍 게릴라들에게 장소를 제공한 요르단을 응징하고자 했다. 3월 21일 새벽 이.. 2023. 11. 20.
PLO의 최대정파 , 팔레스타인 민족해방 운동 '파타' Fatah' 1959~1962년 출범. 67년 3차 아랍-이스라엘 전쟁 결과, 나세르 아랍민족주의 쇠퇴와 '파타'의 새로운 길. 1958년 2월 시리아와 이집트를 합쳐 하나의 아랍 공화국 UAR이 탄생했다. 그러나 이러한 연합의 이면에는 이 아랍 세계의 권력투쟁이 있었다. 시리아-이집트 연합 아랍공화국은 오래 가지 못하고, 1961년 9월 시리아는 이집트로부터 독립했다. 이스라엘과 요르단 후세인 왕의 친-서방 정책 때문이었다. 이러한 지정학적 국제정치 상황 속에서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독립적인’ 운동 움직임이 활발해짐. 1959년 3월, 이집트 나세르가 “팔레스타인 국가 Palestine Entity” 구호를 주창하면서, 정치 행동을 감행하고 어떠한 경우에도 이집트의 이해관계를 관철시키는 팔레스타인 정치조직을 건설하려고 했다. 팔레스타인 안에도 ‘아랍 민족주의 운동’의 지부들이 생겨났다. 칼레드 알-하산 (Khaled al-Has.. 2023. 11. 20.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전쟁사. 1956년 제 2차 아랍-이스라엘 전쟁 (수에즈 운하) 이집트 대 (이스라엘,프랑스,영국 연합) . 영국과 프랑스의 퇴조, 소련과 미국의 국제질서 재편 시작 , 제 2차 아랍-이스라엘 전쟁 (수에즈 운하 ) 1956.oct29-nov 7. 이집트의 왕조 타도, 나세르 이집트 대통령으로 등극 이후, 미국과 소련 사이 외교 경쟁. 프랑스,영국, 이스라엘은 나세르 정부를 타도하기 위한 계획 수립. 와 나세르 등장 1952년 7월 혁명, 자유장교단 쿠데타. 파룩 (Farouk) 왕 축출. (1952년, 자유 장교단 쿠데타 이후, 왼쪽 나세르, 가운데 모함메드 나구입) (The Free Officers after toppling the monarchy, 1953. Counterclockwise: Zakaria Mohyeddin, Abdel Latif Boghdadi, Kamal Eddine Hessien (standing), Nasser (seated), Abdel .. 2023. 11. 19.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전쟁사. 1948년 1차 아랍-이스라엘 전쟁에서 아랍연합국의 패배 이후, '팔레스타인 민족해방 기구=파타 Fatah' 맹아 1959년. 팔레스타인들은 아랍국가들에 의존하지 않고 ‘팔레스타인 민족 해방 기구, 파타 Fatah’를 결성했는가? 파타의 등장. Fatah (팔레스타인 민족 해방 기구)의 뜻. 파타는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PLO’ 안에 최대 정파이자, 1970년대 이후 2006년 총선에서 ‘하마스’가 1당이 되기 전까지 팔레스타인을 대표하는 ‘정당’임. 파타 등장 배경. 1967년 제 3차 아랍-이스라엘 (6일 전쟁)에서 아랍권의 패배 이후,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요르단, 레바논, 이집트,시리아 등 주변 아랍국가들의 도움 없이 독립적인 국가를 수립해야겠다는 각성을 하게 된 동기.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갈등의 역사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의 갈등의 뿌리는 1917년 밸포어 선언 (Balfour)부터 비롯된다. 밸포어 선언이 1948년.. 2023. 11. 19.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전쟁사. 1936년 팔레스타인 대반란 이후, 1936년 4월 25일 ‘아랍 고등 위원회’가 창설됨.아민 알-후세이니 의장.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전쟁사 1936년 팔레스타인 대반란 이후, 1936년 4월 25일 ‘아랍 고등 위원회’가 창설됨. (보충 내용) 영국 통치에 저항해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이 일으킨 반란.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의 요구는 아랍 독립과 유태인 이민정책 종식, 그리고 유태인의 토지 구매 중단, 유태인 민족국가 수립 반대 등이다. 1차 세계대전 이후 영국의 지배가 시작된 이후, 유태인 인구는 5만 7천명에서 1935년 32만으로 증가했다. 팔레스타인 소농,펠라(Fellah)의 빈곤 문제 발생, 토지없는 펠라의 도시 이동. 1920년대 이후, 아랍인들과 유태인들 간의 갈등, 소규모 전투가 발생. 카사미 대원이 유태인 2명을 살해한 후, 이에 대한 보복으로 유태인들이 2명의 아랍 노동자들을 살해함. 이를 계기로 전국적 전투로 확산됨. ‘아랍 고.. 2023. 11. 19.
이슈브. Yishuv (시온주의 zionism 이전부터 팔레스타인 지역에 살았던 유태인) 1.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전쟁사 이슈브 Yishuv . 이슈브 뜻. 시온주의 이전, 1948년 이스라엘 국가 수립 이전에 팔레스타인에 살았던 유태인들을 의미함.1880년대 2만 5천명의 유태인들이 거주함. (이민으로 인해 1948년에는 유태인이 63만명에 육박) 구 이슈브 거주지역, 예루살렘, 사페드, 티베리아스, 헤브론 주로 하는 일, 유태인 경전 토라 (the Torah) 공부. 디아스포라 유태인들의 기부금으로 생활. 디아스포라 도시의 유태인들이 위원회를 만들고, 가바이 (gabbai)가 그 위원회를 운영하면서, 예루살렘으로 필요한 돈을 보내줌. 예루살렘의 유태인들이 그 기금 (할루카 Halukkah)를 받으며 생활하고, 경전 토라를 공부함. 1895년 예루살렘, 유태인들, 손에 유태인 경전 토라(Torah)를 들고 있다. 1870.. 2023. 11. 19.
팔레스타인 피해 상황 세계보건기구(WHO) - 하루 물 필요량 50~100리터 권고. 팔레스타인 3리터로 생활. 유엔. 팔레스타인 거주지 (enclave) , 건강-보건의료, 위생시설, 물, 식량 공급 한계점에 다다름. 세계보건기구(WHO) - 하루 물 필요량 50~100리터 권고. 팔레스타인 3리터로 생활.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에 '연료'와 '에너지' 공급 봉쇄로 병원 전력공급난, 병원기능 중지. 매일 180명 임산부가 출산, 제 때 치료를 받지 못해 임산부 사망율, 신생아 사망율 높아짐. At least 180 women are giving birth each day. Maternal and neonatal deaths have escalated due to the lack of critical care. | Israel-Palestine conflict More than a month without water.. 2023. 11. 13.
이스라엘 전쟁 범죄.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에 투하한 폭탄량 2만 5천톤 - 비교 2차 대전 미국이 일본 히로시마 핵폭탄 1만 5천톤의 거의 2배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에 투하한 폭탄량 2만 5천톤 - 비교 2차 대전 미국이 일본 히로시마 핵폭탄 1만 5천톤 정도. 발표 기관. Euro-Med Human Rights Monitor 제 4차 제네바 회의 53조. 군사 작전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점령세력이 개인, 국가, 공공 기구, 사회적 협력적 기구에 속한 재산을 파괴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 이스라엘 군이 민간 주택 지역에 폭격을 가한 것은 전쟁 범죄에 해당한다. 집단 학살 genocide 이다. 유엔 인도주의 사무국, WHO 기구 조사, 이스라엘 폭격으로 인한 팔레스타인 피해 현황 가자 지구 주택의 50%, 22만 2천 가구 훼손. 4만 가구는 완전 붕괴. 278개 학교 폭격 270개 병원 폭격 69개 종교 사원 (이슬람 모스크와.. 2023. 11. 13.
팔레스타인 알-시파 병원장. 모함마드 아부 살미야 (Mohammad Abu Salmiya) 발표. 전기,물,산소 없어 수술 못해, 병원 기능 상실. 알-시파 병원 전력 공급 부족으로 미성숙아 6명, 9명 환자 사망 알-시파 병원 안에 수천명 갇힘. 이스라엘 군 공격으로 1만 1100명 팔레스타인 사망자 발생. 하마스의 공격으로 이스라엘 사망자 1천 200명 알-시파 병원장. 모함마드 아부 살미야 (Mohammad Abu Salmiya) 발표. 전기 공급, 물, 산소가 없어 수술을 진행하지 못한다. MRI 기계 작동 못해. 병원 기능 상실했다. 미숙아들 사망. 출처: 알 자지라 인터넷 뉴스 Premature babies are dying at Gaza’s al-Shifa Hospital ‘Genocide in slow motion’: Doctors condemn Israel’s advance on Gaza’s al-Shifa Hospital, as p.. 2023. 11. 13.
이스라엘 , 팔레스타인 시파 병원 (Shifa) 폭격. 국제 형사 법원의 판단. Hospitals have special protection under the rules of war. Why are they in the crosshairs in Gaza? 이스라엘, 시파 병원 폭격, 인큐베이터 신생아, 환자들까지 사망. 이스라엘은 하마스가 팔레스타인 병원 지하에 군사시설을 만들어놓고, 병원을 방패막이로 이용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증거 제시는 못함. 국제 형사 법원 검사 카림 칸 Karim Khan 에 따르면, 전쟁 기간 병원, 학교, 종교 사원은 전쟁으로부터 '보호 대상'인데, 만약 이것들을 공격하려면, 총격을 가하고, 미사일과 로켓을 발사한 자들이 학교, 병원, 사원들이 보회지위를 상실했다는 증거를 제시해야 한다. 증거 제시 기준은 매우 엄격하다.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병원 폭격은 국제사회의 비난을 받고 있음. 병원을 공습하는 광경은 처음 봄. 출처: AP 뉴스 https://apnews.com/article/israel-hamas-war-gaza.. 2023. 11. 13.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전쟁. 하마스 등장의 역사적 배경. 파타와 하마스의 갈등의 이념적 뿌리들. 나세르 아랍민족주의. 바티즘. 무슬림 형제단. 하마스. 이슬람 지하드. 성전(jihad)의 기원 3장. 파타와 하마스 갈등의 이념적 뿌리들 하마스와 파타의 이념적 차이는 무엇인가? 1980년대는 이슬람 근본주의가 아랍 세계를 휩쓸다. 하마스 역시 팔레스타인에 이슬람 국가를 수립할 것을 목표로 하다. 파타 입장 – 탈종교,세속주의적 아랍 민족주의와 팔레스타인 민주국가 수립. 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1980년 이전, 특히 1960년대는 아랍인들은 탈종교 세속주의적 민족주의를 내세웠다. 파타 (Fatah) 역시 이러한 시대 흐름 속에서 팔레스타인에서 ‘세속주의적 민주 국가’ 수립을 목표로 삼았다. 하마스 입장 – 이슬람 국가 수립. 하마스의 이념. 팔레스타인 (혹은 아랍) 민족주의를 이슬람이라는 종교의 한 부분으로 해석하고, 팔레스타인 영토를 최후의 ‘심판’의 날이 올 때까지 미래세대를 위한 “이슬람 신.. 2023. 11. 9.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전쟁 일지. nov.3. AP 뉴스 Blinken urges aid for civilians as Israeli troops tighten encirclement of Gaza City BY THE ASSOCIATED PRESS Updated 10:33 AM GMT-4, November 3, 2023 U.S. Secretary of State Antony Blinken met with Israeli Prime Minister Benjamin Netanyahu on Friday to urge protections for civilians in the fighting with Hamas, as Israeli troops tightened their encirclement of Gaza City. Tensions escalated along t.. 2023. 11. 4.
팔레스타인 어린이들, 이스라엘 공습 폭격의 희생자들. 이스라엘의 전쟁 범죄. 지난 3주간, 3600명 어린이 사망. 팔,다리 잘린 생존 어린이들 어린이들이 전하는 팔레스타인 현실. https://apnews.com/article/israel-hamas-11-1-2023-children-killed-4a352398b32887e60a658e0270f0a021 More than 3,600 Palestinian children were killed in just 3 weeks of war In just 25 days of war, more than 3,600 Palestinian children have been killed in Gaza, according to the strip’s health authorities. They were hit by airstrikes, smashed by rockets, burned by blasts and crush.. 2023. 11. 3.
알기 쉬운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전쟁사 요약 - 알 자지라.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은 왜 싸우게 되었는가 | Israel-Palestine conflict What’s the Israel-Palestine conflict about? A simple guide It’s killed tens of thousands of people and displaced millions. And its future lies in its past. We break it down. Nakba 1948 people fleeing Palestinians carry their possessions on their heads as they flee from a village in Galilee about five months after the creation of the state of Israel in 1948 [File: Reut.. 2023. 11. 3.
이스라엘 전투기 가자 지구 유엔난민구호 학교 폭격, 불법 물질, 백색'인(phosphorus)' 투척. 이스라엘 전투기 가자 지구 유엔난민구호 학교 폭격, 불법 물질, 백색'인(phosphorus)' 투척. 0:46 / 1:29 Israeli warplanes hit UNRWA schools in Gaza with white phosphorus https://youtu.be/NNDikWhs50U?si=UYSjBfNPhPP5UbkO Middle East Eye 1.2M subscribers Nov 2, 2023 Israel used white phosphorus on UNRWA schools in the Beach refugee camp in Gaza City on Thursday. Thousands of displaced Palestinians are sheltered at the UN site. Alth.. 2023. 11. 3.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전쟁. 이스라엘 가자 지구 폭격. 파괴 건물에 묻힌 4명의 자녀를 구출하려는 팔레스타인 아버지 절규와 좌절. 4명 자녀를 잃은 한 아버지 절규. 이스라엘 가자 지구 폭격. 파괴 건물에 묻힌 4명의 자녀를 구출하려는 팔레스타인 아버지. A MAN LOST HIS 4 CHILDREN - HE CRIES AS HE ATTEMPTS TO DIG IN THE RUBBLE TO RESCUE THEM BUT ITS IN VAIN 출처. 참고 자료 Jackie Walker 인터뷰 https://rumble.com/v3t3tap-sulaiman-unsilenced.html 2023. 11. 3.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전쟁. 하마스 알-카삼 여단 공격 상황. 레바논 시아파 군사조직 헤즈볼라 (Hezbollah) 드론 2대로 이스라엘 군대 공격. 하마스 알-카삼 여단, 레바논 남부 전사들이 키르야트 시모나 (이스라엘 북부 도시) 산업 지역에 4개의 로켓을 발사, 2명 부상, 건물 파괴했다고 발표. 레바논 시아파 군사조직 헤즈볼라 (Hezbollah) 발표. 10월 31일 저녁 이스라엘 19곳 동시 공격. 레바논-이스라엘 국경 지대 분쟁 지역인 쉐바 농장에 주둔 중인 이스라엘 군대에 2대의 드론 폭탄 공격. 헤즈볼라의 최초 공식 발표. Hamas’s armed wing, the al-Qassam brigades, said its fighters in southern Lebanon were behind the shelling of the northern Israeli town of Kiryat Shmona, where four rockets land.. 2023. 11. 3.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전쟁, 외신보도 피해 현황. Nov 2. 팔레스타인 어린이 3760명 사망 포함, 9061명 사망.연료 공급 중단으로 가자 지구에서 유일한 암 병원이 서비스를 중단. -이스라엘의 가자 지구 폭격으로 팔레스타인 어린이 3760명 사망 포함, 9061명 사망 -바레인 하원 발표. 바레인과 이스라엘 모든 경제적 교류 단절. - 바레인 (Bahrain)은 이스라엘과 몇몇 아랍국가들의 외교 정상화를 실현시킨 아브라함 협정의 최초 서명자들의 한 국가였음. 이스라엘이 가자 지구 부레이지 난민 캠프를 공습해, 최소 15명을 살해함. - 자발리아 난민 캠프에 대한 이스라엘 공습 2차례. 195명 팔레스타인 사망자 발생. 이스라엘군 수요일 공습은 하마스 대전차 미사일 부대 사령관 무하마드 아사르 (Muhammad Asar)를 타격하기 위함. 유엔 인권 사무국은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 자발리아 난민 캠프에 대한 이스라엘 군의 공습은 전쟁 범죄에 이를 수 있다고 발표. -유엔 난민 구호 기.. 2023. 11. 3.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전쟁사. 정의로운 전쟁의 3가지 기준. 정의로운 전쟁은 가능한가? 유엔 헌장에 따르면, 유엔 안보리의 승인없이 수행할 수 있는 전쟁은, '방위, 방어' 전쟁, 자위전쟁이다. 정의로운 전쟁 이론이 말하는 3가지 ‘정의로운 전쟁’ 기준들. 1. 정의로운 참전 (정당한 참전) 2. 정의로운 전투행위(전투행위가 갖춰야 할 조건들) 3. 정의로운 전쟁 종식 1. 정의로운 전쟁 개시. jus ad bellum [1] 전쟁주체는 도적떼나 히틀러와 같은 학살정권은 자격이 없고, ‘정당한 권위’를 가진 정치적 지도자나 집단(국가)여야 한다. [2] 전쟁은 최후의 수단이어야 한다. 모든 비폭력적 수단을 다 동원해서 갈등을 해결해야 하고, 외교, 제재,비군사적인 수단을 사용한 후에 마지막 최후 수단으로 전쟁을 사용해야 한다. [3] 전쟁선포는 정당한 대의명분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다른 .. 2023. 11.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