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비교/교육

대학등록금 60%가 부모가 조달. 대학생, 대학원생 10명 중 6명 (58.3%~61.2%) 장학금 25.4%에 불과. 대학무상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by 원시 2024. 11. 13.

 

대학등록금 60%가 부모가 조달. 대학생, 대학원생 10명 중 6명 (58.3%~61.2%) 장학금 25.4%에 불과.  대학무상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자녀 교육비 부담을 느낀다. 61%에 해당. 부담이 되지 않는다 10%

등록음 이외에 들어가는 교육비가 부담이다. 71.9%가 부담이다. 이는 사교육비까지 포함한 것으로 보임.

 

 

 

 

 

대학(원)생의 58.3%가 부모님(가족)의 도움으로 등록금을 마련함


□ 1학기를 기준으로 대학(원)생의 58.3%가 부모님(가족)의 도움으로 등록금을
마련했으며, 다음은 장학금(25.4%), 스스로 벌어서 마련(8.5%), 대출(7.7%) 순으로
나타남


◦ 대학(원)생의 등록금 마련 방법은 2년 전에 비해 부모님(가족)의 도움은 감소하고,
장학금, 스스로 벌어서 마련, 대출은 증가함


◦ 성별로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부모님(가족)의 도움, 장학금 순으로 높고,


다음으로 남학생은 대출, 여학생은 스스로 벌어서 마련 순임

 

 

 

 

 

19. 자녀 교육비 부담 인식

 


자녀 교육비가 부담스럽다는 응답은 2년 전보다 3.2%p 증가한 60.9%이며,
교육비 부담의 가장 큰 요인은 학교 납입금 외 교육비(71.9%)임


□ 자녀 교육비가 가정 경제에 부담이 된다고 응답한 가구주의 비중은 60.9%로
2년 전보다 3.2%p 증가하였음


□ 자녀 교육비 부담 요인은 학교 납입금 외 교육비가 71.9%로 가장 높음


◦ 주로 중·고등학교 자녀가 있는 30~50대의 경우는 학교 납입금 외 교육비 부담이
높고, 대학(원)생 자녀가 있는 60세 이상은 학교 납입금에 대한 부담이 높게 나타남

 

 

 

 

 

 

 

 

 

 

'정책비교 >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석열 정권과 최상목의 교육관을 비판한다. 고교 무상교육 국고지원 연장법 거부권 행사. 감세정책만 실시한 부작용이다. 전 세계 47개국 대학 등록금 무료 정책 실시 중이다. 공교육이라도 무상교육 실시해야 한다.  (2) 2025.01.19
국제학생 평가 프로그램(PISA) OECD 국가 성적 하락 이유. 핀란드,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뉴질랜드 등 교육개혁 필요성 대두. 그러나 수학과 과학이 인간의 행복과 공존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말하지 않음.  (5) 2024.11.28
온라인 매체 학습비중 41.7%, 젊은층이 많음. 직장인 필수(56.7%) 인문교양(37.3%), 어학 (26%), 시험준비(25.7%)  (7) 2024.11.13
대학교육 평가. 전공과 직업일치 37.3%, 불일치 39.6%. 대학원 졸업 일치(73.4%)  (1) 2024.11.13
한국인 기대하는 교육수준은 대학이상 (학생 84.5%, 부모 93.4%) 의미 = 대학교육 무상실시, 초,중,고처럼 '의무교육'화 하는 게 필요하다.  (1) 2024.11.13
교육 기회를 갖지 못한 이유들. 경제형편, 시험실패, 가족의 인식 부족. 남자와 여자의 차이.남자는 경제형편, 시험실패 등이 여자보다 더 많고,여자의 경우, 가족의 인식부족이 더 많다.  (4) 2024.11.13
통계청 '학습동기' 설문 조사의 문제점. 학습 목표에 대한 설문조사 문항 중에 누락된 내용들이 많다.  (1) 2024.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