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와 노동자의 '경영 참여'의 중요성.
LCB Gower,The principles of modern company law.
“근대 기업의 성장으로 인해 경제적 권력 집중이 발생했다. 이러한 경제권력은 근대 국가와 경쟁할 정도로 세졌다. 자기 이익이 걸려있을 때는 기업은 국가를 지배하려 했다. 따라서 회사법은 새로운 경제 국가를 위한 하나의 잠재적 헌법으로 간주될 것이고, 회사의 영업활동이 점차 경제적 정치가 덕목의 성격을 띠게 된다.” (벌리, 민즈 1932년. 근대 기업과 사적 소유 A.Berle and G.Means, The Modern Corporation and Private Property.p.357)
근대 저자들의 제안. 오늘날 대기업은 이윤의 극대화를 목표로 하지 않고, 수요와 공급 법칙의 명령을 따르기 보다는, 시장 조건과 소비자 수요의 창조자이다. 이게 옳다면, 우리 회사법 상당 부분을 재고해야 이론이 필요하다.
“The rise of the modern corporation has brought a concentration of economic power which can compete on equal terms with the modern state…. Where its own interests are concerned, it even attempts to dominate the state…. The law of corporations, accordingly, might well be considered as a potential constitutional law for the new economic state, while business practice is increasingly assuming the aspect of economic statesmanship.”
LCB Gower. The Principles of Modern Company Law.(London:Stevens).1969.3rd edition.
p.58.
A.Berle and G.Means, The Modern Corporation and Private Property.(1932).
독일 (당시 서독)에서, 회사 운영에 노동자 감독관 제도를 도입. 노동자 경영자 '공동결정 Mitbestimmung 미트 베슈팀뭉'.
독일의 회사 경영에서 노동자와 경영인의 공동결정 제도는 영국의 노동당 지도부를 포함해서 다른 유럽 국가들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
그 이후 '공동결정'에 대한 찬반 논란이야 당연히 있었음.
'정책비교 > 노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영환 해성운수 택시 노동자의 분신 이유. (1) | 2024.02.27 |
---|---|
바닷속. urchin 어친 (성게) . 성게 잡이. 뉴질랜드 (0) | 2024.02.24 |
노동소득 분배의 민주화 조건. 대기업과 중소기업(하청) 임금격차를 줄여야 한다. (0) | 2024.02.21 |
일터. 기획 기사 추천. 한겨레. 사람과 재산을 구하다 부상과 질병에 고통받는 소방관들. 누가 소방관들을 치유해야 하는가? (2) | 2024.02.05 |
중대재해 기업처벌법. 5명~49명 직장 83만 곳 적용. 산재예방 효과 기대. 노동부 장관 이정식 의 무책임한 준비부족 되풀이, 윤석열 회사측 논리만 반복. (0) | 2024.01.26 |
한국 노동운동사. 1990.1.22. 전노협 출범식 vs 김종필, 김영삼, 노태우 3당 합당 = 민자당 탄생 (0) | 2024.01.23 |
칼 막스 딸, 예니 율리아 엘레아노. 1855 년 1월16일 출생.Jenny Julia Eleanor "Tussy" Marx - Karl Marx’s youngest daughter, was born in London. (0) | 2024.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