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보정당_리더십/2025 조기 대선

리얼미터 63대선 여론조사. 민주노동당 권영국 - 전체 1.6% 학생. 민주당 이재명 23.8%, 국민의힘 김문수 32.3%, 이준석 36.7%, 권영국 민주노동당 2.2%

by 원시 2025. 5. 26.

리얼미터 63대선 여론조사. 5월 22~23일

 

대선에서 소수 진보정당의 대선 후보가 0.01% 득표를 증가시키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다.

전국적으로 1.6% 인데 최종 득표율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27일 제 3차 TV토론을 잘 하면, 더 많이 오를 것으로 보인다.

 

(1) 한국갤럽과 리얼미터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20대와 30대의 투표성향이 다르다. 오히려 30대가 정당별 지지 분포가  가장  '균형'적이다. 


(2) 이미 승부는 기울었고, 국힘 김문수는 패배할 것으로 보임. 중도층은 이재명 48.4%, 김문수 32.4%, 이준석 14.6%, 권영국 1.3%이다. 민주당 후보가 이재명이 아니었다면, 중도층에서는 격차는 더 커졌을 것임. 

(3) 학생층의 우경화와, 반민주당 정서, 탈진보 현상에 대해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학생. 민주당 이재명 23.8%, 국민의힘 김문수 32.3%, 이준석 36.7%, 권영국 민주노동당 2.2%

특히 민주노동당 권영국 2.2%는, 노동,녹색,정의당이 처한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4) 대선 후, '연대회의'와 민주노동당의 과제. 

진보정당들의 생존을 위해서도, 노동,녹색,정의당은 '청년층'의 문제를 심각하게 다뤄야 한다.

정당 통합과 새 문호 개방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실천해야 한다. 3개 정당의 '관성적 정당운영'을 이제 과감히 버려야 한다.


2012년 통합진보당를 둘러싼 정치적 오류들, 당 운동성 상실, 진보정당 정체성에 맞는 '리더십' 형성 실패.

이론과 실천의 낙후성, 비례대표 순번 받기로 전락한 당내 정파활동, 학습과 실천을 통한 '의견들의 통일성' 높이는 노력 부족.

 

 

 

민주노동당 권영국 - 전체 1.6% 

 

지역 서울 2.8%, 인천경기 1.7%, 부울경 1.5%, 대구-경북 2.5%, 광주전라 0.9%

연령별 18~29세 2.3%, 30대 4.7%,40대 1.1% , 50대 0.4%, 60대 0.6%, 70대 이상 1.3% 

30대가 가장 흥미롭다. 민주당 46.1%, 국힘 30.8%, 이준석 15.4%, 민주노동당 권영국 4.7% 

 

진보층 4.3% 

학생. 민주당 이재명 23.8%, 국민의힘 김문수 32.3%, 이준석 36.7%, 권영국 민주노동당 2.2%

여성. 민주당 이재명 47.5%, 김문수 40.2%, 이준석 5.4%, 권영국 2.2% 

 

 

 

'진보정당_리더십 > 2025 조기 대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치개혁. 총선제도. 국회의원 정수 증가, 비례대표 숫자 늘려야 한다는 여론이 늘어나고 있다. 국회의원 정수 300명에서 500명으로 증원을 반대하는 자들은 누구인가?  (0) 2025.05.27
정치 양극화라는 프레임의 오류. 국힘과 민주당의 '적대적 공존'을 설명하지 못한다. 경제적 소유권 문제를 다루지 않는다. ‘실질적 민주주의 실현’과 ‘절차적 민주주의’ 동시 달성을 설명하지 못한다.  (2) 2025.05.26
63 조기 대선. 민주당 후보가 약체 이재명이 아니었으면, 조기 대선은 이미 8 (비 국힘 전부 다 합친 거, 민주대연합 그런 단어 쓰지 않더라도) 대 2로 승부는 조기종결 되었을 것이다.  (1) 2025.05.26
언론보도. 이준석 언급한 캐나다 외국인 최저임금 차등적용…실행 1년 만에 폐지.캐나다는 티에프더블유피(Temporary Foreign Worker Program·임시외국인노동자제도)  (0) 2025.05.25
재분배 (세금)에서, 민주당 이재명의 상속세,금투세 등 퇴보 비판 방식, '증세없이 복지 가능하다' 허구론 비판. 1971년 김대중 장충단 공원 '부유세,사치세' 공약으로 내적 비판해야 함  (0) 2025.05.25
GDP 국내총생산, 경제성장 등이 공적 행복의 기준이 될 수 없는 이유  (0) 2025.05.22
최저임금의 본 뜻, 모든 직종들의 평균적인 ‘최소 임금’ 기준임. 최저임금을 노동자의 ‘기본 인권’으로 바라봄, 즉 직장에서 ‘생산성, 영업실적’에 기초한 ‘보상’ 개념이 아니다  (2) 2025.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