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정치/2025 개헌_의원내각제

우원식 국회의장 , 조기대선과 개헌 (1차) 동시 투표 제안 평가 (1) 조기대선 전에 국회는 '대통령 결선투표제'를 통과시켜야 한다 (2) 17개 광역단체에서 1000명 시민 참여 개헌 위원회 토론을 시작하자.

by 원시 2025. 4. 6.

우원식 국회의장 발언 정정사항 -개헌 과정
일요일 오후 우원식 국회의장이 '조기대선 일'과 동시에 개헌 국민투표를 하자고 제안했다. 우의장이 헌법발의 주체를 '대통령'과 국회의원 3분의 2라고 말했는데, 발의조건은 국회의원 과반수이고, 표결할 때는 재적의 3분의 2가 필요하다.

 

우원식 국회의장 , 조기대선과 개헌 (1차) 동시 투표 제안 평가 (1) 조기대선 전에 국회는 '대통령 결선투표제'를 통과시켜야 한다 (2) 17개 광역단체에서 1000명 시민 참여 개헌 위원회 토론을 시작하자. 


1. 우원식 의장 제안에 기본적으로 동의한다.


2. 그러나 더 시급한 것은 '조기대선'부터 제 2차 결선투표를 실시해야 한다. 국회는 속히 '대통령 선거법'을 개정해야 한다. 1차 대선에는 모든 정당 후보들이 출마해서, 민주주의 축제의 장으로 만들어야 한다. 1차 투표에서 1위가 50%미만일 경우, 제 2차 결선투표에서 1위와 2위가 맞붙게 해서, 반드시 50% 이상 대통령이 배출되게 하는 게, 국민 통합적 대통령, 즉 통치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낙후된 '후보 단일화' 이제 그만해야 한다.


3. 유권자 '개헌 논의'에 참여할 수 있게끔, 저번 KBS '총선 선거법 개정과 유권자 토론회' 처럼, MBC, KBS, sbs, YTN, Ebs 등 모든 공공 방송고 언론사에서 '개헌을 위한 국민 참여 토론회'를 개최해야 한다. 대선 30일 전까지 '토론 민주주의'를 실시해야만, 우원식 국회의장의 제안이 현실화된다. 


모든 직종의 국민들이 직접 쓰는 '헌법'을 만들기 위해서는, 모든 분야에서 일하는 유권자들, 지난 60년 현대정치사에서 소외된 유권자들의 목소리를 헌법과 법률에 직접 실어야 한다.

 

 

 

 

모범 사례.

 

2023 5월에 실시한, 500인 토론회 (총선제도 개혁안)와 같이, '대선, 총선,지선 개혁안' '헌법' 개혁을 위한 1000인 토론회를 조직하자. 개헌 시기를 떠나, 지금부터 조직화하고 실천하자.

5 6 1.

May 6, 2023

[선거제도 개편의 원칙과 목표], [선거구 크기] 두 의제를 가지고 질의 응답

출연 : 이광용(MC), 남인순(국회 정개특위 위원장), 하상응(서강대 정외과 교수)

강우창(고려대 정외과 교수), 신정섭(숭실대 정외과 조교수)

지병근(조선대 정외과 교수), 이관후(건국대 상허교양대학 교수)

장승진(국민대 정외과 교수)

구성 : 시민참여단(500)이 질의응답

 

https://www.youtube.com/live/k0a3ly1IIBQ?si=dS9q_G-IWykFn5nE

 

 

 

May 13, 2023

[비례대표 선출방식],  [의석비율과 의원정수] 두 의제를 가지고 질의응답

 

출연 : 이광용(MC), 박범섭(숭실대 정외과 교수), 한성민(한국외대 정외과 교수)

           김형철(성공회대 민주주의연구소 연구교수), 박원호(서울대 정외과 교수)

           서복경(더가능연구소 대표), 신재혁(고려대 정외과 교수)

 

구성 : 시민참여단(500)이 질의응답

 

 

2.

https://www.youtube.com/live/-7bpc-ojpis?si=ZUWG2gkgfqI1KVNf

 

 

 

최종 결정.

 

May 13, 2023

[선거제도 개편의 원칙과 목표], [선거구 크기], [비례대표 선출방식],  [의석비율과 의원정수] 네 의제에 대해 질의응답과 시민참여단 의제별 의사결정

 

출연 : 이광용(MC), 김진표(국회의장), 하상응(서강대 정외과 교수)

           강우창(고려대 정외과 부교수), 박범섭(숭실대 정외과 교수)

           박원호(서울대 정외과 교수)

 

구성 : 네 의제에 대해 시민참여단이 최종 질의응답하고 최종 결정

 

https://www.youtube.com/live/D18b2NRZzMc?si=nwdOI3JZY2F18Ozx

 

 

'한국정치 > 2025 개헌_의원내각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 포인트 개헌. 대통령 선거에서 결선투표제 실시. 2018년 문재인 개헌안에 '대통령 결선투표제' 내용이 추가됨.  (0) 2025.04.10
2024.Dec.23. 민주당 이재명의 주장 "탄핵이 급한데, 개헌은 한가한 소리다"라는 의견에 반대함.  (0) 2025.04.10
315부정선거 이후, 419혁명으로 이승만 대통령을 축출하고, 51일만에 개헌을 실시해, 내각책임제(의원내각제)를 채택했다. 내각 총리와 국가의 상징적 대표 대통령을 선출했다.  (0) 2025.04.07
윤석열 탄핵. 2024.12.23. 헌법재판소의 역할과 개선점. 헌법재판소장과 재판관들을 직접 선거로 선출해야 한다.  (1) 2025.03.28
한인섭 법대교수님이 지적한 ‘헌법재판소’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식이, 대통령제가 아니라, 제도적으로 ‘독일식’과 같은 의원내각제 (책임총리제)이다.  (3) 2025.03.27
윤석열 탄핵, 헌법재판소 파면선고가 늦춰지자, 탄핵찬성 대중들이 정치적 분노가 쌓이고 있다. 대통령제의 폐해의 극단적인 표출 양식이다. 의원내각제 하에서는 탄핵 이후 2개월 내 바로 총선을 실시할 수 있다.  (2) 2025.03.20
막간 대통령, interregnum president, 최상목이 주는 교훈. 4거리에 교통신호등 설치하면 무슨 소용있냐? 운전자가 음주운전하면 사고난다. 이게 지금 이재명 민주당 주류파의 정치관이고 전술이다.  (1) 2025.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