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history)/6공_노태우_1988-92 노무현 의원 2차 국회의원직 사퇴서 제출 . 1990년.7월 13일. 민자당 3당 합당 거부. 통법부로 전락한 국회 비판. by 원시 2021. 12. 21. 노무현 당시 민주당 의원이 89년에 이어 두번째로 의원직 사퇴서를 제출했다. 노무현 사직서 전문. " 5공 청산과 민주개혁의 책무를 부여받고 출범한 13대 국회가 3당 합당의 산물인 민자당 창당 이후, 본래의 임무를 저버리고 반민주악법만을 불법하게 양산하는 통법부(通法府)로 전락하였습니다. 이에 본의원은 이 국회가 국민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없다고 판단되어 국회의원직을 사퇴코저 하오니 허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1990년 7월 13일. 국회의원 노무현. (의안과 접수 번호 2592) 통법부(通法府) 의미? 국회가 민의를 대변하는 법을 만드는 기관이 아니라, 행정부 (대통령)가 만들어 준 법을 통과시켜주는 허수아비로 전락했음을 비난하는 단어임.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한국정치 노트 Notes on the Politics of Korea 저작자표시 '역사(history) > 6공_노태우_1988-92'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91년 5월 25일. 백골단 쇠파이프에 죽어간 강경대, 노태우 정권 퇴진 투쟁에서, 김귀정 (성균관대)이 대한극장 근처에서, 전경과 백골단의 폭력진압 과정에서 사망했다. (3) 2025.01.11 화성 연쇄 살인 사건, 무죄, 윤성여, 억울한 옥살이 20년, 국가 배상 18억원 (2) 2022.11.17 1989.03.21. 노무현 국회의원직 1차 사퇴 제출. 노동자 대중 투쟁이 민주주의 발전의 길. 4월 4일자. 사퇴 철회 후, 의원 복귀까지. (0) 2021.12.21 관련글 1991년 5월 25일. 백골단 쇠파이프에 죽어간 강경대, 노태우 정권 퇴진 투쟁에서, 김귀정 (성균관대)이 대한극장 근처에서, 전경과 백골단의 폭력진압 과정에서 사망했다. 화성 연쇄 살인 사건, 무죄, 윤성여, 억울한 옥살이 20년, 국가 배상 18억원 1989.03.21. 노무현 국회의원직 1차 사퇴 제출. 노동자 대중 투쟁이 민주주의 발전의 길. 4월 4일자. 사퇴 철회 후, 의원 복귀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