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건설2

일터 사망 예방. 중대재해처벌법 이후 최다 살인기업은 현대건설 - 사망사고 8건 발생해 ‘1위’, 디엘이앤씨·대우건설·롯데건설 ‘공동 2위’ 불명예 1. 일터 사망 예방. 중대재해처벌법 이후 최다 살인기업은 현대건설 - 사망사고 8건 발생해 ‘1위’, 디엘이앤씨·대우건설·롯데건설 ‘공동 2위’ 불명예 2. 현대 엔지니어링 건설현장 노동자 사망 사고. (1) 2월 25일. 서울세종고속도로 천안~안성 구간 9공구 청룡천교 건설 현장에서 교각 위 거더가 붕괴하는 사고, 노동자 4명 사망, 6명 부상. (2) 3월 11일. 경기도 평택시 현덕면 운정리 화양도시개발구역 내 힐스테이트 아파트 신축 현장에서 추락 사고, 노동자 1명 사망, 1명 부상 “근로자 사망에 대표이사 머리까지 숙였는데”…현대엔지니어링 2주 만에 또 사망사고 백지연 기자 gobaek@mk.co.kr 입력 : 2025-03-11 08:20:52 주우정 현대엔지니어링 대표이사(가운데)가 2.. 2025. 4. 25.
목적과 수단이 뒤바뀐 야만과 반문명: 5년간 건설현장 사망자 3천 400명, 부상자 12만 5천명 넘어. 우리들의 집과 사무실, 빌딩, 상가, 그곳에는 건설 노동자들의 죽은 영혼이 깃들어있다. 한국의 급성장 이면에 숨겨진 비극적 문명이다. 목적과 수단이 뒤바뀐 반문명 야만의 현실을 이제 바꿔야 한다. 산업재해를 한해 절반으로 줄이자는 문재인 대통령의 발언은 당장 취소되어야 한다. 1년에 650명이 주고, 2만 5천명이 부상을 입고 있는 건설현장에서 그 절반을 줄인다면, 나머지 325명은 죽어도 되고, 1만 2500명은 부상당해도 무방하다는 이야기인가? 지난 5년간 건설 노동 부상자 숫자는 12만 5604명, 사망자는 3천 400명이다. 건설시공사를 보면 10위 이내 대형 건설사, GS 건설, 대우건설, 현대건설, 대림건설, 삼성물산 등이 다 포함되었다. 정부 주관 토목공사에서도 산업재해도 많다. 도로공사 2.. 2019. 10.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