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세5

대구 청년 구직 현황. 월세 2배 증가, 1년 대출 평균 1천 500만원, 10명 중 4명 제 2~3금융권 대출 경험. 대구 청년 구직 현황 1000명 조사 217만원 (월 평균 소득) - 주거비 올라1)  월세는 786만 원, 전세는 1천574만 원 증가 :  월세는 두 배 넘게 증가2) 채무 증가 원인. 생활비 증가, 청년 중 97%가 대출 경험, 1년간 대출 평균 1천 500만원10명 중, 4명은 ,제 2~3 금융권 이용 경험, 전년에 비해 15.6% 증가. 3) 해법 제시좋은 일자리 고용, 중소기업과 대기업 임금 격차 해소, 정규직과 비정규직간 임금과 노동조건 격차 해소.재학 단계에서 '민간, 공공부문 청년 인턴제 확대''가족 돌봄 청년 자기 돌봄비 지급' '고립은둔 청년 지원' 확대   '대구청년연대은행 디딤' 조사   --------------- 27,181 views  Jul 17, 2024   #청년 #같이.. 2025. 3. 13.
주택 정책. 2018년. 문재인 정부 실패 이유.#이해찬_30만호_건설_재고해야 (1) 원시 주택 정책. 2018년. 문재인 정부 실패 이유. 2018 . sep 5  key word 민주노동당. 이해찬. 손정목. 채비지, 박정희Nakjung Kim #이해찬_30만호_건설_재고해야 (1)아래 시 "가난한 사람은 세 번 운다"에서 나온, 5천만원이 2018년에는 1억,2억,3억,4억 으로 올라갔을 뿐이다. 10년 전 2008년 손낙구 연구원이 심상정 민주노동당 보좌관을 하면서 쓴 책, 부동산 계급사회 (2008:후마니타스)에서 나오는 시 구절이다. 권력 학력 자본이 몰려있는 서울과 수도권을 제외한 다른 14개 시도군에는 집이 126만 채 남아돈다. (전국에 버려진 집은 5만 채 이상이다) - 문재인 정부는 노무현 실패 교훈을 잊지 말아야 한다.  자본가들의 600조~800조 사내유보금 뿐만 .. 2025. 1. 30.
1989년 노태우 정권 하에서, 부동산 투기꾼 명단이 공개되었다. 2020.feb 7. [1] 1989년 노태우 정권 하에서, 부동산 투기꾼 명단이 공개되었다.한국의 부동산 투기 원조는 박정희 정권이었고, 그 시기는 강남개발에서부터 시작되었다는 것을 부끄럽게도 당시 MBC 를 보고서야 알게되었다. 도시공간 정치에서 아주 중요한 문헌을 남겨주신 손정목 , 손정목 선생이 더 오래사셨으면 좋았을텐데, 너무 안타깝다. [2] 2002년 민주노동당 지방선거부터 지금까지 정책을 공부하다가 느낀 점 중에 하나가, 아니 나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그럴 수도 있겠지만, 97년 IMF 긴축독재 통치 이후 김대중,노무현 정부,지금 문재인 리버럴 민주당 정부보다, 1988년~1992년 노태우 정권 경제정책이 더 진보적인 내용들, 친민중,친서민적인 정책들이 더 많았다는 점이다. 물론 광주.. 2020. 2. 8.
2012.july.8. 삶의 터전을 끊임없이 침입하는 자본, 돈, 부당한 권력과의 투쟁 핵심주장: 97년 이후, 이제는 "삶의 터전"의 정치를 해야 하고, 그 속에서 자유, 평등, 연대의 가치들을 발견하고 실천해야 한다. 이 삶의 터전에 뿌리박힌 수많은 이해관계들, 물질적 정신적 문화적 법률적 이해관계들의 복잡성들을 공부하고 이해하지 않으면, 삶의 터전을 끊임없이 침입하는 자본, 돈, 부당한 권력을 막아내고 물리칠 수 없다. 2012.07.08 18:51진보신당(XX당)이 사는 길: 의정부 목영대 모델을 30곳 이상 확대원시 조회 수 1291댓글 4 진보신당(XX당)이 사는 길: 2014년 선거까지 의정부 목영대 모델을 30곳 이상으로 확대:[의미] - 일상 생활 터전 정치와 선거와의 결합 사례를 보여주다- 한국 좌파 내부에 잘못된 이분법과 탁상공론 비판적 극복 : 의회주의와 현장정치에 대.. 2016. 8. 11.
미국 주택 통계 : 31~35% 미국인 자가 주택없어 + 현재 중산층까지 월세로 증가추세 1. 전세, 월세는 1년에 2%이상 가격 상승을 용납해서는 안된다. 법률로써 반드시 제한을 해야 한다. 서울은 폭동이나 시민 내전이 일어나지 않는 게 이상할 정도이다. 집/아파트/빌딩/땅 소유=부자=자기 맘대로 할 수 있다는 살벌하고 이웃-배타적인 한국식 자본주의 특징이자, 지배층들의 소유관이 법률과 사람들의 의식을 지배하고 있다. 먹는 것 (식), 집 (주), 건강 등과 같은 기본권리들은 반드시 시장의 가격논리보다 선행되어야 한다. [도시 주택 : 한국 전세가 폭등 2009년 서울은 집값에 비해 전세가격 비율이 38% 하던 것이 2014년 68%까지 솟구쳐, 4년만에 2배 ] 2. 미국 - 중위소득 증가율과 중위 월세 증가율 비교 - 2001년 이후 격차 심해져 가계 소득은 줄어들고, 월세 비용은 증가.. 2014. 8.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