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비교/교육

6.1 교육감 선거 결과. '교육 체제' 변혁 문제.

by 원시 2022. 6. 2.

계급문제와 교육이 착종되어 있는 현실에서, 실제 이 문제를 어떻게 풀었는가에 대한 논의가 더 필요함.

 

 

‘진보교육감 전성시대 8년’ 마감…보수 7곳·진보 7곳 우세

 

수정 :2022-06-02 03:23김민제 기자 

 

 

 

 


2일 0시30분 개표현황 기준
인천·경남·부산 3곳은 경합
서울 조희연 반사이익 ‘3선’
경기 ‘MB맨’ 임태희 당선권
충북·강원·제주 보수 선택

 


경기도교육감 선거에서 당선이 유력시되는 임태희 후보가 2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선거사무소에서 두 손을 들고 환호하고 있다. 연합뉴스


1일 치러진 전국 17개 시·도 교육감 선거 개표 결과(2일 0시30분 기준), 서울 등 7개 지역에서만 진보 성향 후보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등 7개 지역에서 보수 성향 후보가 앞서고 있다. 

 

인천·경남·부산 3개 지역에서는 진보·보수 후보가 경합을 벌이고 있다. 2014년 13곳, 2018년 14곳에서 진보 교육감이 당선되며 지난 8년 동안 이어진 ‘진보 교육감 전성시대’가 저물고, 진보와 보수 교육정책이 경합하는 구도가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선거는 지난 선거에 견줘 ‘현직 프리미엄’ 현상이 두드러지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진보 후보가 재선 또는 3선에 도전한 지역은 서울·인천·부산·울산·세종·충북·충남·전남·경남·제주 등 10곳이다. 이 중 보수 후보를 제치고 당선이 예측된 지역은 서울·울산·세종·충남 등 4곳에 불과하다. 특히 인천·경남·부산에선 진보 성향 현직 교육감이 ‘진보 교육감 심판론’을 내세운 보수 후보들과 경합 중이다. 진보 성향 김병우 충북교육감과 이석문 제주교육감은 보수 후보에게 2위로 밀려날 것으로 보인다. 2018년 선거에서는 진보 교육감 11명이 재선 또는 3선에 도전해 모두 당선된 바 있다.

 

 


이날 개표 결과를 보면, 서울에서는 진보 성향의 현직 교육감인 조희연 후보가 득표율 40.69%로 박선영 후보(24.16%)를 16.53%포인트 차로 앞서고 있다. 

 

2014년, 2018년에 이어 올해에도 보수 성향 후보들이 단일화에 실패하고 서로 욕설과 비방을 주고받아, 3선에 도전한 조희연 후보가 반사이익을 얻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울산에서는 재선에 나선 노옥희 교육감(54.82%) 당선이 유력하다. 노 교육감은 2018년 교육감 선거 당시 ‘보수 텃밭’으로 분류되던 울산에서 처음 탄생한 진보 교육감이다. 

 

세종에서는 3선에 도전한 진보 성향 최교진 교육감이 30.79%의 득표율로 보수 성향 강미애 후보를 12.06%포인트 차로 앞서고 있다.

 



교육감 직선제 도입 이후 처음으로 진보와 보수 후보 간 일대일 맞대결로 관심을 끈 경기에서는 보수 성향 임태희 후보(56.12%)가 진보 성향 성기선 후보를 12.25%포인트 차로 앞서 당선이 유력하다. 대구·경북·대전에서는 보수 성향 현직 교육감들이 각각 재선 또는 3선에 성공할 것으로 보인다. 

 

재선에 도전한 강은희 대구 교육감은 62.6%의 득표율로 37.39%를 얻은 진보 성향의 엄창옥 후보를 큰 차이로 이길 것으로 예상된다. 진보 성향 민병희 교육감이 2010년부터 3선을 했던 강원에서는 보수 성향의 신경호 후보가 30.39%로 1위를 기록하고 있고, 진보 성향의 강삼영 후보(23.18%)가 2위다. 

 

다만 지상파 3사(KBS·MBC·SBS)가 구성한 방송사공동예측조사위원회(KEP) 공동 출구조사 결과에서는 보수 성향의 유대균 후보(22.7%)가 2위로 예측됐다.

 


진보 후보가 경합 중인 3곳 중 2곳을 이겨도,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간신히 9곳을 수성할 수 있는 상황이다. 향후 윤석열 정부와 대립각을 세울 ‘공동전선’ 구축에도 다소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교육계에서는 진보 교육감들이 자사고 등 특권 학교를 존치·확대하려는 정부의 움직임을 완충하는 역할을 맡아줄 것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김영식 좋은교사운동 공동대표는 “자사고 존치나 일제고사 부활 등을 둘러싸고 정부와 진보 교육감이 대립각을 세울 것으로 예상된다”며 “민주시민교육이 이어지고 학교 자치가 확대될 수 있도록 진보 교육감이 제 역할을 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민제 기자 summer@hani.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