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원광대가 철학과를 폐지한 모양이다.
경향신문 원익선 선생 컬럼.
원광대가 철학과를 폐지한 근거가 뭔가?
대학 졸업하고 취직에 도움되는 어떤 '자격증'과 연관되지 않으면 철학과를 비롯한 역사, 문학, 사회학, 정치학 등은 필요없다는 인식으로 보인다.
(1) 역사,철학,문학이 산업이나 심지어 자본주의를 부흥시킬 수도 있고, 상충되는 것도 아닐 수도 있다.
(2) 역사,철학,문학, 정치,사회학 내부에서도 자본주의와 그 사적 소유권을 옹호하기도 하고, 반대로 비판하기도 하고, 다양한 흐름들이 존재한다.
학생모집과 대학운영비용 문제를 내세워, 아주 단순한 수요와 공급 법칙을 내세워 철학과를 폐지한 것이다.
원광대 운영자들의 근시안적 해법이다.
연관 주제 - 에드문트 훗설의 유럽과학(학문)의 위기와 거의 비슷하다.
Edmund Husserl. Die Krisis der europäischen Wissenschaften und die transzendentale Phänomenologie:
Eine Einleitung in die phänomenologische Philosophie.
사유와 성찰
죽은 인문학의 사회
입력 : 2022.06.18 03:00
수정 : 2022.06.18 03:02
원익선 교무·원광대 평화연구소
내가 일하는 대학에서 올해 철학과를 폐지했다. 분노하는 재학생들과 철학과 동문들이 내건 현수막을 볼 때면 가슴이 미어진다. “철학이 밥 먹여주나?”라는 말이 오간 지 오래되었지만 이것은 왜곡된 것이다.
수많은 현철(賢哲)들이 없었다면 무명(無明)에 헤매는 인류의 앞길을 어떻게 밝혀왔겠는가. 종교의 광기가 극에 달했을 때, 철학이 없었다면 어떻게 인간이 중도의 길을 걸어왔겠는가.
철학의 사망은 윤석열 대통령이 “교육부의 첫 번째 의무는 산업인재 공급”이라고 말한 것에서도 확인된다. 인문의 요람인 대학이 기업의 하청기지임을 재승인했다.
동아시아가 세계의 중심이 될 것이라는 예언은 현실이 되었다. 그 기반은 인문사회라는 전통이다.
인문이 무엇인가. 언어, 역사, 문학, 철학, 종교 등의 세계를 말한다. 세끼 먹는 것을 뛰어넘어 존재의 의미와 가치를 찾고자 하는 인간의 부단한 노력이다.
동물과 하등 차이가 없는 인류가 시간과 공간을 확장하고 하나가 되어 문명을 구축한 것은 상상력에 힘입은 바가 크다. 종교의 천재들 또한 철학자들이다. 석가나 예수가 인간의 한계상황을 돌파하여 고단한 우리의 삶에 한 줄기 빛이 될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의 ‘생각하는 힘’에 의해서다.
자본은 자율적인 인간의 의지를 노예화하고 있다.
대학은 인간의 자유를 극대화하는 공간이다. 비판의 힘으로 이 사회는 혁명을 꿈꾸고 실현했다. 그 엔진은 세상을 직시한 눈들을 광장으로 이끈 철학의 시대정신이다.
철학이 없는 대학은 ‘팥소 없는 찐빵’과도 같다. 전국의 대학에서 점점 철학과가 폐쇄되고 있다.
자본의 폭주를 견제하고 현대문명을 성찰하는 공동체가 없는 대학은 존립할 이유가 없다. 인간이 기업의 전쟁터에서 소모품으로 전락하는 현실에 저항할 주력부대가 소멸 위기에 처한 것이다.
<대학>에 대해 유학의 거봉인 주자와 왕양명은 “대인의 학”이라고 한다.
따라서 대학은 인간 최고의 덕성을 구비한 성인(聖人)을 기르는 곳이다. 거기까지는 못 미치더라도 스스로 삶을 기획하고 운명을 개척할 준비를 하는 곳이 아닌가.
인간과 인간이 연대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곳이 대학이 아닌가. 나는 어디에서 왔으며, 어디로 가는지 묻고 대답하며, 자신을 집어삼키는 업력의 거센 파도를 타고 넘는 지혜와 용기를 기르는 곳이 아닌가. 지식의 수도자들이 인류의 기원과 역사를 탐구하며, 사회의 현재와 미래를 진단하고 전망하는 곳이 대학이 아닌가.
대학은 오직 펜 하나를 들고 참여하는 마을장터다. 사회적 위치나 나이를 떠나 삶의 탐구자로서 의문을 던지고 토론하는 장이 되어야 한다. 회사원도 농부도 교사도, 삶의 절벽을 마주한 자도 누구든 자신의 문제를 꺼내 이웃에게 조언을 요청할 수 있다. 사립이든 공립이든 국립이든 대학은 공기(公器)다.
굳이 헌법이나 교육법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국가는 대학까지도 무상으로 모든 백성이 함께 공부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 책무가 있다. 인류의 지혜를 보존하고 나누며 활용하는 플랫폼으로써 무한 지원을 해야 한다.
인문학이 전쟁을 일으켰다는 말은 듣지 못했다. 전쟁은 국가와 자본이 공모한 것이다. 학문이 잘못한 것이 아니라 자신을 돌이켜 살펴보는 마음의 힘이 욕망에 제어당했기 때문이다.
세계가 불안과 공포에 휩싸이는 이유는 인문정신의 쇠퇴와도 관련이 있다. 이웃의 고통을 내면화하지 못하는 불치의 병이 전염되고 있다. 경쟁의 파고 속으로 밀어 넣는데 어떻게 이웃과 내가 하나가 될 수 있겠는가.
벌거벗은 몸을 거울에 비추어보라. 볼록한 배, 가는 다리, 퀭한 눈동자. 생물학적인 존재로서는 어느 것 하나도 볼품이 없다. 그러나 소멸해가는 존재일지라도 자신만의 왕국임을 자부하며 자기완성의 길을 멈추지 않는다. 먼지에 불과한 존재일지언정 천지와 우주와의 합일을 바란다. 희망의 학인 인문학은 무한과 영원을 향한 영혼의 등대다.
인문학은 죄가 없다. 진리와 정의가 새겨진 간판을 달고 설립되지 않은 대학이 어디 있으랴.
그 죄는 일차적으로 대학을 시장경제의 논리와 취업의 도구로 초토화시킨 정부에 있다. 철학을 포함한 인문학이 피폐해진다면 인간은 언젠가 기계의 노예가 될 것이다.
인문학의 죽음은 인류의 파멸로 이어지리라. 관계의 망을 따뜻하게 보살피며, 과학과 기술의 한계를 직시하고, 부조리와 야만을 재판하며, 자본의 자기파멸적 행위를 멈추게 하는 인문학의 학살을 온몸으로 막아야 할 이유는 차고도 넘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