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원 자유한국당 의원 논리 문제점들, 한국 경제 정치 사회 복잡성에 기인하는 이해관계 충돌을 더 잘 해결할 수 있는 비례대표제도 확대가 '정의당 의원 늘리기' 수단이라는 넌센스 주장.
1. 나경원은 자유한국당에게 더 유리할 수도 있는 독일식 지역-비례 혼합제도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거부하고 있다. 그 단적인 사례는 독일 제 1당, 메르켈 소속 정당인 기민당과 기사련이 바이에른 주에서 2차 세계대전 이후 지금까지 압도적인 제 1당을 유지하고 있다. (Bayern 주는 기사련만 총선에 출마함. CSU 체.에스.우 = 기사련) 한국은 어떤 측면에서는 바이에른 주보다 더 강력한 시민사회 보수파와 보수 유권자들이 존재한다. 나경원의 심상정 제안 거부는 자유한국당의 엄살이자 꾀병이다.
단기적으로도 장기적으로 자유한국당에게 전혀 손해도 아닌데, 왜 자유한국당은 선거개혁을 반대하는가? 혁신보수에 대한 자신감 결여이다. 두번째로는 패자부활전없는 쌍끌이 승자독식이라는 기득권 관습을 버리지 못했기 때문이다.
세번째로는 민주당도 자유롭지 못한 지역주의 정치 (호남에서 범민주당 헤게모니 전투로 인한 분열, PK 부울경 김영삼 과거 영토 실지 회복에만 몰입하는 민주당 분파들) 노선 때문이다. 자유한국당이 문재인 정부 이후, 호남은 아예 포기하고 부울경만 집중 포화를 가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2. 나경원은 비례대표제 폐지를 주창했다. 그 근거는 지역구 의원 선출이 비례대표보다 더 유권자 대표성이 높다는 것이다.
그러나 1987년 이후 후진적 낙후한 지역정치를 타파하고 '정책 대결'과 '정당간 타협'의 정치를 실현하는데 더 유리한 제도가 바로 '비례대표제'이다.
단적인 사례를 하나 들어보자. 지역구 의원들이 지역을 대변한다는 말은 지나가던 소도 웃을 일이다. 부산을 예로 들어보자. 한국에서 상대적으로 노인 빈곤율이 가장 높은 도시가 부산이다. 부산은 1963년 박정희가 대통령에 당선된 이후, 1986년까지 23년간은 서울을 제외하고, 한강 이남에서 압도적인 제2의 도시였고, 산업도시, 교육, 문화, 스포츠의 중심지였다.
그러나 영남대통령인 노태우 정권을 지나고, 경남 출신 김영삼 대통령 시기를 통과하면서 부산은 상대적으로 탈산업화, 노인 빈곤율 증가, 청년 실업 증가, 공기 오염, 사회적 범죄 증가 등으로 2019년 현재까지 거의 30년간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경북 지역구도 부산보다 더 낫지 않다. 경북은 인구 소멸 위기에 놓인 행정구 (군 단위)가 가장 많은 도이다.
그렇다면 1987년 이후, 민정당 -> 민자당 -> 신한국당 -> 한나라당 -> 새누리당 -> 자유한국당 출신 의원들은 자기 지역구를 위해서 무엇을 했는가?
서울과 다른 시도와의 격차는, 교육, 금융, 산업, 스포츠, 과학기술, 예술 분야 가릴 것 없이 더 커졌는데도, 자유한국당 출신들과 민주당 의원들은, 실질적으로 지방재정 자립도를 높이지도 않고, 자기 당선만 신경쓰고 4년 임기를 마쳤다.
그런데도 지역구 위주 선거가 국민대표성을, 지역 주민 대표성을 높인다고 말할 수 있는가? 단연코 없다.
[연구 과제] 진보정당 정책 노선과 기준에 근거해 볼 때,1987년 이후, 지역 주민 경제,정치,문화,교육 정책에서 성공적이라고 할 수 있는 사례들은 무엇인가? 정의당은 이를 조사해서 발표할 필요가 있다. 선거개혁과 관련한 자유한국당 발표들은 정치학계, 행정학과 지방정치연구에 기초해볼 때, 거의 수용하기 불가능하거나, 논리적으로도 앞뒤가 전혀 맞지 않기 때문이다.
기사 출처:
https://www.ytn.co.kr/_ln/0101_201910280604017684
나경원 vs 심상정, 이번엔 '의원정수 확대' 충돌
Posted : 2019-10-28 06:04
심상정 "세비는 건드리지 말고 의원 정수 늘리자"
나경원, 단칼에 거절…"의원 수 줄이는 게 당론"
민주당 공식 입장은 '반대'…속내는 '복잡'
패스트트랙 법안 통과 위해 정의당 도움 '절실'-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와 정의당 심상정 대표가, 국회의원 정수 확대를 두고 다시 충돌했습니다.
선거제개혁 패스트트랙 협상에서도 의원 정수 확대는 뇌관이 될 것이란 분석이 많은데요.
먼저 포문을 연 사람은 어제 취임 백일을 맞은 심상정 대표입니다. 들어보시죠.
[심상정 / 정의당 대표 (어제,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 :
의원 세비 총액을 동결한 전제 위에서 의원정수 확대를 검토하자는 것은 오래된 논의입니다.
그런 논의가 바탕이 돼서 여야 5당 원내대표의 합의로 10% 이내의 확대를 합의한 것입니다.]
심상정 대표, 들으신 대로 일단 의원 세비 총액 동결을 전제 조건으로 내걸었고요.
그러니까, 지금처럼 의원 300명이 받는 전체 세비는 건드리지 말고, 의원 정수는 330명 정도로 늘리자는 겁니다.
하지만 국민 동의를 얻을 수 있느냐가 문제겠지요.
심상정 대표는 그러면서 자유한국당을 겨냥했습니다.
들어보시죠.
[심상정 / 정의당 대표 (어제,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 :
의원정수 확대는 여야 합의로 추진될 때 국민의 동의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다시 한국당이 논의에 동참한다면 지난 1월 합의 사항에 기초해서 추가 논의가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한국당이 반대하고 있는데, 다시 얘기 좀 해보자는 겁니다.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 심상정 대표의 제안에 어떻게 답했을까요?
[나경원 /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어제, 토크 콘서트) :
우리 당으로서는 의원 정수 확대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말씀드립니다.
우리가 이미 대표성을 강화하는 쪽으로 해서 의원정수는 10% 감축하는 비례대표 의석수를 폐지하는 법안을 냈습니다.]
나경원 원내대표, 들으신 것처럼 한마디로 단칼에 거절했습니다.
의원정수 확대는커녕, 의원 수를 줄이자는 게 한국당 당론이기 때문에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겁니다.
'의원 정수 확대'에 대한 국민 여론이 별로 좋지 않다는 걸 모를 리 없는 민주당, 일단 공식입장은 '반대'지만 복잡한 속내도 읽힙니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는 물론 선거제 개혁안 등 패스트트랙에 올라 있는 법안을 통과시키려면 정의당을 포함한 야당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에서, 마냥 야당과 각을 세울 수도 없을 테고요.
여기에 선거제 개편이 된다면 지역구가 사라지는 의원들이 나올 텐데, 달랠 방법이 마땅치 않다는 점도 딜레마입니다.
여당의 선택, 어디로 향할까요?
'한국정치 > 연동형_비례대표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인영 원내대표는, 연동률을 깎지 말던가, 의원 정수를 늘리던가 해야 함. (0) | 2019.12.15 |
---|---|
자유한국당, 어리석은 옹고집, 연동형비례대표제 되면 정의당 나라 된다. 정미경 발언. (0) | 2019.12.03 |
국회의원 적정숫자 500석, 법조인 숫자는 전체 인구는 전체 0.0035% 정도인데, 국회의원은 14%~20%를 장악 (0) | 2019.10.31 |
나경원은 무엇이 틀렸는가? 선거법 개편 전국-권역 구별말고, 권역별 인구를 기준으로 의석 분배하자 (3) | 2019.03.19 |
선거법 개혁 제안, 국회의원 숫자는 인구 10만명 당 1명, 500명으로 늘리고, 지역대 비례를 250대 250 명 수준 2011 may 26 (1) | 2019.03.17 |
국회의원 적정 숫자 500석이어야 하는 이유. 민주당 300석안 문제점과 개선 방향 (1) | 2019.01.22 |
2019.jan 22. 민주당의 총선제도 입장 (김종민). 민주당 당론은, 비례대표 숫자를 늘리지 않고, 현재 300명 의석 정원 유지한다. (0) | 2019.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