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정치/연동형_비례대표제도

feb 21. 2012 한국 정치 개혁, 총선 제도 개혁 방향.프랑스는 인구 6천 200만명에 국회의원 숫자는 577명. 한국은 5천만 인구에 300석이다. 프랑스 인구 대 의원 숫자 비율을 그대로 도입하면 <465석>. 독일은 인구 8천 200만에 공식적으로는 598명 의원

by 원시 2025. 4. 8.

feb 21. 2012 한국 정치 개혁, 총선 제도 개혁 방향.

 

(1) 일본식 석패율제도 도입 반대한다.

 비판은 정책정당으로 발전하고, 지역 이기주의/독식을 방지하기 위한 가장 좋은 선거제도는 "비례부문 비율의 확대"이다. 일본식 석패율제가 아니다. 

 

(2)  프랑스식대로,  대통령 선거에서  <결선 투표>를 도입한다.

 

(3)  국회의원 선거 제도 개혁 (A) 

 

<독일식 정당 명부 비례 대표제> 등과 같이 비례대표 국회의원 숫자를 늘여야 한다. 

 

(4)  국회의원 선거 제도 개혁 (B) 

 

원칙적으로 국회의원 숫자를 50~150명 정도 늘여야 한다.

 

프랑스는 인구 6천 200만명에 국회의원 숫자는 577명이다. 한국은 5천만 인구에 299석이다. 프랑스 인구 대 의원 숫자 비율을 그대로 도입하면 <465석>이 되어야 한다. 독일은 인구 8천 200만에 공식적으로는 598명 의원이다 (Bundestag) http://bit.ly/fY5nFo 독일 경우를 그대로 도입하면, < 364명> 국회의원이 되어야 한다. 영국의 경우는 인구 6천 200만명 정도에 국회의원 숫자는 648명이다. 이 비율을 한국에 적용하면 <522명>이 된다. 

 

정치제도는 고유한 역사적 배경이 있기 때문에, 단순 이식수술은 불가능하고 의미도 없다. 하지만, 현행 한국 국회의원 숫자는 턱없이 부족한 게 사실이다.

 

(5) 시의원 구의원 도의원 선거구 획정을 <비례대표제>에 근접하게 해야 한다. 1선거구 2인 당선제는 폐지해야 한다. 

 

(6)  현행 정치 후원금 제도나 지구당 폐지 등과 같이 소수 정당의 진입을 오히려 가로막는 제도들을 철폐해야 한다.

 

(보론)  299명 의원 늘이기, 여론이 좋지 않으면, 현행 지역구 의원 숫자를 축소하고, 비례 의원 비율을 높이는 방향 ( 56석에서 100석으로 1단계, 2단계는 150대 150 1:1 비율로, 제 3단계는 국회의원 숫자를 늘여서 500명까지 늘이고, 지역대 비례를 250대 250 명 수준으로 만들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