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정치/정의당

헌법재판소 판단. 주당 최대 노동시간을 제한하는 '주 52시간 근로제'가 헌법에 어긋나지 않는다. 노동시간 축소야말로 노동자의 진정한 자유의 필요조건이다.

by 원시 2024. 3. 5.

주 40시간 일해도, 월 노동소득 400만원이 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노동자들의 장시간 노동을 축소하는 것은 노동자의 진정한 자유의 필수 조건이다. 특히 한국은 장시간 노동과 집적 노동을 사회적 상식으로 여겨왔다. OECD 국가들 중에, 연간 휴가일이 가장 적은 나라에 속하고, 하루 평균 노동시간도 가장 긴 나라들에 속한다. 

 

한국 평균 노동시간 비교. 2022년 기준 전체 취업자의 1인당 연간 노동시간: 한국 1,901시간으로  OECD 전체 38개 회원국 중 5위이며, OECD 평균 (1,752시간)보다 149시간 더 길다. 

 

노동자의 노동시간의 축소가 왜 정치적으로 중요한가? 직장인들이 일하는 사람들의 정당인 녹색정의당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주일에 반나절 정도는 정치 정당 모임에 참석하거나, 정당 정책을 만들고 서로 토론할 수 있는 시간이 있어야 한다. 

 

일터에서 7~8시간 넘게 일하거나, 회식 참가, 2 시간 잔업을 하고 나면, 가족생활, 취미 생활, 정치 정당 활동 참여는 거의 불가능하다. 

 

 

------------------

 

헌재 "'주 52시간제' 합헌…장시간 노동문제 해결 필요"
입력2024.03.04. 오후 12:00  수정2024.03.04. 오후 3:06 기사원문

황윤기 기자
 


최저임금제 대상 헌법소원은 각하



'주 52시간제' 헌재서 합헌…"장시간 노동문제 해결할 필요"


(서울=연합뉴스) 윤동진 기자 = 이종석 헌법재판소장을 비롯한 헌법재판관들이 지난달 28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 자리하는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황윤기 기자 = 주당 최대 노동시간을 제한하는 '주 52시간 근로제'가 헌법에 어긋나지 않는다는 헌법재판소 판단이 나왔다.

4일 법조계에 따르면 헌재는 지난달 28일 근로기준법 53조 1항에 대한 헌법소원 심판 청구를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기각했다.



헌재는 "주 52시간 상한제는 실근로시간을 단축하고 휴일근로를 억제해 근로자에게 휴식 시간을 실질적으로 보장함으로써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며 "그 입법목적은 정당하고 적합한 수단"이라고 했다.



또 "사용자와 근로자가 주 52시간 상한제로 인해 계약의 자유와 직업의 자유에 제한받지만 오랜 시간 누적된 장시간 노동의 문제를 해결해야 할 필요성은 더 크다"며 "피해를 완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으므로 법익의 균형성에 반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헌재는 "입법자는 근로자에게도 임금 감소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지만 근로자의 휴식을 보장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인식을 정착시켜 장시간 노동이 이뤄진 왜곡된 노동 관행을 개선해야 한다고 판단했다"며 "입법자의 판단이 현저히 합리성을 결여했다고 볼 수 없다"고 덧붙였다.

 

 




[그래픽] 헌재 '주 52시간제' 합헌 판단


(서울=연합뉴스) 이재윤 기자 = 주당 최대 노동시간을 제한하는 '주 52시간 근로제'가 헌법에 어긋나지 않는다는 헌법재판소 판단이 나왔다.


4일 법조계에 따르면 헌재는 지난달 28일 근로기준법 53조 1항에 대한 헌법소원 심판 청구를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기각했다. 

 

청구인들은 최저임금제도 계약의 자유 등을 침해해 위헌이라고 주장했으나 본안 판단 없이 각하됐다.

 


yoon2@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이번 헌법소원은 사업주와 근로자들이 함께 청구했다. 이들은 최저임금제도 계약의 자유 등을 침해해 위헌이라고 주장했으나 본안 판단 없이 각하됐다.



헌재는 "(최저임금의 기본권 침해 효과는) 법령에 의한 것이 아니라 고용노동부 장관이 결정해 고시한 최저임금 내지 그에 따른 효과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헌재 결정례에 따라 법령 자체가 헌법소원의 대상이 되려면 집행 행위와 무관하게 법령 그 자체에 의해 권리 침해 등이 발생해야 한다. 그러나 청구인들이 주장한 기본권 침해는 매년 고시로 정해지는 최저임금에 의해 생기는 것이고 법령 자체로 인한 것이 아니어서 청구가 부적법하다는 취지다.



앞서 2020년 1월 헌재는 2018년과 2019년의 최저임금 인상 고시에 대해 기업의 재산권과 경영 자유를 침해하지 않는다며 헌법소원 심판 청구를 기각했다.



헌재 관계자는 "근로 시간 법제와 같이 다양한 당사자의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사회구조적인 문제에 대해 입법자의 역할을 존중해 위헌 심사를 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water@yna.co.kr

 

 

뉴스 출처.

 

https://www.yna.co.kr/view/AKR20240304051400004?input=1195m

 

헌재 "'주 52시간제' 합헌…장시간 노동문제 해결 필요"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황윤기 기자 = 주당 최대 노동시간을 제한하는 '주 52시간 근로제'가 헌법에 어긋나지 않는다는 헌법재판소 판단이 나왔다.

www.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