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정치/민주당

"문파,새로운 주권자의 이상한 출현"의 허와 실, 문파-문빠의-문제점

by 원시 2018. 11. 15.

헤겔리안 '이념 Idee' 문파, 세계사의 보편 이념인 문재인 절대정신을 현실 정치 (RealPolitik) 에서 실천하는 문파와 현실에서 트위터 낙엽 속에서 낭만적으로 아래와 같이 나뒹굴었다. 

 

"문파, 새로운 주권자의 이상한 출현" 이라는 책을 보다.

정확히는 온라인 서점에 맛보기로 소개된 30페이지를 읽다.박구용 교수의 이러한 시도는 정치학적으로 유의미하다. 도그마와 확증편향에 빠져 새로운 변화를 놓치기 쉬운 선무당 전문가들에게.

 

그러나 박구용 교수 시도가 남긴 아쉬운 점은, 집단 이성을 발휘하여 진리를 추구하는 '여론장- 공적 토론 공간 Öffentlichkeit'이라는 이념과 이상을 먼저 설정한 다음, 그 현실적인 주체가 바로 '문파, 새로운 주권자의 이상한' 실천이라고 규정해 버린 점이다.

 

그러니까 글쓴이의 정치적 희망사항을 전제한 다음, 그 실천 주체를 곧바로 대입해 버린 듯한, 그래서 책의 그물망이 너무 헐겁고 튼튼하지 못했다.

 

현실에서 온라인 공간에서 박구용 교수가 말한 문파들이 실제 사용하는 말이나 주장들, 그리고 대화를 하는 방식, 특히 개혁의 동반자인 진보정당, 정의당에 대한 태도는, 문재인을 '빨갱이'라고 폄훼해버리는 태극기 부대원들과 질적 차이가 없다.

 

'문파'를 새로운 주권자로 격상시키고 '민주주의 정신'으로 승격시키기에는 그 반대 사례들이 너무 많아 보인다.

 

 

NJ(원시)Tweet text
 
 
 

 

인터넷 좀비? 정치 팬덤? ‘문빠’는 누구인가

 

 

입력 : 2018-11-08 17:50 ㅣ-

문파, 새로운 주권자의 이상한 출현/박구용 지음/메디치미디어/276쪽/1만 4000원

 

文대통령 지지자들 정치·철학적 접근 

촛불혁명 ‘과정’에서 생성 규정 

부작용 등 분석 없어 아쉬워

 

지난해 5월 9일 당시 문재인 제19대 대통령 당선자가 대선 승리 직후 서울 광화문 세종로 소공원에서 열린 대국민 인사에서 환호하는 지지자들의 손을 잡고 있다. ‘문파, 새로운 주권자의 이상한 출현’은 문 대통령을 지지하는 ‘문파’를 정치 철학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서울신문 DB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지난해 5월 9일 당시 문재인 제19대 대통령 당선자가 대선 승리 직후 서울 광화문 세종로 소공원에서 열린 대국민 인사에서 환호하는 지지자들의 손을 잡고 있다. ‘문파, 새로운 주권자의 이상한 출현’은 문 대통령을 지지하는 ‘문파’를 정치 철학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서울신문 DB

 

 

문베충, 문각기동대, 문위병, 문슬림…. 문재인 대통령을 막무가내로 추종하는 집단을 낮춰 부르는 명칭이다. 이를 대표하는 말로 ‘문빠’가 가장 적합해 보인다. ‘~빠’가 주는 어감이 그리 좋지는 않다. 그러나 ‘이니(문재인 대통령의 애칭) 마음대로 해’ 하는 식의 행태를 꼬집는 단어로 이 말만큼 어울리는 말이 없어 보인다. 

 

누군가는 이런 ‘문빠’를 ‘인터넷 좀비’쯤으로 생각하기도 한다. 문 대통령에 관한 일시적인 정치 팬덤 정도로 취급하는 이들도 있다. ‘전임 대통령을 맹목적으로 뒤따랐던 이들과 문빠가 뭐가 다르냐?’고 비판하거나, 특정 정치인의 카리스마에 도취해 떼로 몰려다니면서 정치 지형을 파괴하는 괴물, 심지어 애써 찾은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세력으로 여기는 이들도 적지 않다.

 

 

신간 ‘문파, 새로운 주권자의 이상한 출현’은 문 대통령을 지지하는 ‘문빠’를 정치 철학적으로 접근한 책이다. 

 

저자 박구용 전남대 철학과 교수는 문 대통령에 관한 정치 팬덤만을 ‘문빠’로 규정한다. 문 대통령의 정치를 지지·지원하면서 시민 주권과 민주주의의 복원을 지향하는 공론과 공감의 상호 주체, 그리고 이들의 활동 및 효과를 총괄하는 개념으로 ‘문파’를 따로 떼어낸다. 쉽게 말해 ‘문빠’는 그저 단순한 정치 팬덤이지만, 이 가운데 새로운 민주주의를 열망하는 시대를 압축적으로 표현한 일종의 정치 현상으로서 ‘문파’를 보자는 이야기다.

 

 

저자는 우선 문파를 ‘실체’가 아니라 ‘과정’으로 규정한다. 문파는 새로운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을 담은 촛불혁명 과정에서 생성된 이들이다. 의회, 광장에서 온·오프라인을 가리지 않고 전방위적으로 나선 이들은 한국 정치의 새판을 짜야 한다고 강조한다. 특정 지역을 기반으로 정당이 권력을 나눠 먹는 지금까지의 정치 지형을 위협하고 나선 것이다. 시민들을 계몽하는 역할을 했던 미디어 권력 역시 인터넷, 팟캐스트 등을 기반으로 나서는 문파의 위협을 받고 있다.

 

 

권력은 추종을 부르고, 포퓰리즘을 수반한다. 과거에도 그랬다. 그러나 저자는 문파가 이른바 ‘박사모’(박근혜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뿐 아니라, ‘안철수 현상’과도 다르다고 강조한다. 박사모나 안철수 현상은 포퓰리즘으로 생겨난 권력을 박근혜, 안철수 개인이 소유하려 들자 사라졌다고 분석한다. 그렇다면 문파와 가장 유사한 이들은 ‘노사모’(노무현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라 할 수 있다.

 

 

한데 생성 과정은 비슷했지만 여러 면에서 차이점이 있다. 노사모는 권력을 추동했던 386이 권력의 중심에 서서 노무현 전 대통령과 대립하면서 소멸했다. 

 

노 전 대통령이 대북송금 특검 수용, 이라크 파병 수용, 대연정 제안,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등으로 대립각을 세우면서 사라진 것이다. 

 

여기에 영남패권주의가 끼어들면서 많이 퇴색하기도 했다. 그러나 저자는 “문파는 아직 누구의 소유도 아니고, 정치적 권력을 소유하려고 하지 않았으며, 자신들의 의견과 의지를 스스로 대변한다는 점에서 다르다”고 강조한다. 

386을 위주로 한, 이른바 ‘입진보’(행동 없이 말만 앞세우는 진보)가 했던 비판적 지지에서 벗어나 당파적 지지로 해석할 것을 주문하는 점, 정치적 현실 속에서 민주주의를 찾아가는 과정, 그리고 노 전 대통령 때와 달리 영남패권주의를 극복하는 과정을 읽으라고 강조한다.

 

저자는 문파를 분석하고자 9개월 동안 문파, 혹은 문빠와 만나 ‘당신은 문빠인가’, ‘조직이 있고 소통 하나’, ‘문재인이 잘못을 저질러도 지지할 것인가’ 등 모두 28개의 질문을 던졌다. 

 

이런 과정을 거쳐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내가 만난 문파들은 괴물도, 요물도 아니었다. 그들은 자신의 목소리로 자신의 생각을 대변하려는 시민 주권자들일 뿐이었다. 내가 만난 문파는 각자 자기 생각을 말하지만, 서로 다른 말을 하는 다양한 얼굴의 시민들이었다”고.

 

 

자신을 ‘입진보’라고 고백하면서까지 문파를 추적한 저자는 그러나 문파의 실체를 구체적으로 구현해 내지는 못했다. 전반적으로 문파를 우호적으로 보는 점, 특히 문파의 부작용에 관해 크게 다루지 않고 ‘문빠의 탓’으로만 치부한 점도 이 책의 큰 단점이다.

 

 그러나 문파를 단순한 팬덤 집단인 문빠에서 떼내어 하나의 정치 현상으로 파악한 시도는 높게 살 만하다. 지금의 정당과 의회가 시민 주권자들의 의견과 의지를 제대로 대변하지 않는다면 새로운 정당과 의회의 출현이 지체될 것이라는 경고 역시 귀 기울일 만하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2018-11-09 36면

 

 

[출처: 서울신문에서 제공하는 기사입니다.]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81109036005#csidxf55d650749d8dfbab33472f3d0603b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