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시계획/서울 도심 변천사

1972년 박정희 독재, 청년 문화 압살. 심지다방 폐쇄 조치.

by 원시 2022. 11. 5.

국가 공권력을 이용해, 다양성과 언론의 자유, 음악, 마리화나 등을 탄압한 사례.

박정희 독재 정권과 청년 문화의 충돌.

 

명동이라는 도시 공간 당시 사회적 역할.

 

 

 

 

[DB를 열다] 1972년 문 닫은 히피문화 산실 심지다방

 

 

 

수정 : 2013-03-06 00:40 

 

사설·오피니언

 

 



서울 명동은 1950년대부터 다방 천국이 되었다. ‘청동’ ‘돌체’ ‘서라벌’ ‘갈채’ ‘휘가로’ ‘모나리자’ 같은 이름의 다방은 문화예술인들 그리고 젊은이들이 차와 술을 마시고 시간을 보내는 아지트였다. 

 

그중에서도 명동의 뒷골목, 명동 2가 53번지에 있던 ‘심지다방’은 없는 원판이 없었던 음악다방으로 젊은 층의 인기를 끌었다. 심지다방은 보수적인 가치에 대항해 1960년대 말부터 국내에 밀려들어 온 히피 문화의 산실이기도 했다.



1972년 2월 12일 자 기사는 심지다방이 해피스모크를 거래하고 음란행위를 했다는 이유로 퇴폐다방 1호로 단속되었다고 전하고 있다. 

 

해피스모크란 마리화나로 만든 담배를 말한다. 장발족들이 조명 아래에서 귀가 찢어질 듯 볼륨을 높인 음악을 들으며 광란의 몸짓을 한 것이 결국 음란 퇴폐행위로 처벌을 받기에 이른 것이다. 사진은 단속을 당한 그날 기사의 관련 사진으로 사용하기 위해 촬영한 것이다.

한편, 심지다방의 주인은 1969년 같은 건물에 ‘오비스캐빈’이라는, 통기타 가수들이 공연하는 음악감상실을 열었다. 음악감상실의 원조는 명동에서 문을 열었다가 무교동으로 옮겨왔던 ‘세시봉’이었다. 

 

세시봉과 더불어 ‘디쉐네’ ‘쉘부르’ ‘금수강산’도 음악감상실로 유명했다. 세시봉은 1969년에 문을 닫았는데 그 무대에 섰던 조영남, 송창식, 윤형주, 양희은, 김세환 등의 가수들은 오비스캐빈으로 옮겨 와서 계속 노래를 할 수 있었다.

손성진 국장 sons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