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계엄령의 폐해. 청년 '구직난' - 쉬었음 50만으로 2003년 이후 최고치. 인플레, 계엄령 이후 내수시장 축소, 중소기업과 대기업 임금 격차 문제
1. 통계청, 15~29세 청년층 '취업'이나 '진학'을 하지 않은 인구 숫자 증가. 2023년 12월, 36만 6천명2024년 12월, 41만2025년 2월, 50만 2. 원인들인플레, 계엄령 이후 내수시장 축소, 정부와 공기업의 투자 축소로 인해 일자리 창출 감소,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임금과 혜택 격차로 중소기업은 인력난인데도 청년 '쉬었음' 인구 증가. [현실] 통계청 2022년 기준, 대기업 노동자의 평균소득은 월 591만원, 중소기업 (286만원)의 2.1배. 20대 청년의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는 1.6배지만 40대는 2.2배, 50대 때는 2.4배로 확대되었음. 3. 인터뷰 조사. 적합한 일자리 부족 (38%), 교육 자기계발 (35%), 피로-고갈(28% burn-out) 심리적..
2025. 3.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