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세 미만 영아 사망률 (infant mortality) 한국 2.8명으로 프랑스,독일,이탈리아( 3.1명)보다 낮아. 대신 자살률은 2배. 아이에게는 사적인 투자를 많이 하지만, 청소년과 어른에게는 '공적 투자'를 하지 않는 근시안적 나라.
한국의 일상 풍속과 사람들의 잘못된 의식과 관행. 아이는 끔찍하게도 귀하게 여기지만, 첫 끗발이 개 끗발이라는 말처럼, 인생 초기에는 '엄청난 투자'를 한다. 그러나 자살률 1위라는 오명 국가가 된 것은, 삶을 하나의 과정, 인생의 희로애락의 절차로 간주하지 않는 사회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적인 행복을 추구하는데는 엄청난 돈과 에너지를 쓰지만, 한 가족을 벗어나 이웃, 공동체, 타인들과의 공존과 협력체제를 만들어나가면서 '공적 행복'을 추구하는데는 돈과 에너지를 쓰지 않으려는 근시안적인 사회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후자의 과제는 '절차적 민주주의'를 넘어서 '실질적인 민주주의' 실현을 뜻한다. 한국의 의료서비스의 발달은 가히 놀랍다. 보건의료 논문들을 검색하지 않더라도 언론보도의 '겉보기' 통..
2025. 3. 25.
카토그램 (Cartogram): 세계 인구 지도. 한국이 캐나다보다 더 크고
카토그램 (Cartogram): 세계 인구 지도. 한국 (남한)이 캐나다보다 더 크고, 일본과 러시아는 큰 차이가 없고, 북한은 오스트랄리아(호주)보다 더 크고, 중국 인도는 합쳐서 26~27억이니까, 세계 인구의 37%~40%에 육박함. - 한국은 버마,스페인과 가장 인구가 가까움. - 남한 북한 합치면 7천 600만이니까,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보다 더 큰 나라이고, 에티오피아-이란-독일-터어키에는 조금 못 미침. - 한국의 도시화율은 91%가 넘고, 이 도시화율 속도는 지난 200년 세계사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기록될 것임. - 한국 주거는 전 국토의 2~3%에 모두다 밀집되어, 비효율적이고 빽빽한 도시화 과정, 비-생태적인 비-인간적인 도시 계획 속에서 살고 있음. - 저출산율 문제는, 사회정치 문..
2015. 7. 27.
보수언론 비교우위론, 상호혜택이 없는, 적을 무찌르는 전투론으로 퇴락
2007.02.14 17:28:33 (메모) 2013.nov 5. 요즘 중앙일보를 비롯한 친-자본 보수 일간지들이나 잡지, TV 선전 등에서 인기몰이를 하는 단어, 마치 삼성의 1등주의 광고처럼, 직장인들에게 성공신화를 강요하면서, 등장하는 단어가 바로 비교우위이다. 이 말이 단점은 적게 보이고 장점을 키워라는 성공전략처럼 보인다. 포장이 아름다울수록 이론은 도덕적으로 타락할 확률이 높다. 중앙일보식 비교우위론 예찬은 귤화위지이다. 왜 그런가? 비교우위 이론을 아주 좋게 해석해서, 원래 나와 너라는 양자 상호 혜택이라는 이론인데, 돈-숭배,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돈이면 된다는 사고방식과 그 논리는, 비교우위를, 절대적 고독, 모든 사회관계로부터 차단되고 고립된, 고호보다 더 고독한 개인들간의 냉정한..
2013. 1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