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철학

인간 본성, 선악, 협동과 경쟁

by 원시 2021. 1. 9.

인간 본성 논쟁은 늘 흥미롭고, 계속해서 문제제기를 해야 한다. 영원히 얻을 수 없는 답이지만.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장면이다.

한 사람이 태어나서 살아가면서 몇 가지 행동들과 몇 가지 사회적 관계들을 맺으며 살아갈까? 

시간적 공간적 제약조건들을 풀어버린다면, 최대한 만들어 낼 수 있는 장면들은 무엇인가?

선한 존재다, 악한 존재다, 협동이 먼저다, 경쟁이 선차적이다, 존재가 본질에 앞선다 등은 한 가지를 먼저 정해놓고 그것을 제 1원리로 삼을려고 하는데,

문제가 늘 발생하는 건, 시간의 흐름 속에서 굴곡과 변화가 생긴다는 것이다. 좋은 쪽이건, 진보하는 방향이건, 퇴보하는 쪽을 선택하든지 간에, 

그래서 제 1원리를 강조하거나 전제할 때도, 주의할 점은 여러가지가 있다.

인생살이는 늘 경쟁도 있고, 협동도 있고, 선도 있고 악도 혼재해있다. 

정치도 마찬가지고, 인간활동 전반이 그러하다. 여기에서 사람들이 쓸 수 있는 단어는 정치적 지혜의 발동인데, 이것 역시 사람들이 구체적으로 체현하기 때문에, 누가 하느냐에 따라 '작품의 결과'가 달라진다.



협동 가능 조건들_버스를 미는 사람들_빙판_왜_2021_01_07.mp4


맹자는 방심 (放心)하지 말라고 말했는데, 그 말은 4단의 마음을 '버리지 말라. 잃어버리지 말라'는 뜻이다. 맹자도 마르크스도 이분법과 대조법에 능한 저자인데, 사람들에게 하나와 둘, 두개, 두 개 쌍으로 보여주는 이 단순한 화법은 눈이 두개, 귀가 두개, 두 파편의 조합과 균형 자체가 인간의 모습이기 때문에, 두 가지 비교는 늘 극적인 효과를 낳는다. 


맹자의 화법은, 사람들이 닭과 개를  기르다가, 이것들을 잃어버리면 울고불고 하는데, 자기 마음, 인,의,예,지를 기르지 않는 것은 부끄러워하지 않음을 극명하게 대조적으로 보여준다. 


아리스토텔레스 자연학과 세계관을 거부한 현대 과학과 우리들은 대부분 목적론을 다 수용하지 않는다. 다만 아직도 굉장히 강력한 세계관으로 우리들 곁에 남아있다.

목적론이 정치적으로 위험할 때도 있고, 또 행동의 동력이 되기도 했다. 


<참고> 세계관. 목적론.


이런 맹자나 아리스토텔레스의 세계의 본질에 대한 이해와 지식, 즉 4가지 원인들은 다 일종의 '목적론 teleology' 세계관이다. 사람과 자연, 이 모든 우주질서를 설명할 때, 그것의 궁극적인 '목적'과 '기능'이 뭔가를 규명하고 정의하려는 세계관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4원인들, ( material, form, efficient, final ) cause, 이렇게 영어번역어를 보면 (고대 그리스어에서 영어로), 물질, 형식, 효과(실제 효력), 최종 원인 이렇게 되는데, 예전에는 물질을 질료 hyle, 형식을 형상 eidos, 작용 (kinoun), 목적 (telos) 이라고 한국어로 번역했던 거 같다. 지금은 고대 그리스어 배우고 가르치는 학동들이 어떻게 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이러한 목적론, 틸리오로지가 맞건 틀렸건, 좋은 설명이건 아니건간에, 이러한 사고방식이 몇 천년 전부터, 수백만년 전부터 인간 생존기로부터, 실천들로부터 배운 게 아닐까 한다. 


이러한 맹자나 아리스토텔레스의 강의 대상은 '왕의 후보, 군주'인데, 결국 왕이 되려면 왕이 가져야할 덕목들은, 맹자의 4단이나,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가로서 탁월함 arete)  이나, 다 각고의 연습과 훈련을 통해서 현실화된다. 



아리스토텔레스 '피식스' 설명은 아직도 흥미롭다. 불분명하기도 하고. 

(1) 물질: 물질적 원인. 청동. 청동으로 만든 동상. 


(2) 형식, 형태: 형식적 원인. 형식 (형태). 사물이나 인간이 '바로 그것' '바로 그 사람임'을 설명할 때, 동상의 '형태' '형식'


eidos 이 말은 플라톤의 이데아 idea, 즉 모든 존재의 실체를 뜻하는 것인데, 삼각형의 '이데아'는 참된 지식, 참된 앎인다. 삼각형에 대한 정의이기도 하다.


삼각형은 3개의 변과 3개의 꼭지점으로 이뤄진 다각형이다. (A triangle is a polygon with three edges and three vertices) 

형태,형식을 뜻하는 에이도스가 뭔지는 아직도 불분명하지만, 이러한 어떤 '존재' '실체'에 대한 참된 앎,지식, 그것에 대한 '정의'와 연관이 있다. 

그런데 문제는 어떤 사물의 기능, 책상의 기능, 말의 기능 (이동 수단, 전쟁용 말), 도공의 기능은 그것들을 정의할 때도 필수적인 요소들이다. 그렇다면 '목적인 final cause,텔로스'와 에이도스 차이점과 공통점이 생기게 마련이다. 


(3) 효력 결과 발생자. 행동자. kinoun 키눈.  원하는 결과를 발생시키는 원인. 변화 혹은 쉼의 제 1차적 발생자. (the primary generative cause) 청동 동상을 만들어내는 장인. 조언을 해주는 사람. 아이의 아빠. 


(4) 목적인. 텔로스. 최종적 원인 (목적인) 뭔가 행동을 할 때 세우는 목적. 걷기의 목적은 건강. 정치의 최종목적. 인생의 텔로스. 강아지의 텔로스. 


In Physics II 3 and Metaphysics V 2, Aristotle offers his general account of the four causes. 


This account is general in the sense that it applies to everything that requires an explanation, including artistic production and human action. Here Aristotle recognizes four kinds of things that can be given in answer to a why-question:


The material cause: “that out of which”, e.g., the bronze of a statue.


The formal cause: “the form”, “the account of what-it-is-to-be”, e.g., the shape of a statue.


The efficient cause: “the primary source of the change or rest”, e.g., the artisan, the art of bronze-casting the statue, the man who gives advice, the father of the child.


The final cause: “the end, that for the sake of which a thing is done”, e.g., health is the end of walking, losing weight, purging, drugs, and surgical tools.

   

https://plato.stanford.edu/entries/aristotle-causality/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