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두 개를 읽고, 드는 몇 가지 단상을 적는다.
<민주노동당 수임기관 6차 전체회의 내용 분석>
민주노동당 수임기관 6차 전체회의에서는 향후 진보대통합 추진 방안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의결하였다.
1. 민주노동당은 진보신당 9.4 대의원대회에서 5.31합의문 및 8.28 합의문이 부결된 조건에서도, 그간의 합의 정신에 따라 진보대통합을 바라는 모든 분들을 존중 할 것이며, 5.31 최종합의문에 동의하여 8월 27일 구성된 새통추에 참여하는 모든 개인 단체 및 정당과 함께 새로운 통합진보정당 건설을 계속 추진한다.
2. 9월 내에 임시 당대의원대회를 개최하여 5.31 최종합의문에 동의한 국민참여당의 통합 대상 여부를 확인하고, 구체적 추진 방안은 실정과 조건을 고려하여 1항의 내용에 따라 광범위한 의견을 수렴하여 마련한다.
2011년 9월 7일 08:00시
분석1> 분석에 앞서: 지배계급의 행정 공문서는 동양에서는 어려운 한자말, 서양에서는 어려운 라틴어를 많이 씀으로써, 글을 읽지 못하거나 저-학력층 노동자 대중들이 <행정>과 <정치> 공관 출입을 어렵게 한 적이 있다. 따라서 일하는 사람들이 정치의 주체가 되기 위해서는, 말로만 <노동자 정치 세력화>를 울부짖을 게 아니라, 노동자들이 스스로 <행정 공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 정치적 조건들을 만들어야 한다.
수임기관 6차 내용의 결론은, 민주노동당 (당권파의 의지가 담긴 내용이긴 하지만 비-당권파와 타협의 산물로 보임)은 <국민참여당>과 통합할 의지가 강력하다. 2항을 보면 <국민참여당과의 통합 추진 방안을 마련한다>가 그 결론이기 때문이다.
분석 2> 1항의 핵심은, 진보신당 노.심.조 등 개별적인 정치인들을 겨냥한 결정사항이다. "531합의안, 828 합의 정신"...바라는 모든 분들을 <민주노동당>에서 존중한다는 뜻이다. 9월 6일 노.심.조 등의 <국회연설>에 내용과 일치한다.
민주노동당 당권파의 전략은, 국민참여당을 당 통합대상으로 한다는 <안건>을 9월 임시당대회에 올리지 않을 것이다. 만약 직접 <안건>으로 상정될 경우, 3분의 2 통과가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정희 대표가 계속해서 주장한대로 "국민참여당과의 당 통합은 민주노동당 당원 총투표로 결정한다"는 안건을 이번 민주노동당 <9월 임시 당대회>에 상정할 것으로 예측된다.
분석4> 민주노동당은 국민참여당을 선택할 것인가? 아니면 진보신당의 노.심.조 등과 탈당가능성있는 진보신당 당원들을 선택할 것인가?
만약 <국민참여당>과의 통합은 민노당 당원 총투표로 결정한다는 <안건>이 상정되고, 통과된다고 한다면, 명분상으로는 노.심.조 등의 <민노당 재결합파>의 입지점은 축소된다. 현재 진보신당 내부에서 기획/집단 탈당이 발생하지 않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러나 곧 뇌관은 터질 것으로 추측된다.
분석5> 만약 민주노동당 <임시 9월 당대회>에서 이도 저도, 즉 당권파와 비-당권파의 안이 아무것도 통과되지 않거나, 난항을 겪을 때는, 민주노동당 입장에서는 노.심.조의 개별입당, 그리고 국민참여당 유시민을 포함한 간부들의 개별입당과 향후 <당이름은 이렇게 될 가능성이 높음: 녹색-민주-평화당>의 주요 직책들을 제시할 확률도 높다.
<평가> 이러한 논의의 문제점은 - [대의원들께 (2)] 통합의 맹점: 4월 총선 낙선자들에게 부활은 없다http://bit.ly/nl1Ruk 에서 밝힌대로, 진보정당 역사상, 최대강력한 <계파정치: 리틀 DJ 동교동, 리틀 YS 상도동계> 정치가 득세할 확률이 높다. 두번째로는, 2012년 4월 총선 낙선자들은 1997년 한나라당 대선 후보들 (9 잠룡들)의 정치적 운명처럼 될 확률이 높다.
진보신당은 <9.4 당대회> 이후, 지난 11년, 지난 3년의 진보정당사를 뒤돌아 보고, 우리의 정치적 역할에 대해서 진지하게 고민하고, <독자파>건 <통합파>건, 그 잘못된 이분법에서 고통받고 상처받았던 당원들과 같이, 새로운 진보정당 운동을 논해야 할 것이다. 동아리, 써클식으로 당을 운영해서는 안된다.
아울러 <민주노동당>과의 정치적 신뢰 회복과 축적의 실패가 <9.4 당대회 결과>이다. 다른 방식들로 정치적 신뢰회복, 축적을 하라는 명령인 것이지, 민주노동당과 대화, 연대, 선의의 경쟁을 포기하라는 것이 아니다. 마치 <민주노동당>과의 정치적 신뢰 회복은 진보신당 내 <통합파>의 몫인 것으로 간주하거나, 그렇게 착각해서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