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정치/북한_DPRK

비무장 지대 160만발, 남한 130만발 지뢰. 지뢰 수명 100년. 연간 500발 수거 ( 2019년 )

by 원시 2024. 1. 1.

 

1) 지뢰 문제 해법. 지뢰 수명은 100년 2053년까지 기다리는 방법

2) 연간 남한쪽 500발 지뢰 제거 중.

3) 국제 공조를 얻어 지뢰 제거 해결.

4) 지뢰는 한국 전쟁 당시, 미군, 중국, 인민군 모두 지뢰를 설치.

5) 1960년대   미군 민통선 지뢰 -  대부분 미확인 지뢰, 보고서 남기지 않고 미국으로 가버림.

 

 

 

--------------


비무장지대 지뢰 제거 ‘넘지 못할 산’ 아니다


남한에만 100만~130만발 가량 매설 추정 


 국제사회 협력받으면 예산·시간 크게 절감


기자박경만


수정 2019-10-19 11:23등록 2019-10-12 05:00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고랑포리의 경순왕릉 가는 길 옆 철조망에 지뢰 표지판이 걸려 있다.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고랑포리의 경순왕릉 가는 길 옆 철조망에 지뢰 표지판이 걸려 있다.
비무장지대(DMZ) 일대는 생태계의 보고지만 100만발 이상의 지뢰가 묻힌 ‘지뢰밭’이다. 경기 북부와 강원도의 민간인통제구역(민통선) 주변 숲속 곳곳에서는 지뢰 경고판을 흔하게 볼 수 있다.

지뢰가 대량으로 묻혀 있다는 것도 문제지만, 더 큰 문제는 따로 있다. 어떤 지뢰가 어디에 얼마만큼 묻혔는지 아무도 모른다는 점이다. 한국전쟁 과정에서 국군과 미군, 인민군, 중국군은 누구라 할 것 없이 전선 곳곳에 지뢰를 묻었다. 이런 작업은 전쟁이 끝난 뒤에도 다르지 않았다. 냉전기인 1960년대에도 미군은 민통선에 지뢰를 집중적으로 묻었는데, 이들 지뢰는 대부분 미확인 지뢰로 남았다. 

 

1970년대 초 미군이 민통선에서 철수하면서 관련 정보를 한국 쪽에 넘기지 않았기 때문이다. 환경단체인 ‘생태지평’은 이렇게 방치된 미확인 미군 지뢰가 60만발가량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정부와 시민단체, 전문가들의 추정치를 종합하면, 남한에는 미군이 묻은 지뢰를 포함해 대략 100만~130만발의 지뢰가 묻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군은 1990년대부터 해마다 4억여원을 들여 비무장지대와 후방지역 지뢰를 제거하고 있다. 연간 수거량은 500발 정도다. 환경단체인 녹색연합은 이런 방식으론 남한의 모든 지뢰를 제거하는 데 1조340억원의 비용과 469년이라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이와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24일 유엔 연설에서 비무장지대의 지뢰 제거를 위한 국제사회의 협력을 요청했다. 문 대통령은 “유엔지뢰행동조직 등 국제사회와의 협력은 지뢰 제거의 투명성과 안정성을 보장할 뿐 아니라 비무장지대를 단숨에 국제적 협력지대로 만들어낼 것”이라며 “비무장지대를 국제평화지대로 만들자”고 제안했다.

전문가들도 국제사회와의 협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지뢰피해자를 돕는 민간단체인 평화나눔회의 조재국 대표는 “지뢰 문제 해결을 위해 비무장지대 일원의 지뢰지대를 국제사회에 개방하고 유엔 등 국제기구의 협력을 끌어낸다면 한반도의 지뢰 제거는 넘지 못할 산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비무장지대의 지뢰를 제거하지 말고 생명이 다할 때까지 그대로 두자는 의견도 있다. 서울대 환경계획연구소 유재심 박사는 “지뢰의 수명은 100년 이상 된다고 한다. 지뢰가 저절로 기능을 못 할 때까지 30년 정도 기다리면 비무장지대는 큰 숲으로 한반도의 허파가 될 것이다. 남북의 다음 세대가 그 숲을 보전할지 개발할지 협의해 결정하면 된다”고 말했다.

글·사진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