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history)/5공_전두환_1980-87

1212 군사쿠데타 전사자, 정선엽 병장. 1997년 12월 김대중 김영삼의 합의로 전두환 노태우 범죄자들을 사면한 것도 오류다.

by 원시 2023. 12. 13.

김오랑 소령의 이름은 기억하고 있는데, 정선엽 병장의 이름은 정확히 알지 못했다.

전두환 노태우 정호용, 허삼수 허화평 장세동 신군부의 범죄를 더 일찍 단죄하지 못한 게 아쉽다.

1997년 12월 김대중 김영삼의 합의로 전두환 노태우 범죄자들을 사면한 것도 오류다.

 

 

 

언론보도.

 

 

12·12' 육군본부 지키다 전사…44년 지나도 여전한 슬픔
최재영 기자
작성
2023.12.12 20:28

<앵커>

오늘(12일)은 12·12 군사 반란이 일어난 지 44년이 되는 날입니다. 당시 반란군에 전세가 기울었는데도 끝까지 맞서다 숨진 군인, 고 김오랑 중령과 고 정선엽 병장을 추모하는 행사가 곳곳에서 열렸는데요. 서울의 봄 영화가 흥행하면서 이들의 마지막을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지만 남아 있는 가족들은 여전히 고통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최재영 기자가 그들을 만나봤습니다.

<기자>

매년 12월 12월이면, 고 정선엽 병장의 가족과 친구들은 한자리에 모입니다.

그가 다녔던 고등학교에 있는 '정선엽 소나무' 앞입니다.

이미지 확대하기

[정형윤/고 정선엽 병장 친구 : "(소나무에) 좀 힘들다.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그렇게 하면 (친구가) 살아있는 느낌처럼, 어떤 그 기운을 얻을 수가 있어요.]

정 병장은 1979년 12월 13일 새벽, 육군본부 지하벙커로 진입하려는 반란군에 저항하다 총상을 입고 숨졌습니다.

[정훈채/고 정선엽 병장 형 : 중요한 곳인데 신참이 갈 수 없다…. 그리고 본인이 그곳을 자청해서 갔다고 그래요.]

제대를 3개월 앞둔, 23살 동생의 황망한 죽음은 가족들에겐 평생의 한으로 남았습니다.

[정훈채/고 정선엽 병장 형 : (어머니는) 아들 그리워하다가 치매도 일찍 오셨고. 정말 마음고생, 한을 품고 사시다가 가셨죠.]

지난 1996년, 12.12 관련 전두환 씨 재판에서 반란군이 정 병장을 살해했다는 게 인정됐지만, 상처는 쉽게 아물지 않았습니다.

[정훈채/고 정선엽 병장 형 : 불의한 사람들은 떵떵거리고 잘 살고. 반란군을 막았던 사람들은 가족들이 전체적으로 힘들게 살고 있는 것이 정말 힘들었죠.]

43년이 지난 지난해에야 '순직자'에서 '전사자'로 인정됐지만, 다시 싸우고 있습니다.

'오인에 의한 총기사고'라며 진상 규명을 외면해 왔던 정부를 상대로 위자료 청구소송을 제기한 겁니다.

국방부는 전사자 배상이 있어 별도 위자료는 이중배상 금지 원칙에 위배된다고 맞서고 있습니다.

[정규상/고 정선엽 병장 동생 : 나라를 위해서 책임감을 가지고 전사한 건데, 그런 식으로 쉽게 쉽게 생각해버리고 쉽게 쉽게 이렇게 한다는 게 참 참담하고 어이가 없죠.]

조선대학교는 1학기를 마치고 입대한 고 정 병장을 기억하기 위해 교내에 조형물을 설치하고 명예졸업장을 수여하기로 했습니다.

(영상취재 : 최대웅, 영상편집 : 박기덕, 디자인 : 조성웅)
출처 : SBS 뉴스 
원본 링크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459645&plink=THUMB&cooper=SBSNEWSPROGRAM&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12·12' 육군본부 지키다 전사…44년 지나도 여전한 슬픔

오늘은 12·12 군사 반란이 일어난 지 44년이 되는 날입니다. 당시 반란군에 전세가 기울었는데도 끝까지 맞서다 숨진 군인, 고 김오랑 중령과 고 정선엽 병장을 추모하는 행사가 곳곳에서 열렸는

news.sbs.co.kr

 

 

 

 

 

 

경향신문 보도.

 

그들이 민주주의 지켰다…‘서울의 봄’이 부른 참군인 추모열기
입력 : 2023.12.13 06:00 수정 : 2023.12.13 06:01고귀한·김정호 기자

영화 흥행 타고 정선엽·김오랑 등

군사반란에 맞선 군인들 ‘재조명’

대학가 ‘독재 반복 말자’ 대자보도

그들이 민주주의 지켰다…‘서울의 봄’이 부른 참군인 추모열기


12·12 군사반란 이후 44년. 국민들이 전직 대통령 전두환씨를 비롯해 군사반란에 성공한 35명의 군인들을 기억 속에서 다시 끄집어내고 있다. 영화 <서울의 봄>이 흥행하면서다. 당시 태어나지도 않았던 MZ세대들은 스크린을 통해 신군부의 악행을 목도하고 있다. 대학가에는 독재의 역사를 반복하지 말자는 대자보가 붙고 있다.

군사반란 세력에 맞서다 전사한 ‘진정한 군인’들을 추모하는 움직임도 활발하다. 광주 동신고에서는 육군본부를 지키다 산화한 정선엽 병장(왼쪽 사진)을 추모하는 행사가 44년 만에 처음 마련됐다.

경남 김해시에서는 김오랑 중령(오른쪽)을 위한 추모식이 열렸다. 김 중령은 12·12 군사반란 당시 특전사령관을 체포하려던 반란군에 맞서다 6발의 총을 맞고 전사했다.

민주주의를 지켜온 것은 힘 있는 권력이 아니라, ‘선량하고 평범한 사람들’이라는 사실을 시민들은 다시 새기고 있다.

12·12 군사반란에 맞서 육군본부를 지키다 산화한 정선엽 병장(당시 23세)의 동생 정규상씨(64)는 12일 오후 형의 이름 딴 소나무를 지그시 바라보며 한참을 어루만졌다. 형과의 추억에 잠긴 듯 눈을 감고 고개를 떨구기도 했다. 그의 곁에는 정 병장을 그리워하는 친구와 동문 등 수십명이 함께했다.

이날 오후 정 병장의 추모식이 모교인 광주 북구 동신고등학교 내 ‘정선엽 소나무’ 앞에서 열렸다. 이 소나무는 불의에 맞선 정 병장의 의로운 정신을 기리기 위해 동문들이 2017년 직접 심은 것이다. 애초 30㎝ 크기의 묘목에 불과했지만 오랜 시간이 지나며 3m를 훌쩍 넘게 자랐다.

불의에 꺾이지 않은 의로운 군인…“고귀한 희생 기억할게요”

‘서울의 봄’ 흥행에…정선엽 병장·김오랑 중령 애도 물결

정 병장 모교 광주 동신고서
44년 만에 첫 추모식 개최
동문·후배들 “재조명 기뻐”

김해서도 김 중령 추모제 열려
“정부 차원 명예회복을” 촉구

 


12·12 44주년…‘참군인’을 기리다 광주 동신고 동문들이 12일 교정에서 열린 정선엽 병장 44주기 추모식에서 기념수에 헌화하고 있다. 정 병장은 12·12 군사반란이 일어난 직후인 1979년 12월13일 국방부와 육군본부를 연결하는 지하 벙커에서 1공수여단 소속 반란군의 총탄에 숨졌다(위 사진). 이날 경남 김해시 김해삼성초등학교에서는 김오랑 중령 44주기 추모제가 열려 여야 정치권과 주민 등이 고인을 기리고 있다. 김 중령은 1979년 12월13일 새벽 신군부 세력에 맞서 총격전을 벌이다 전사했다. 연합뉴스

1956년 전남 영암에서 태어난 정 병장은 제대를 3개월 앞둔 1979년 12월13일 오전 1시40분쯤 국방부 지하 벙커에서 1공수여단 소속 반란군에 저항하다 그들이 쏜 총탄에 맞아 숨을 거뒀다. 총을 뺏으려 하는 반란군에 ‘중대장 지시 없이는 절대 줄 수 없다’며 최후까지 항거했다.

정 병장 추모식은 그가 숨을 거둔 지 44년 만에 처음 열린 것이다. 영화 <서울의 봄>이 계기가 됐다. 정 병장은 영화에서 등장한 ‘조민범 병장’의 실제 인물이다. 동문들은 정 병장의 희생과 의협심을 더 많은 시민이 알아줬으면 좋겠다는 취지에서 모교에 협조를 구하고 추모식을 계획했다.

정 병장의 고향 친구이자 동기인 임성주씨(66)는 “매년 동문들끼리 조용히 선엽이를 추모하고 기려왔는데 영화로 인해 그의 희생이 더 많은 국민에게 알려졌고 재조명돼 기쁘다”고 말했다.

그의 추모식에는 동문들 외에도 많은 사람이 참석했다. 이 학교 3학년 재학생 20여명은 수업을 마친 뒤 교복 차림으로 선배의 추모식을 지켜봤고, 일반 시민들도 더러 있었다. 김모군(18)은 “영화 속에서 선배가 너무 짧게 등장해 아쉬운 부분도 없진 않지만 그 용기와 정의로움은 충분히 전달됐고,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노범 동신고 총동창회장은 추모사를 통해 “선배의 행동과 희생은 국민으로서의 책임·의무를 상기시키고 민주주의의 가치와 정신을 되살려주고 있다”고 밝혔다. 한래진 동신고 교장도 “그의 죽음은 학교에서 배운 그대로 불의와 맞서 싸울 줄 아는 의로움이었다”며 “그의 숭고한 정신을 학교에서 열심히 가르치고 배우겠다”고 말했다.

정규상씨는 추모식이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아직 영화를 보지는 못했지만 영화로 인해 의롭게 죽은 형의 삶이 재조명된 것 같아 감사하다”면서도 “반란군들이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세상을 뜬 것은 매우 안타깝다”고 말했다. 정 병장이 사망 당시 재학 중이던 조선대에서는 명예졸업장 추서를 추진하고 있다.

이날 김해에서는 김오랑 중령 추모제가 열렸다. 김 중령은 영화 <서울의 봄>에서 배우 정해인씨가 열연한 오진호 소령의 실제 인물로, 김해는 그의 고향이다. 김해인물연구회와 활천동 주민자치위원회 등이 주관해 인제로 51번길 삼성초등학교와 삼정중학교 사이 산책로의 김 중령 흉상 앞에서 개최된 추모제에는 150명이 넘는 추모객이 모였다.

김 중령의 흉상은 김해 활천동 주민자치위와 청년회, 김해인물연구회가 모금과 일일 찻집 수익금으로 2014년 6월6일 건립했다. 이후 활천동 주민자치위 등은 매년 12월12일 ‘참군인 김오랑 중령 추모제’를 지난 10년간 열고 있다. 김 중령은 자녀가 없어 이날 추모제에는 조카 김영진씨(67)가 유족 대표로 참석했다.

김 중령은 사망 당시 35세, 계급은 소령이었다. 그는 사후 10년이 넘도록 추서되지 못하다가 1990년 중령으로 특진 추서됐고, 2014년 보국훈장을 받았다. 사망 원인은 지난해 12월7일 ‘순직’에서 ‘전사’로 바뀌었다.

10년 전 고인의 추모비 건립을 주도했던 유인석 활천동 주민자치위 고문은 “주민들이 돈을 모아서 흉상을 세우고 해마다 추도식을 열었지만 이렇게 많은 사람이 모인 것은 처음”이라며 “김오랑 선배님의 혼과 정의가 되살아나는 것을 느낀다”고 말했다.

추모제에는 친구·후배들도 함께했다. 김 중령의 친구인 배병희씨(80)는 “참군인 오랑이를 이렇게 좁고 추운 골목에 외롭게 놔두면 안 된다”며 “정말 씩씩하고 의리 있는 친구였다”고 말했다. 고인의 조카 김영진씨는 “삼촌의 빛나는 모습이 영화를 통해 더 많은 국민에게 알려지고 오늘 이렇게 추모할 수 있어 감사하다”고 말했다.

참석자들은 육군사관학교에 고인의 추모기념물이 세워져야 하며, ‘보국훈장’보다 훈격이 높은 ‘무공훈장’이 추서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한 참석자는 “영화 덕분에 김오랑 중령의 참군인 정신이 젊은이들에게 널리 알려져서 참으로 다행”이라며 “이제라도 정부 차원의 명예회복과 공식 추모제가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