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시인 이육사, 광야 -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중,고등학교 문학 교육의 문제점

by 원시 2023. 10. 13.

국어 문학 교육 철저히 바꿔야 한다.
시를 자기 수준에서 창작할 수 있도록 수준높이 문학 교육이 필요하다.
에세이, 시, 소설, 희곡 등을 짧게라도 스스로 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0세 이후 자기 삶 직장 생활 연애 가족 생활에도 도움이 된다.


나 역시 중학교, 고등학교 때 국어 1, 2, 문학 교과서로 시, 소설, 희곡, 수필, 산문 등을 배웠다. 문학에서 정답은 작가와 독자들 사이에 있는 주관적인 해석에 있기 때문에, 한 정답을 객관식으로 고르는 것은 삶의 총체성을 다루는 '문학 정신'에 어긋난다. 

 

학생이 시, 소설, 희곡, 수필을 직접 쓰거나, 기존 작가의 작품들에 대한 자기 소감을 쓴 것에 대해서 평가할 수는 있겠다. 

 

시를 분석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를 장려해야 하지만, 하나의 '답'을 강요해서는 안된다. 

 

이러한 '정답 고르기' 문학 교육법은 이제 폐지되어야 한다.

 

이육사 아래 시에 대한 해석들은 수 십가지 수 백가질 것이다. 그것을 자유롭게 말하게 하라.


 

이육사 - 광야

 

 

 


까마득한 날에
하늘이 처음 열리고
어데 닭 우는 소리 들렸으랴

모든 산맥들이
바다를 연모해 휘달릴 때도
차마 이곳을 범(犯)하던 못하였으리라

끊임없는 광음(光陰)을
부지런한 계절이 피어선 지고
큰 강물이 비로소 길을 열었다

지금 눈 내리고
매화 향기 홀로 아득하니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

다시 천고(千古)의 뒤에
백마 타고 오는 초인(超人)이 있어
이 광야에서 목놓아 부르게 하리라

 
 
( 1945년 《자유신문》에 발표. 1946년 《육사시집》에 수록.)
 
 
 
아래와 같은 성실한 시 해석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시험 목적용 시 해석과 교육 방식은 지양될 필요가 있다.
 
 
 

 
한겨레 보도.
 

 
 
1995.7.1 조선일보 보도. 이육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