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정치/민주당

613 지방선거 이후 민주당 지지율 하락 이유들

by 원시 2018. 6. 29.

민주당 지지율은 앞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


첫번째 공평한 사회, 일하는 댓가를 정당하게 받는 사회를 만들고 있지 못하다. 그 속도도 더디다.


(최저임금 인상 공약 실패, 자영업 임대료 인하 더딤, 중소기업 하청단가 문제 공론화 실패, 가시적 재벌 개혁 없음, 분배제도 법률화 거의 없음, 큰 정부에 필요한 증세 계획 부재)


두번째 2017년 문재인 정부 출발 이후, 문재인 청와대 팀과 달리 민주당만의 정당 색채를 드러내지 못했다.


(문재인 청와대 지지율 상승에 의존하는 민주당으로 전락함, 정책적으로 단기 중기 단기 의제화 거의 없음. 개인기 위주 sns, 방송출연에 자족하는 정치 활동)


세번째 자유한국당의 궤멸과 하락으로, 그동안 마음은 진보정당 투표는 민주당에 했던 진보적인 유권자들이 민주당이 아닌 진보정당(정의당이나 녹색당)을 지지할 확률이 커졌다


네번째 지방정부와 의원들 정책에서 민주당 이념에 근거한 장기적인 국정 비전이 보이지 않는다. 이는 자유한국당의 궤멸과 더불어 민주당도 이 정체성 문제에 직면할 것이고, 그 출발점이 613 지방선거 승리이다. 


다섯번째, 평화, 남북한 경제협력 문화적 교류와 같은 가시적인 성과가 드러나기 위해서는 2~3년 걸린다. 남북 정상회담, 북미회담에 이은 북미수교와 같은 정치적 성과를 2~3년 안에 가져오지 않는다면 평화 의제도 민주당의 지지율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민주당이 착각해서는 안된다. 평화 주제가 꼭 민주당 소유권이 있는 게 아니다. 정의당도 평화 관련 주제에 대해 자기 목소리를 더 구체적으로 낼 필요도 있다.


여섯번째, 자유한국당 지지율은 여론조사 기관에 따라 큰 차이가 난다. 하나는 10%, 다른 하나는 18.3%로 나왔다. 전반적으로 자유한국당 지지율은 상승하지 않을 것이고, 10~15% 사이로 추측된다. 하지만 한국 시민사회의 '보수성'의 깊이와 두께는 상상 이상으로 단단하다. 이 시민사회의 보수성은 자유한국당 뿐만 아니라 민주당도 보수화시키는 역할을 해왔다. 이러한 시민사회의 보수성이 보수파 정당의 지지율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것이 박근혜 탄핵 이후, 촛불 시민 항쟁 이후 한국 정치의 새로운 변화다. 



2018년 6월 4째주 정당 지지율 추이


1. 


민주당 52%,

자유한국당 10%

정의당 9%

바른미래당 5%

민주평화당 1%


2. 리얼미터 (조사기관)


민주당 47.8%

자유한국당 18.3%

정의당 10.1%

바른미래당 5.3%

민주평화당 2.3%














민주당 47.8%

자유한국당 18.3%

정의당 10.1%

바른미래당 5.3%

민주평화당 2.3%


(리얼미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