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가지 생각나는대로 메모
원시
2008.07.04 09:48:155641
가만보니까 아도르노 책 이름이 아이디이네요? [Negative Dialektik] 근데, 변증법이라는 번역은 올바른 것인가요? '변증' 왜 변증이라고 번역을 했을까요?...
부정변증법/ 도구적 합리성이 다른 종류의 합리성을 억압하거나 지배한다는 진단 (호르크하이머, 아도르노, Edmund Husserl 등)은 대체적으로 맞는 말인데요. 이 말을 정치적으로 잘 해석해야 할 듯 합니다. 선진자본국가, 제국주의 국가 경험을 한 상태에서 도구적 합리성의 '통제 불능'이나 '과잉'을 반성하고 (나찌의 광폭과 범죄, 히로시마 원폭 등) 그렇지만, 다른 나라들은 '도구적 합리성'의 과소발달로 고통당하고 있다. 이런 이야기가 오고가고...
하버마스가 말한 것은 -도구적 합리성 그 개념은 Horkheimer/Adorno [도구적 이성 비판 Zur Kritik der instrumentellen Vernunft, 1967] [계몽의 다이어렉틱 Dialektik der Aufklärung] 에서 말한 것과는 차이가 납니다. 하버마스가 이성이나 합리성 개념을 조금 자세히 설명한 대목이 있는데 [ 커뮤니케이션 행위 이론 1 Theorie des kommunikativen Handelns I] 126 페이지 - 151 페이지 사이입니다.
1) 목적 (전략적) 행위 - 행위자 (우리 인간 행위 주체)가 객관적 세계 (자연)와 맺는 방식과 연관
2) 규범적 행위 - 행위자 - 사회적이고 객관적 세계
3) 드라마 (연기/ 표현) 행위 - 행위자 - 주관적이고 객관적인 세계
(행위) - 주체 - 세계 이 세가지 관계에 주목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하버마스는 칼 포퍼의 [세가지 세계]를 공부해서 비판하면서 이런 생각들을 만들어냅니다.
제가 말씀드린 부분은, 하버마스가 (호르크하이머 아도르노와 달리) 인지-도구적 합리성을 인간행위에서는 어떤 "나쁜" 것으로 설명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인지-도구적 합리성이나, 목적(전략적)행위 자체 역시 그 행위 자체가 '타당한 것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그 목적 전략적 행위 자체가 '참'이라는 근거제시를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규범적 행위 역시 그 사회에서 '윤리적으로 타당성'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행위 주체들이 자기 행동들이 '윤리적으로 도덕적으로' 타당하다는 것을 입증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자기 표현적인 주관적인 행위 자체도 그 진실성을 인정받고 사람들에게 '동의'를 받기 위해서는, 그 자신 주관적 표현적 행위가 타당성을 입증받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생각의 뿌리는 하버마스의 [진리론 Wahrheitstheorien]에서 나오는데요, 나중에 오스틴과 썰의 언어 이론을 공부해서 나중에는 '행위' 이론과 접목시킵니다. 의사소통 행위 자체가 도대체 위의 3가지 행위들과 뭐가 다르냐? 이런 논쟁도 있었습니다. 의사소통행위는 '상호 이해 Verständigung'을 목표로 합니다.
베버 이야기는, 조금 더 다른 것 같습니다. [경제와 사회]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아실테니까...언급하지 않겠습니다.
다만 하버마스가 이해한 베버는 '도구적 합리성' 이런 개념은 아니고, 베버가 말한 목접 합리적 zweckrational, 가치합리적 wertrational, 감정(정서) (affektuell), 전통적 (traditional) 행위 분류 방식을 언급합니다. (TKH I S. 381)
...
마르크스도 넓은 의미에서는 부정변증법님이 이해한 "꽉막힌 근대성"을 비판한 것입니다. 가치(Wert) 법칙이 인간행위나 생산자의 노동동기를 지배하고, 고상함도 우아함도 없는 오로지 얼음같은 계산성이 지배하는 사회가 자본주의 사회라고 본 것입니다. (공산당 선언)
그거야 어렵게 않게 이해할 수 있는 방식이고요.
문제는 '꽉막히게' 만든 그 메카니즘이 뭐냐? 역사적 기원은 무엇이며, 현존하는 주체들은 누구냐? 콘트롤 파워와 타워는 어디에 있느냐를 밝혀내는 것이니까요. (아는 이야기 길게 말할 필요는 없겠습니다)
하버마스의 4가지 위기는 [후기 자본주의에서 정당성 문제들 Legitimationsprobleme im Spätkapitalismus 1973] 라는 책에서 4가지를 언급합니다. 이후 1980년대 초반에서 쓴 THK 책에서는 이러한 4가지 위기를 '생활세계'와 '체계'의 교환모델 (일방적 침식이 아니라, 하버마스는 교환 모델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게 Talcot Parsons 사회학과 다른 구상입니다) 을 가지고, '생활 세계의 내적 식민화' 테제를 이야기합니다. 10년 동안 생각이 조금 더 변한 것입니다.
아무튼 60년대 거치면서, 사회복지 국가 경험을 하면서, 하버마스가 서독을 보면서, 4가지 위기를 이야기합니다.
첫번째는, 경제적 위기 (위에서 말한 맑스의 가치 Wert 법칙이 국가 기구를 지배하는 경향이 있다),
두번째 위기는, 합리성 위기 (자본가들의 반항을 사회복지국가도 제어하지 못한다)
세번째는 '정당성 위기' (사회복지 국가의 행정주의적 태도와 관료주의적 호혜가 문화적 전통을 파괴하는 경향이 있다),
네번째 위기는 '동기 위기' 는 정치적 시민이 아니라 '상품소비'의 고객으로 전락해 버리는 것, 일상생활에서 소유 개인주의, 벤담의 공리주의 (Utilitarianism)가 개인 가치관의 주류를 이룬다. 이는 베버가 말한 '문화적 빈곤'과 연결되고, 제임스 오코너 (James O'connor)가 말한 '인성 위기 (personality crisis)' 와 그 맥이 닿아 있습니다.
-----------------------------------------------------------------------------------
그람츠키/ 하버마스가 아도르노, 호르크하이머 비판하면서 '도구적 합리성'을 다시 해석한 거예요.
이야기가 Jürgen Habermas, Theorie des kommunikativen Handelns Band 1, 2 이야기라면,
Max Weber 개념도 아니고, Adorno, Horkheimer 랑 다른 개념입니다.
하버마스가 2가지 '전회' turn 을 하게 되는데, 하나는 언어적 전회 (이는 철학에서 언어철학의 유행시기와 맞물려 있습니다. Frege, Wittgenstein, Austin, J Searle ) 또 다른 하나는, Thomas McCarthy 의 조언을 받아서, 사회학 이론들을 공부하게 되는데 THK II 에서 나온 Mead, Durkheim, Talcott Parsons 의 사회학 이론들입니다. 하버마스가 맑스주의자들의 '정치 경제학 비판'이나 '국가이론' 논쟁으로 가지 않고, 또는 채택하거나, 더 발전시키지 않고, 사회학 이론들을 자기 이론틀로 수용하게 되는 것입니다.
과학이냐 비과학이냐는, 과학철학에서 조금 다루고, 하버마스의 경우, 아도르노+ 하버마스를 한편으로, 칼 포퍼와 논쟁한 적이 있지요. 그거 보면 될 것 같고요.
그리고 하버마스가 '호르크하이머'에게 배운 거 별로 없습니다. 호르크하이머는 하버마스가 박사학위 받는 것도 반대한 사람이고, 학교에서 쫓아낼려고 한 사람입니다. 하버마스가 박사학위 논문 쓸때인가? 사회조사를 한 적이 있는데, 당시 아마 주제가 미국의 독일 미사일 기지 NATO 관련된 것인데요. 하버마스 사회조사가 '마르크스주의적' 방법론을 썼다고해서, 호르크하이머가 야단을 치고, 당장 때려쳐라고 한 적이 있습니다.
하버마스가 글을 잘써서 아도르노가 자기 조교로 쓰지만, 박사학위 논문은 아벤트로트(Wolfgang Abendroth)에게서 쓰게 됩니다. 하버마스 본인도 나중에는 서구강단 마르크스주의자랑 싸우게 되고, 독일 신좌파들 두치케 등과도 논쟁을 하고, 당시 68 독일 좌파들을 '좌파 파시즘(Linksfaschismus)'이라고 비판합니다.
한국에서 '우리안의 파시즘'이 90년대 임지현, 권 모 교수가 사용했다고 전해지는데, 역사적 맥락을 알고 썼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아도르노 - 마르쿠제 편지 사건도 있고 한데, 나중에 이야기하죠.
#좌파 파시즘 (Left wing fascism : Linksfaschismus) : 한스 위르겐 크랄 (Hans-Jürgen Krahl), 오스카 넥트 (Oskar Negt), 루디 두치케 (Rudi Dutschke) 등 당시 좌파 학생운동가와 아도르노, 하버마스가 갈등을 겪었다. 학생들은 자기 선생이었던 아도르노의 연구실을 점거했고, 아도르노는 경찰을 불러 자기 제자들을 내쫓았다. 아도르노와 하버마스는 이들의 점거농성을 '좌파 파시즘'으로 비난했고, 학생들은 아도르노를 강단에 안주하는 비실천적인 지식인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아도르노의 박사과정 제자 한스 위르겐 크랄은 교통사고로 목숨을 잃었고, 그 후 1년 뒤, 아도르노는 심장마비로 별세했다. 비극적인 선생과 제자의 죽음이 이어지고 말았고, 그 둘은 살아 생전 화해하지 못했다.
이 게시물을...
More Sharing Services진보신당을 알려주세요!
목록 수정 삭제
삭제 수정 댓글2.00.00 00:00:00
부정변증법
원시님 문득 뭐 하시는 분인지 무척 궁금해진다는...아이디가 책이름 맞습니다. 변증법이 맞는 번역인지 아닌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이미 이 용어로 굳어졌기에.... 그런데 제 아이디는 중의법입니다. 책이름이기도 하고 동시에 변증법을 부정한다는 의미도 있습니다. 실제 아도르노의 부정의 변증법 역시 헤겔 변증법을 파괴하는 것을 목적하였으니... 신기한 것은 네그리는 긍정만 남겨두면서 변증법을 파괴하고, 아도르노는 부정만 남겨두고 변증법을 파괴하는데, 그 실천적 후예들인 이탈리아 자율주의자와 멕시코 사파티스타는 거의 같은 모습을 보여주었다는.... 음. 그런데 하버마스가 글을 잘쓴다는것은 절대 동의 못함. 벤야민이나 아도르노는 확실히 글을 잘 쓴는데, 무슨 대학원생 페이퍼 같이 주저리주저리 엄청나게 늘어놓는 하버마스의 글은 때로 무척 지루합니다. 특히 "의사소통행위이론"에서 파슨스, 뒤르켐, 미드 부분.... 매우 중요한 부분임은 인정하지만...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49년 독일 쾰른 노동운동 자유, 형제애, 노동 Freiheit, Brüderlichkeit, Arbeit (0) | 2018.03.18 |
---|---|
마르크스가 인용한 랑게 Linguet (0) | 2018.01.07 |
존 스타인벡 [분노의 포도] - 미국 토지 역사, 이자를 먹고 사는 괴물 은행과 대부업체가 소작농 토지를 뺏아가 가는 과정. (0) | 2014.10.05 |
사랑, 그것은 신이 나를 완벽하게 아는 것처럼, 전체에 대한 앎이다. (0) | 2013.12.01 |
[글로벌 슬럼프] 핵심 주제들과 시사적 의미: 옮긴이 해제 (0) | 2011.12.07 |
"글로벌 주의보! 자본주의가 독감에 걸렸다" (0) | 2011.12.06 |
[글로벌 슬럼프] 카드로 만든 집 (1) | 2011.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