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_언어_languages

조선일보 잘못된 보도.AI 통역 아직도 부정확한 게 많다. 오히려 전문 번역 통역가 필요한 시대임. "AI가 다 통역 번역해주는 시대, 위기의 어문학과"

by 원시 2024. 2. 24.

AI 통역 번역기가 발달하더라도, 전문 통역사, 번역가는 필요하다. 지식이 전문화 분화되더라도, 더 전문적인 통역사 번역가가 필요할 수도 있다.

정밀성과 정확성이 떨어지면, 사소한 실수가 엄청난 재앙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

 

AI가 다 통·번역해주는 시대… 위기의 어문학과
대학들 정원 줄이거나 통폐합… 5년간 학과 수 18% 줄어

최은경 기자
입력 2024.02.24. 03:00


지난 20일 서울 종로구 덕성여대 캠퍼스에서 독어독문과, 불어불문과 교수와 동문들이 ‘우리 학문 지켜내자’ ‘불법적인 학과 폐지’라는 피켓을 들고 시위를 벌였다. 대학 측이 최근 내년부터 독문과·불문과 신입생을 뽑지 않는 내용의 학칙 개정안을 공고하자 반발하는 시위를 한 것이다. 지방 사립대에서는 독문과·불문과가 많이 없어졌지만 서울 주요 대학에선 이례적이다. 덕성여대 측은 “사회 변화와 학생 수요에 맞게 학과 정원을 조정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매년 583명을 ‘글로벌융합대학’ 신입생으로 뽑아서 2학년 때 전공을 선택하게 하는데, 독문·불문과를 선택한 학생은 각각 10명도 안 됐다고 한다. 이 때문에 독문·불문과를 줄이고 경영학 등 학생들이 원하는 전공을 늘려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학령 인구 감소로 어려움을 겪는 대학들이 학과 구조조정을 하는 가운데 최근 들어 외국어 관련 학과들이 큰 타격을 받고 있다. AI(인공지능) 기술이 발달해 ‘어학 전문가’ 수요가 떨어지자 어학 학과를 없애거나 다른 학과와 통합하는 경우가 많다. 외국어 학과 대신 취업이 잘되는 첨단 기술 학과 등으로 바꾸는 대학이 서울 지역에서도 늘어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 가장 많은 외국어(45개)를 가르치는 한국외대는 작년과 올해 용인 캠퍼스의 영어·중국어·일본어·태국어 통번역학과 등 13개 학과의 신입생 모집을 중단했다. 서울 캠퍼스에도 유사한 학과가 있기 때문이다. 대신 외국어와 인공지능·빅데이터를 융합한 ‘AI융합대학‘ 등을 만들었다. 교육계에선 “외대가 한국을 대표하는 외국어 전문 대학이지만, 외국어 교육에 대한 학생들 수요가 줄고 있기 때문에 위기의식이 대단하다”는 말이 나온다. 동덕여대도 2022년 독일어와 프랑스어과를 ‘유러피언스터디즈(European Studies)학과’로 통폐합하고 입학 정원을 12명 줄였다. 대신 ‘HCI(인간기계연결기술)사이언스’ 등 학과를 신설했다. 서울 삼육대는 2021년 중국어학과와 일본어학과를 ‘항공관광외국어학부’로 통폐합했다.

전국적으로도 외국어학과는 최근 급격히 주는 추세다. 전국 4년제 대학의 어학(문학 포함) 학과는 2018년 920곳에서 2023년 750곳으로 5년 만에 5분의 1(18%)이 사라졌다. 입학 정원도 같은 기간 1만8451명에서 1만5000명으로 18%(3000명) 줄었다. 한때 가장 인기 있었던 영어학과가 222곳에서 196곳으로, 중국어학과가 138곳에서 118곳으로 줄었다. 독어독문학과는 이제 전국적으로 52곳, 불어불문과는 47곳 남았다. 같은 인문 계열이지만 문헌정보학·심리학 등 ‘인문과학’ 계열은 최근 5년간 742곳에서 864곳으로 오히려 늘었다.

그래픽=김성규


그래픽=김성규
독어·불어 교사를 키우는 학과도 사라지는 추세다. 경북대는 최근 2025학년도부터 정원 8명의 불어교육학과를 없애고 대신 ‘정보 교사’를 양성하는 정보교육학과를 신설하기로 했다. 갈수록 불어 교사 수요는 줄고, 컴퓨터 교사 수요는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고등학교에서 ‘제2 외국어’를 배우는 학생이 줄어 교육청마다 이미 수십 년째 독일어·프랑스어 교사는 거의 안 뽑고 있다. 전국의 독일어 교사는 최근 5년 만에 194명에서 80명으로 반 토막 났다. 불어교육학과 등 사범대 교수들도 “프랑스어 교사를 10년 넘게 안 뽑는데 학과를 유지하기 어렵다”고 동의했다고 한다. 부산대도 올해 신입생부터 독어교육·불어교육학과를 독문·불문학과로 통폐합했다.

그래픽=김성규


그래픽=김성규
임대근 한국외대 디지털콘텐츠학과 교수는 “실시간 AI 통·번역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시대에 꼭 인간이 언어를 배우고 통·번역을 해야 하느냐는 본질적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면서 “통·번역이 가능한 수준의 언어 전문가 수요가 줄어들기 때문에 외국어를 전공하려는 학생은 급감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폐과된 학과 구성원들이 반발하기도 한다. 경북대 불어교육과 학생들은 대학이 폐과를 결정하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면서 오는 27일 헌법소원을 청구하기로 했다. 담당 변호사는 “고등교육법에 폐과 관련 규정이 제대로 없어서 폐과되는 학과 학생들이 교육 받을 권리가 침해 당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 사립대 총장은 “국립대는 외국어 등 학생 수요가 좀 적더라도 학문 보호 차원에서 다양한 학과를 운영할 필요가 있지만, 사립대들은 학생이 급감하는데 사회 수요에 맞게 학과 구조조정을 하지 않으면 곧 망할 판”이라고 말했다.a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