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정치/2025 개헌_의원내각제

윤석열 탄핵. 2024.12.23. 헌법재판소의 역할과 개선점. 헌법재판소장과 재판관들을 직접 선거로 선출해야 한다.

by 원시 2025. 3. 28.

K-민주주의의 진면목은 무엇인가? 그리고 수출 가능한가?


7년만에 또 읽어보는 헌법재판소 법. 그 소감. 


1. 헌법재판소의 '기능(5가지 업무)'은 필요하지만, <헌법재판소>에 의존하는 정치는 , 이번 윤석열 탄핵 재판이  마지막이 되길 바란다. 
2. <헌법재판소> 재판관 임명을 대통령이 하는 것을 바꿔야 한다. 행정부 수장이 <헌법재판소>라는 아주 ‘특수한 사법부’ 수장을 임명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다. 그래서 ‘제왕적 대통령제’라고 비판을 받는 것이다. <헌법재판소>를 존치하려면, 차라리 국민 투표로 <헌법재판소장>을 직선으로 선출하는 게 낫겠다.


3. 헌법재판소 재판관 자격을 ‘변호사 자격증’으로 한정시키는 것도 시대착오적이다. 법학자들이나 민주주의 이론과 실천을 다루는 정치학자들, 문화예술사회 분야의 전문가들이 3명 정도는 재판관으로 임명되어야 한다. 노무현 정부 당시 <위원회> 공화국이라고 비아냥만 받고, 실질적으로 ‘제도’ 개혁을 하지 못한 분야가 너무 많다. 

 


4. 한국에는 유능한 정치학자, 법학자들이 많다. 과연 박근혜 윤석열 탄핵 소요시간이 8개월이 '한국 민주주의 발달 수준'에 맞는 것인가? '국민소환제'나 직접 법안을 제안할 수 있는 '국민 자체 법안 발의' 제도화도 없는 상황에서, '선거 투표'라도 자주 할 수 있어야 하지 않는가? 


의원내각제를 채택한다면, <헌법재판소>에서 탄핵과정은 불필요하다. 탄핵 이후, 곧바로 현재 국회를 전체 해산하고, 40일 이내에 ‘총선’을 다시 치르고, 국민들이 새로 ‘국회의원들’을 선출하면 된다.

 

 

 

 

 

'한국정치 > 2025 개헌_의원내각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인섭 법대교수님이 지적한 ‘헌법재판소’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식이, 대통령제가 아니라, 제도적으로 ‘독일식’과 같은 의원내각제 (책임총리제)이다.  (3) 2025.03.27
윤석열 탄핵, 헌법재판소 파면선고가 늦춰지자, 탄핵찬성 대중들이 정치적 분노가 쌓이고 있다. 대통령제의 폐해의 극단적인 표출 양식이다. 의원내각제 하에서는 탄핵 이후 2개월 내 바로 총선을 실시할 수 있다.  (2) 2025.03.20
막간 대통령, interregnum president, 최상목이 주는 교훈. 4거리에 교통신호등 설치하면 무슨 소용있냐? 운전자가 음주운전하면 사고난다. 이게 지금 이재명 민주당 주류파의 정치관이고 전술이다.  (1) 2025.03.06
1987년 헌법 제정 시, 결선투표 필요성을 투고한 사람.  (0) 2025.02.25
1987년 헌법 제정과정에서, 대통령 '결선투표제'를 누락시켰다. 한국갤럽 여론조사에서 대통령 '결선투표'가 필요하다는 58.5%  (0) 2025.02.25
2018년 문재인 개헌안 제 77조에 '대통령 결선투표제' 내용이 추가됨. 문재인 대통령이 국회에 '개헌안'을 발의  (0) 2025.02.22
민주당 - 조기대선이면, 원포인트 개헌해서 '결선투표' 제정하던가, 법률을 바꿔서라도 '결선투표제'를 실시해야만, 김경수 전도지사가 말한 '탄핵 찬성 세력의 연정'이 현실화된다.  (0) 2025.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