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history)/3공화국7

1964년 경산 하양 무학농장 설립, 1964년 새마을 운동 이전, 스코틀랜드 영거 수산나 메리(Younger Susannah Mary) 영거 수산나 메리. 스코트랜드 태생, 1959년 옥스퍼드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한 후, 한국으로 경북 경산 하앙 지역에 정착함. 1964년부터 1972년까지 수산나 여사는 이임춘 카톨릭 신부님과 같이 무학 농장을 건립하고, 가난했던 지역 주민들을 고용해 옥수수 감자 사료 식물을 심고, 우유를 생산함. 그러나 한 우유업체가 깡패와 결탁해 무학농장 운영을 훼방 놓아, 결국 수산나는 무학농장을 매각하게 되었고, 그 자금으로 무학 중학교를 설립함. (수난사 여사가 말한 무학 농장 폐쇄 이유. “하지만 애석하게도 언덕 위 농장은 실패했는데 내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수입하도록 도와 준 젖소들이 새로운 목장과 경쟁에 휘말렸고, 새 목장 사람들은 깡패들을 동원해 대구 가게들이 우리 우유를 못 사게 만들었다.”) 수산나의 .. 2023. 10. 11.
박정희식 정치 진면목.밝혀지지 않는 역사적 진실 (통혁당 김종태와 김형욱 중앙정보부장)1968년 사형당해야 했던 김종태는 42세였고, 그를 수사한 김형욱은 43세였다. 김형욱 중앙정보부장과 김종태. 김형욱 회고록을 보면, 그는 박정희와 김종필의 과거 '좌익' 경력을 끊임없이 주시하고 의심했다. 황해도에서 소련군 때문에 남한으로 오게된 김형욱은 철저한 반공-반북주의자였다. 그러나 김형욱은 박정희로부터 버림받고 철전지 원수가 되었고,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가 피격 사망하기 직전에 피살당하고 말았다. 박정희 권력의 손에 김형욱 역시 살해되었다. 김형욱은 1963년 38세에 박정희 추천으로 김종필에 이어 중앙정보부장이 되었고, 반공-반북 조직사건을 수사 발표했다. 이 과정에서 고문,폭행,가족협박은 김형욱식 수사 특징이었다. 김형욱 중앙정보부장은 1964년 인혁당 사건, 67년 동백림 사건, 68년 통일혁명당 사건, 3대 반공반북 조직사건을 수사 발표했다. 이 사건과 .. 2022. 12. 28.
섬 이름. 전남 신안군 임자도 荏子 - 들깨 (꿀풀과 한해살이 풀)가 많이 생산된다 하여 들깨 '임'자. 임자대교 2021년 개통. 임자도 현대사. 荏子島 (임자도) 섬 이름. 들깨 잎. 한자어로 '임'자라는 것을 처음 알았다. 임자도에 이주 결혼 여성이 살림을 하며 얘들을 키우며 살아간다. 유투브에서 본 모습이다. 대파 생산지. 전남 신안군 임자도. 과거 정치 현대사에서 굴곡의 역사를 지닌 곳이기도 하다. 임 荏– 들깨. 꿀풀과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60~90cm이고 모가 지며, 잎은 마주나고 넓은 달걀 모양이다. 여름에 흰색의 잔꽃이 줄기 끝에 총상(總狀) 화서로 피고 꽃이 진 뒤에 네 개의 잔씨가 들어 있는 수과(瘦果)를 맺는다. 잎은 독특한 냄새가 있어 반찬으로 쓰고, 씨는 기름을 짜서 식용하는데 고소한 냄새가 난다. 동남아시아가 원산지로 한국, 중국, 인도 등지에 분포한다. 자시. 자정. 임자도. 방문지. 용난굴, 진리선착장, 대기리.. 2022. 12. 28.
제7대 대통령 선거. 대통령 후보 벽보. 김대중, 박정희, 김철 등. 1971년 4월 27일 제7대 대통령 선거. 대통령 후보 벽보. 김대중, 박정희, 김철 등. 1971년 4월 27일 2022. 8. 3.
박노수 교수, 김규남 국회의원 사형 1972년. 박정희와 중앙정보부의 범죄. 2015년 12월 29일 박 교수 등 세 명, 대법원 무죄 판결. 어느 누구에게라도 닥칠 수 있는 이념 처벌과 범법 행위. 박정희 정부와 중앙정보부의 범죄 행태. 머리 속에 든 정치적 생각 때문에, 사람을 죽일 수 있다는 것은 인간이기를 포기한 것이다. 참고기사. 유럽 간첩단 사건 [Europe 間諜團 事件] , Korea, 1969 1969년 발생한 대표적인 공안 조작 사건이다. 당시 중앙정보부는 영국 캠브리지대 박노수 교수와 민주공화당 김규남 국회의원 등을 연행, 불법 구금하며 강압적인 수사를 벌였으며 검찰은 유럽에서 간첩 행위를 한 혐의로 이들을 기소하였다. 박노수 교수는 북한 노동당원으로서 간첩 활동을 한 혐의를, 김규남 의원은 대학 동창인 박 교수와 이적 활동을 한 혐의를 받았다. 이후 1970년 대법원에서 박 교수와 김 의원의 사형이 확정되었고, 2년 후인 .. 2022. 7. 14.
1971년 대선, 박정희는 출마할 수 없었다. 69년 7월 19일 역사적인 김대중의 효창운동장 연설, 박정희의 대항마로 떠오르다.삼선개헌 반대. 69조 3항. 개정안. 대통령의 계속 재임은 3기에 한한다. (대통령을 세번 역임가능) 현행안 (대통령은 1차에 한하여 중임할 수 있다) 1963년 대선, 4년 후 1967년 대선 승리자는 박정희였다. 중임했으면 1971년 대선에서는 박정희는 출마 자격이 없다. 그러나 박정희는 1969년 헌법을 바꿔, 1971년 대선에 출마할 수 있게 만들었다. 이승만의 사사오입, 1969년 박정희의 삼선개헌, 1972년 유신헌법, 1979년 박정희 피격과 전두환 노태우 1212 군사쿠데타, 1980년 광주항쟁으로 이어지는 현대사 흐름에서 1969년 삼선개헌 폭거는 현대 한국정치를 규정했던 중요한 한 사건이었다. 1967년 대선 승리 이후, 박정희는 경제성장과 북한과 체제경쟁에서 승리를 위해서 자기가 3번째 대통령을 해.. 2022. 1. 23.
헌법 파괴. 박정희 1969년 3선 개헌. 10월 18일 투표. 장기집권. 박정희 장기 집권 과정. 1969년 3선 개헌. 이승만에 이은 박정희의 3선 개헌과 헌법 파괴 책동. 2022. 1.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