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과학 science52

2천년 전,브로콜리는 자연 식물이 아니라, 사람이 품종개발을 통해 만들어낸 채소이다. (배추, 케일, 콜리플라워, 브루셀 스프라우트) 몰랐던 사실을 배움. 브로콜리는 자연 식물이 아니라, 사람이 품종개발을 통해 만들어낸 채소이다.2천년 전, 지중해안 농부들이 야생 배추종자들 중에 몇 개를 골라서 꾸준히 길러낸 결과로 얻어진 게 브로콜리이다.야생 배추들 중에, 보통 것들보다 더 크고, 꽃이 더 맛이 좋은 것, 줄기가 더 두꺼운 것을 골라서 길러낸 게 브로콜리다.이렇게 사람들이 선택적으로 종배양을 한 채소들이, 배추, 케일, 콜리플라워, 브루셀 스프라우트 등이다. Broccoli is not a naturally occurring plant; it is a product of human cultivation. Approximately 2,000 years ago, farmers in the Mediterranean region select.. 2025. 6. 2.
우주의 크기. 1922년, 10만 광년이면 우주 끝에 도달. 현재 930억 광년. 2100년에는 우주 크기는 얼마일까? 앎과 지식의 상대성. 우주의 크기. 1922년, 10만 광년이면 우주 끝에 도달. 현재 930억 광년. 2100년에는 우주 크기는 얼마일까? 에드윈 허블 망원경의 발명으로 Milky Way 은하계는 무수한 은하계들 중 하나라는 것을 알게됨.관찰가능한 우주의 크기는 횡단 거리가 930억 광년. 관찰도구의 발달로 '진실'과 '진리'가 달라지다. A century ago, in 1922, the entire known universe was thought to be just 100,000 light-years across—about the size of our Milky Way. Back then, astronomers believed our galaxy was the entire universe. The.. 2025. 4. 18.
물이 없는 지구 표면 모습 - 들쑥날쑥한 지구 표면 (바다 속에 있는 산맥이 드러나 보임) the planet's true, jagged shape 지구에 바다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  무섭게 생겼다. 뭔가 까마득한 세계같다.  아폴로 17이 찍은 지구 모양, 블루 마블 사진과는 다를 것이다.  높이 솟은 산맥들, 아주 깊은 해저, 큰 강의 유역들이 지구표면을 구성할 것이다.  10km가 넘는 깊이의 마리아나 해저.대서양의 허리처럼 솓아나 있는, 대서양 바다 밑에 있는 미드 아틀란틱 산마루 거대한 평원들과 고대 강바닥은 바다 바닥이 한 때 있었던 자리까지 늘어날 것이다.   jagged -  표면이나 끝이 아주 평평하지 않고, 들쭉날쭉하다. 산 정상이 평평하지 않고, 들쭉 날쭉 뾰족한 모양새를 하다. jagged peaks (음악) 거친, 불규칙적인 성질을 지닌. (말) 모나는, 가시돋친    1532년 이후 사용된 단어.  If Earth's oc.. 2025. 3. 31.
시간의 상대성. 시간은 블랙홀 근처에서 훨씬 느리게 간다. 초질량 블랙홀 근처에서는 서서히 늙고, 지구에서는 더 빨리 늙는다는 뜻. 블랙홀 근처 1시간은 지구에서 수천년.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우리가 블랙홀에 더 가까이 가면 갈수록, 특히 블랙홀의 가장자리 부분에서는 시간이 점점 더 느르게 흘러간다. 블랙홀과 아주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들의 시간과 비교하면 그렇다.  외부 관찰자의 눈에는, 블랙홀로 떨어지는 어떤 것이라도 서서히 움직이고, 거의 정지해 있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블랙홀 근처에 있는 사람에게는, 시간이 정상적으로 흘러간다고 느끼는 반면에, 지구에 사는 사람들에게는 훨씬 더 많은 시간이 흘러갔을 것이다.  블랙홀이 점점 더 커질수록, 그리고 우리가 블랙홀에 점점 더 가까이 갈수록, 이런 시간이 느리게 흘러가는 정도는 더욱더 심해질 것이다.  극단적인 사례를 들면, 초질량 블랙홀 주변에서 1시간은 다른 곳에서는 수천 시간 혹은 수백만 시간일 수.. 2025. 3. 29.
유리는 액체도 고체도 아닌 물질 It’s something in between, known as an amorphous solid. Is Glass a Liquid or a Solid ? You may have heard the claim that glass is actually a liquid, flowing ever so slowly over time. While it’s a fascinating idea, the truth is more complex.  Glass isn’t a traditional solid, but it’s not a liquid either. It’s something in between, known as an amorphous solid.  Unlike crystalline solids, where atoms are arranged in an orderly, repeating structure, glas.. 2025. 3. 14.
태양의 에너지 방출량, 지구의 흡수율 The Sun emits an astonishing 3,860 trillion trillion watts of energy, Earth Gets Just 0.000000045% The Sun Fires Trillions of Trillions of Watts – But Earth Gets Just 0.000000045%   The Sun emits an astonishing 3,860 trillion trillion watts of energy as electromagnetic radiation, traveling through space as waves and particles. This immense energy output, known as the Sun’s luminosity, fuels the entire solar system.Despite its staggering power, only a tiny fraction reaches Earth. By the time s.. 2025. 3. 14.
제프리 힌턴 ( Geoffrey Hinton) AI 의미와 한계. '초지능'이 인간의 뇌를 추월할 수 있어, 세계정부들의 통제 필요. 2006년 인공신경망 학습방법으로 '딥러닝' 기술. 과연 인간의 '자율성'의 미래는 무엇인가? 제프리 힌턴이 나이가 들면서 '프로그래밍'하는 속도가 줄어들자, 짜증이 난다고 했다. 그러나 자기는 이제 철학자가 되고 싶다고 했다. 인공신경망의 학습능력으로 인해, 디지털 모델이 인간의 두뇌의 능력을 초월할 수 있다고 말했다. AI 인공지능이 인간의 통제를 벗어날 수 있다는 의미이다. 괴테의 '파우스트' 박사의 꿈이 진짜 현실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인간이 AI 영역에 아예 들어가지 말아야 할 '금단의 땅'인가, 아니면 우리와 함께 공존해야 할 또다른 인간의 '몸'과 '마음'인가?결국 인간의 자율성과 자유에 대한 질문을 다시 던지게 된다.우리가 풀어야할 새로운 과제가 생긴 것이다.--------------------------- 제프리 힌턴 강의 노트 제프리 힌턴이 말하는 AI 기술의 긍정적인 측면과.. 2025. 2. 5.
매 (falcon 팔콘) , 아프리카에서 핀란드까지 하루 230km 비행, 42일만에 핀란드에 도착했다. 매에 사람이 GPS를 부착해서, 매가 어떻게 이동하는지를 알아본 모양이다.  아프리카 남쪽에서 종단, 이집트 나일강과 수단을 거쳐, 지중해로는 가지 않고, 시리아 레바논 쪽으로 방향을 틀다.그러나 흑해는 가지 않았다, 왜냐하면 물을 마실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서 북쪽으로 직진, 핀란드에 도착했다.42일간 여행이었다.  The female falcon was equipped with a GPS tracker during its journey from South Africa to Finland, covering about 230 km per day. It flew in a straight line across the African lands until it reached the desert in th.. 2025. 1. 4.
생물. 드렁허리. 알에서 태어날 때 다 암컷이었다가, 40cm 이상 자라면서 숫컷이 된다. 논둑에서 보았던 드렁허리. 태어날 때는 다 암컷인데, 40cm 이상 자라면서 '성'을 전환해 수컷이 된다.수컷이 굴을 파고 암컷과 함께 알을 낳는다.한번에 400개~900개 알을 낳고, 어미가 새끼를 입에 물어 보호한다.     참고 -  https://bit.ly/4dTy3Du 드렁허리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encykorea.aks.ac.kr   드렁허리과에 속하는 민물고기.•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접기/펼치기정의드렁허리과에 속하는 민물고기.접기/펼치기내용한자어로는 선(鱓 혹은 鱔)이라 한다.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에서는 선(鱓)을 우리말로 동을람허리(冬乙藍虛里)라 한다고 하였고, 『훈몽자회』에서는.. 2024. 8. 22.
2019 꿀벌 감소 원인, varroa mite (진드기 일종. 바로아 응애) 바로아 마이트라는 기생충의 침입. Nearly 40% decline in honey bee population last winter 'unsustainable,' experts sayFood prices could rise if the number of bees pollinating crops keeps dwindling. ByJulia JacoboJuly 9, 2019, 5:58 AM   꿀벌 감소 원인, varroa mite 바로아 마이트라는 기생충의 침입.     0:43News headlines today: Dec. 23, 2020 Catch up on the developing stories making headlines.Scientists are researching the potential consequences of the.. 2024. 7. 18.
동물. 비버 Beaver 가 자기 털에 기름을 묻히는 이유. 출처. Mike -Mike’s photos and videos of beavers    · Last night I was lucky enough to film this busy beaver as it was grooming its fur at the edge of the river. Beavers have to groom several times a day to spread oil through their fur to stay waterproof. Beavers will sit on their tails to access oils through their cloacas. In addition, anal glands secrete oil through skin pores to hair roots. From.. 2024. 5. 31.
캐나다 유콘 야생동물. 비버 집에서 일시 거주하는 수달. 코요테, 사향쥐, 새들의 방문. 이 좁은 터널은 비버가 사는 집으로 연결되어 있음. 연결된 댐에 빈틈이 생겨서 이 터널이 노출되었음. 수달이 이 비버집에서 일시 거주하고 있고, 다른 야생 동물들도 방문하고 있음. 찾아오는 동물들 중에, 코요테가 수달 똥을 먹으려고 하고, 그 속에서 뒹굴고 있다. 오줌 싸서 영역을 표시하는 여우도 찾아오고. 북미에 사는 흰발 생쥐 (디어 마우스), 사향쥐도 보인다. 새들도 비버의 똥 오줌 장소를 좋아한다. The access tunnels to this beaver lodge became exposed due to a breach in the adjoining dam and thus, the beavers moved downstream to begin anew. A group of otters then .. 2024. 3. 5.
파리의 시각 능력. 인간과 비교. 눈으로 본 '물체' 이미지를 합쳐서, 눈으로부터 뇌로 전달하는 속도와 방식 차이.인간은 1초당 60회, 거북이는 15회, 파리는 250회 플래쉬를 뇌에 전송한다. 인간이 파리를 잘 잡지 못하는 이유. 물체 이미지를 눈에서 뇌로 전달하는 속도 차이. 인간과 파리가 ‘시간’을 감지하는 능력에 차이가 있다는 것임. 파리가 눈에서 뇌로 전달하는 초당 이미지 프레임이 인간보다 더 많다. 이 말은 곧, 파리가 1초당 더 많은 이미지들을 볼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뜻이다. 뇌가 빛 플래시를 기록하는 속도를 플리커 합성률 (flicker fusion rate) 이라고 함. 파리는 인간에 비해 4배 정도 빠르다. 다시 말해서 파리는 인간보다 모든 사물들의 동작과 움직임을 4배 더 느리게 볼 수 있다. 초당 이미지 프레임들을 더 많이 가공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내 경우, 손을 이용해서, 부엌에서 파리를 잡은 적이 많다. 물론 놓치는 경우도 있지만, 파리가 그릇, 테이블, 어떤 물체.. 2024. 2. 20.
우연한 만남. 곰과 늑대. 늑대와 곰의 조우 만나다 (조). 마주치다 . 두르다. 만나다 우, 우연히 마주치다 (불기이회), 대접하다 (대접) 뜻밖에 (의외). 원숭이 (우) + 쉬엄쉬엄갈 착 2024. 2. 16.
찰스 다윈, 종의 기원. origin of species. 1809년 2월 12일 생 ~ 1882. 찰스 다윈이 걸린 질병은 샤가스 Chagas 질병. 비글호 탐사 기간 중 감염. 어제가 찰스 다윈의 생일이었다. 214년 전이다. 1809년 2월 12일 태생. 의사였던 아버지 로버트 웨어링 다윈은 찰스가 의사나 신학자가 되길 바랬으나, 찰스 다윈은 자연사에 더 관심이 많았다. 22세, 비글 탐사호 (Beagle)에 몸을 싣고, 아메리카 대륙으로 가다. 5년간 탐사 체험을 하게 되다. 1831~1836 , 이 5년간의 경험이 찰스 다윈에게는 가장 소중한 연구의 자산이 되었다. 찰스 다윈의 두 가지 탁월함. 하나는 관찰의 예리함, 두번째는 조사 탐구의 질문을 잘 던졌다는 것이다. 1842년 이후는 켄트 Kent 에 있는 다운 Down 이라는 동네에 40년 동안 거주하면서, 중요한 책들을 저술했다. 비글호 탐사 기간 동안에, 찰스 다윈은 '샤가스 질병 chagas' disease '에 .. 2024. 2. 13.
사회생물학, 개미연구가 에드워드 윌슨 2021년 92세 일기로 별세.스티브 제이 굴드(Gould)가 에드워드 윌슨을 인종차별주의,성차별주의자라고 비판했다 사회생물학자 개미연구가 에드워드 윌슨 2021년 92세 일기로 별세. 한국 최재천 선생의 박사논문 지도교수. 스티브 제이 굴드(Gould)가 에드워드 윌슨을 인종차별주의,성차별주의자라고 비판했다. E.O. Wilson examines an abnormal growth on a leaf at Walden Pond, Massachusetts. A pioneering biologist and conservationist, Wilson pushed for a world in which humans share the planet with other species, instead of driving them into extinction. PHOTOGRAPH BY FRANS LANTING, NAT GEO IMAGE .. 2024. 2. 12.
Albatrosses 알바트로스. 새. 인간과 새. 새 새끼 몸무게를 측정하는데, 어미 알바트로스가 인간을 의사 대하듯이. Rangers from the New Zealand Department of Conservation stop by the Royal Cam nest to check in on the week-old nestling on February 1. At this stage of the nestling period, the chick at the Top Flat nest is receiving daily weight checks to ensure the young bird is growing as expected. 2024. 2. 6.
인간과 다른 영장류 수면 시간 (잠자는 시간) 비교. 인간 7시간, 다른 영장류 9~15시간. 야행성 동물들이 주간활동 동물보다 더 많이 잔다. 주장 1.인간과 다른 영장류 수면 시간 (잠자는 시간) 비교. 인간 7시간, 다른 영장류 9~15시간. 주장 2. 이사벨라 카펠리니 (Isabella Capellini) 주장은, 인간과 비교한 30개의 영장류 숫자가 너무 적다. 적어도 300 종류의 영장류와 비교가 필요하다. 주장 1. 진화론적 인류학자들 (찰스 넌 Charles Nunn, 데이비드 샘슨 David Samson) 주장. 첫번째 이유, 인류가 옛날에 나무에서 땅으로 내려와서 살게 되었을 때, 포식자(약탈자)로부터 인류를 보호하기 위해 잠을 자지 않고 깨어 있는 시간이 더 많게 되었다. 두번째 이유는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가르치면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느라 잠을 줄이게 되었다. 수면 시간이 감소할 때, 학습과 기억과 연관된 수면을 뜻하는 '.. 2024. 2. 6.
늑대를 죽여서는 안되는 이유. 늑대의 역할. 옐로우스톤 늑대 재도입 영향력 논쟁 옐로우스톤 늑대 재도입이 미친 영향에 대한 토론과 논쟁. 논쟁 주제는 늑대 재도입으로 인해, 옐로우스톤의 식물군, 버드나무, 미루나무, 사시나무 등이 번성하게 되었는가 ? 1995년 미국 엘로우스톤 자연국립공원에 70년만에 다시 늑대가 되돌아왔다. 캐나다 알버타 주 늑대 14마리를 엘로우스톤에 재도입해 살게 했다. 96년에 17마리를 더 도입했다. 마크 보이스 (Mark Boyce) 생물학자 관찰 보고. 늑대 재도입 이후 변화. 사슴과 북미산 bison 의 숫자 변화. 사슴들이 뜯어먹었던 버드나무, 미루나무, 사시나무 등과 같은 나무들이 복원되었다. 1926년 엘로우스톤에서 사냥꾼들이 마지막 남은 늑대를 사살했다. 늑대가 사라지니, 사슴 숫자가 급격히 늘어났다. 1995년 늑대가 재도입된 이후, 사슴 숫.. 2024. 1. 15.
늑대를 옐로우스톤 공원에 다시 데려오다. 늑대 재도입 효과 .2022 march 4. ‘Unprecedented killing’: The deadliest season for Yellowstone’s wolves-On the 150th anniversary of America’s first national park, one-third of its wo.. CLIMATE & ENVIRONMENT ‘Unprecedented killing’: The deadliest season for Yellowstone’s wolves On the 150th anniversary of America’s first national park, one-third of its wolves are dead By Joshua Partlow March 4, 2022 at 6:30 a.m. EST An animal carcass, lower right, lays sprawled on the ground near Jardine, Mont., on Feb. 7. (Photos by Louise Johns for The Washington Post) GARDINER, Mont. — Kim B.. 2024. 1. 15.
세상에서 제일 적은 고양이 - 붉은점박이삵 (rusty spotted cat) 세상에서 제일 적은 고양이 명칭은 붉은점박이삵 (rusty spotted cat) 몸무게 : 1kg 약간 넘음. 사자 몸무게의 200분의 1 서식지: 인디아, 스리랑카 붉그스레한 반점 고양이는 희귀함. 시력은 인간보다 6배 좋아서, 덤불 속 적은 먹이감을 찾는데 유리. 출처 bbc 붉은 점박이 삵 고양이는 희귀함. 시력은 인간보다 6배 좋아서, 덤불 속 적은 먹이감을 찾는데 유리. 다 자란 고양이. 2024. 1.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