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트럼프39

트럼프의 ‘관세’ 충격요법이 통할지도 모른다. 트럼프 목표는, 1979년 10월 ‘볼커 충격’ 의 결과를 반대로 뒤집어 엎는 것이다. (제임스 미드웨이. James Meadway추측) 트럼프의 ‘관세’ 충격요법이 통할지도 모른다.(- 제임즈 미드웨이 .  James Meadway . 가디언지) 핵심요지는 1979년 10월 ‘볼커 충격’ 요법과 같은 효과를 낳을 지도 모른다 (추측) (참고. 볼커 충격 Volker Shock – 미 연방은행장 폴 볼커의 강도높은 고금리 정책, 거의 금리를 20%까지 인상시켜버림. 3년 안에 인플레이션을 4%로 낮추었으나, 대출이 필요했던 기업과 개인은 엄청난 고통을 감수했다. 볼커 충격은 인플레이션의 종언과 신자유주의의 출발점이라고 부른다)볼커 충격의 결과 – 미국 신용버블 발생, 탈산업화(탈제조업), 채무증가. 트럼프의 목표는 볼커충격의 결과를 뒤집어 엎는 것, 즉 미국의 재산업화와 채무탈출이다.   1. 수출의존 채무국의 재정위기 도래할 수도 있다... 2025. 4. 8.
엘 사바도르 감옥 (씨콧 CECOT)에서 반인권적인 발언과 사진찍은 '미 국토안전 장관' 크리스티 뇜에 대한 전세계적인 비판. 1. 트럼프 정부, 국토안전부 크리스티 뇜에 대한 비판. (1) 3월 26일 트럼프 정부, 국토안전부 장관 크리스티 뇜 (Kristi Noem)이, 반인권적인 행동을 했다.(2) 엘 사바도에 있는 수용소에 갇힌 정체불명의 사람들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고, '미등록 체류자,이민자'가 되면 이렇게 갇히게 된다고 협박하는 동영상을 트위터(X)에 올렸다. (3) 전 세계적인 비판이 쏟아졌다.- 철창과 사람을 배경으로 협박조의 발언은 반인권적이다.- 이바니아 크루즈 인권 변호사의 비판. 크리스티 뇜이 ‘감옥’을 극장 공간으로 활용했다고 비난. 현재 감옥에 갇힌 사람들의 '신분'과 갱단 연관성 입증가 없다고 지적. - 팀 밀러 '내 생애 최대 역겨운 장면이었다'고 크리스티를 비판. (4) 눈썰미있는 사람들은 크리스티.. 2025. 3. 28.
테슬라와 일론 머스크 추방운동 이후, 머스크 재산 손실 (70억 달러, 9.8조원) , 머스크는 '사이코 짓'이라 비난, 아마겟돈이 되어가고 있다고 불평. 트럼프가 캐나다를 미국 51번째 주가 되어라는 막말, 캐나다와의 관세 전쟁으로 인해, 테슬라 추방운동이 벌어지고 있다.전 세계 시민들의 '테슬라' 추방운동 이후, 일론 머스크는 70억 달러 (9.8조원)를 잃었다. (주가 하락 등) 테슬라 자동차를 이미 구매한 캐나다인들이 '나는 일론 머스크가 미친 놈이 되기 전에 차를 샀다'고 쓰고 다닐 정도다.테슬라를 팔아치우는 사람들도 생겨났다. 캐나다인들이 트럼프와 머스크의 캐나다 공격에 대해 'elbow up 팔굼치를 치켜들자', 적극적인 방어자세를 취하자는 뜻으로,저항운동을 펼치겠다고 나섰다. 트럼프와 머스크가 '심사숙고하고 토론하는 민주주의'를 쇠퇴시키고, 권위주의를 복권시키고 있다고 비판하는 시민도 있다. 몬트리올, 해밀턴, 토론토 등 테슬라 판매장에 낙서.. 2025. 3. 24.
트럼프와 젤렌스키 말싸움. 핵심적인 이해관계 차이점들. 아무리 전쟁 중이지만,이런 외교 회담은 처음 봄. 트럼프 (삼촌)이 조카 젤렌스키를 야단치듯이 다룸. 아무리 전쟁 중이지만,이런 외교 회담은 처음 봄. DW에서 생방송을 해주는 것을 보다가, 이게 두 국가간의 외교 회담이라고 보기에는 너무 참담했다. 트럼프 (삼촌)이 조카 젤렌스키를 야단치듯이 다룸. 그런데 말싸움 촉발 계기가 부통령 밴스가 젤렌스키를 비판하고 나서부터 급격히 말싸움으로 번짐. 젤렌스키는 ‘안보,국방원조’를 강조하고 있고, 트럼프는 ‘러시아 푸틴과의 협상’을 더 중시하기 때문에, 두 나라간의 이해관계의 극심한 차이를 드러냄.  1. 부통령 J.D 밴스가 젤렌스키를 비판젤렌스키 - JD 밴스 네가 말한 '외교'란 무엇이냐 (고 도발 )  밴스 -  (젤렌스키에게) 프라파갠다 투어하지 마라. 트럼프 행정부 공격하지 마라. 젤렌스키. 미국 바다가 있어서 느끼지 못하지만, 미래에 느낀다. (미국.. 2025. 3. 1.
트럼프. J.D. 밴스 노선. J.D.밴스가 존 버치 소사이어티 노선을 설교하다. 요지 1. 트럼프와  J.D.밴스의 공통점 - 노동자들과의 문화적 친밀감을 내세워, 경제-물질적 이해관계의 동질성이라는 착시를 낳게 한다. 미국의 재산업화, 제조업 일자리 창출, 반-이민자 정책 등 2. 사회주의와 코뮤니즘에 적대적인 미국 '극우 단체' 존 버치 소사이어티가 주장한 '음모론', 즉 억만장자들이 '내부자들'을 만들어 미국의 권력을 장악했다는 음모론이다. 이 내부자들이 중산층을 통제하고 와싱턴 권력과 뉴욕 금융자본을 장악해버렸고, 미국은 '엘리트 독재사회'라고 주장. 미국 68세대, 신사회운동과 흑인민권 운동 배후에도 이 내부자들이 있다고 주장. 내부자 '파워엘리트'가 로커펠러 재단과 포드 재단에 돈을 주고, 급진적 학생운동과 흑인 블랙팬써 당도 이 돈을 받아서 길거리 민주주의 운동을 펼쳤다.. 2025. 2. 27.
트럼프의 부자정치. 소수독점정치 (올리가키 oligarchy) 트럼프 당선 이후, 일론 머스크 167조 (1150억 달러), 마크 주커버그 72조( 500억 달러) , 제프 베조스 45조원 (310억 달러) 재산 증식. 트럼프 당선 이후, 99일 만에 미국 부자 3명의 재산 증가 현황.일론 머스크   167조 (1150억 달러), 마크 주커버그 72조( 500억 달러) , 제프 베조스  45조원 (310억 달러)일론 머스크 (순 자산 537조원)  마크 주커버그 (367조원), 제프 베조스 (366조원)한국 1년 예산안 677조 4천억원미국인의 60%는 매달 저축은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월급으로 생활함.  U.S. Senator Bernie Sanders     · This is Oligarchy. The three richest men in the world have become $196 BILLION richer since Donald Trump was elected. $196 billion for three men.. 2025. 2. 13.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 (2) (마이클 로버츠)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은 20세기 두 차례 세계대전의 위험 요소를 안고 있다. [중국이 미국과의 기술 격차를 좁히기 시작했다] 그러나 21세기에 들어 중국이 미국과와의 ‘기술 적자’ 폭을 줄여나가자, 미국이 과거에 누려온 중국으로부터 잉여가치의 순 ‘이전 transfer’도 점점 줄어들었다. “부를 미국으로 이전시키는 불이익을 감소시킴으로써, 중국은 이러한 부등가 교환의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여나가는데 성공했다. 부가가치를 미국으로 불리하게 이전시키는 비율이 1995년에는 마이너스 3.7%에서 2014년에는 마이너스 0.9%로 줄어들었다. 1995년에 중국의 50시간 노동은 미국의 1시간 노동과 맞바꿨는데, 2014년에는 중국의 7시간 노동과 미국 1시간 노동이 교환될 정도로 그 격차가 줄어들었다. (Herrera, Long, Feng, Li)” 헤레라 등의 연구는 ‘정적인’ 자본투.. 2024. 11. 27.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 무역 전쟁 원인 (1) (마이클 로버츠) 미국 산업에 유리하지 않을 수 있다. 2019년 중국과 미국 무역전쟁 개시. 2024년 5월 14일자. (마이클 로버츠 작성) 조 바이든이 중국 전기자동차에는 관세 100% (4배 인상) 태양 전지에는 2배 인상, 리티윰 이온 EV배터리에는 관세 3배 인상안 발표. 이 관세액은 연간 180억 달러(25.2조) 중국 상품과 맞먹는다. 트럼프 1기 정부는 중국 상품에 3000억 달러 (420조원) 관세를 물렸다.  중국은 세계 최고 전기자동차 생산국이자 기술혁신국이다.  중국산 자동차는 품질면에서 유럽제품보다 더 낫고, 가격도 더 싸다.  조 바이든의 의도 (미국 정부)는 중국의 경쟁력을 잠시 잠재우고, 미국 국내 전기자동차 생산을 장려하고자 함이다. 그런데 중국산 전기자동차의 미국 시장 점유율은 단지 2%이다. 위 신규 관세 부과 대상 상품들.. 2024. 11. 26.
트럼프 정치 방식. glam, glamour, glamorous 뜻, 주술적인 방식으로 호기심을 유발시키는 성격. glamour와 grammar (문법,학습 규칙) 같은 어원. 트럼프 정치가 미국에서 활개를 치는 것은, 여전히 철학적 문제, 즉 인간의 '계몽주의' 가능성에 대한 도전이다. 사람이란 무엇인가? 어떻게 살고 싶은가? 트럼프처럼 살고 싶다는 것인가에 대한 질문이다. 정치적으로 중요한 문제들은 1) 미국 민주당과 공화당, 거대 양당 중에 선택해야 하는 상황과 '투표 심리' 분명히 미국 대중들, 그게 일부일지라도, '모든 것을 다 가진 트럼프를 좋아한다'는 어떤 흑인 남자의 인터뷰처럼,  부자 트럼프를 선망하는 대중들이 있다는 것에 대한 인식이다2) 그러나 다른 한편, 1)보다 더 중요한 문제는, 월급쟁이나, 비정규직, 저소득층이 자기들이 '트럼프'처럼 부자가 될 수 있다고 믿어서,  트럼프를 선택하는 것은 아니다.       2003년~2007년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 2024. 11. 25.
트럼프 당선의 수혜자의 미래 운명. 머스크 2880억원 선거비용 투자해 선거 승리 후 97조 재산 증가. 트럼프 정부에서 '공무원 해고' 와 '사회복지비용' 대폭 삭감은 미국인들의 저항에 부딪힐 것이다. 트럼프가 승리한 밤, 첫 연설에서 수퍼스타가 탄생했다고 하면서, 그 이름은 일론 머스크라고 소개했다. 트럼프 2기에는 그의 아들 딸 등 가족이 노골적으로 정권을 장악할 것이다. 과연 일론 머스크는 트럼프와 아무런 충돌없이 공동정부를 운영해나갈 수 있을 것인가? 그 답은 예단할 수 없다. 머스크의 정점과 퇴조가 뒤바뀔 수도 있을 것이다. 이윤을 남기는 회사 경영과 사람들의 공적 행복을 추구하는 정치와는 그 원리부터 다르기 때문이다. 대선 기간에는 돈으로 유권자를 며칠 동안 살 수 있지만, 4년 내내 매수할 정도의 큰 돈이 머스크와 수퍼부자들의 수중에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일론 머스크가 트럼프 대선에서 한 일 중에, 주목해 볼 것은 그를 따르는 청년층을 겨냥한 선거운동과 트위터 (X 엑스) 공간에서 정치놀.. 2024. 11. 22.
2024 미국 대선 민주당 패배 이유 (민주당 전략가 존 네핑거) - 미국 민주당 노동자들과 연대 끈 상실. 노동자의 아메리칸 드림 실현을 위해 민주당은 혁신해야 한다. 존 네핑거와 맥스 월프의 민주당 패배 이유와 대안 민주당 지도부가 지난 수십년간 일하는 미국노동자들과의 연대 끈을 상실했다.2024년 민주당 해리슨의 ‘공동체 형성’이라는 슬로건이 물가상승으로 인한 실질임금 감소로 고통받는 ‘노동자들의 고통’을 제대로 다루지 못했다. 너무 추상적이었다.민주당이 향후 선거에서 심지어 소수인종-민족 유권자들도 트럼프를 지지하는 것을 막아내고, 일하는 미국인들이 다시 ‘아메리칸 드림’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노동자들의 고통에 대한 해법을 제시해야 한다.  --------------------- 존 네핑거(민주당 전략가) 2024 미국 대선 민주당 문제점 민주당 지도부가 보통 사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잘사는 사람들이다.나이,성,소득별 민주당 지지에 대한 판단이 잘못되었다.지난.. 2024. 11. 20.
미국 2024년 평가. 미국 노조 (AFL-CIO) 주장 , 민주당이 물가상승 때문에 힘겨워 하는 저소득층 노동자들과의 연결끈이 약해서, 트럼프에게 졌다 1. 미국 2024년 평가. 미국 노조 (AFL-CIO) 주장 , 민주당이 물가상승 때문에 힘겨워 하는 저소득층 노동자들과의 연결끈이 약해서, 트럼프에게 졌다  AFL-CIO 에 따르면, 노조원 유권자들의 경우, 민주당 해리스가 공화당 트럼프보다 17% 더 투표했으나, 비노조원인 경우, 저소득층 유권자들은 트럼프에 더 많이 투표했다.  (* AFL–CIO는 1955년 미국노동연맹(AFL)과 산별조직회의(CIO)가 통합해 만든 노동총동맹. 1979년에는 최대 2천만 조직원이었으나,지금은 1205만 조합원.  리즈 슐러 (미 노동총연맹 AFL-CIO) 대표의 선거 평가. 민주당이 이번 대선에서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노동자들의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했기 때문에, 트럼프에게 패배했다고 말했다. 2.  선거 기간에 .. 2024. 11. 17.
2024 미국 대선. 민주당 바이든 정부에 대한 불만이 컸다 .2016년 대선~ 2024년 3회. 트럼프 득표 변화 (2020년에 비해 222만표 증가) (2016년에 비해 1346만표 증가) 2024 미국 대선. 민주당 바이든 정부에 대한 불만이 컸다 .2016년 대선~ 2024년 3회.  2024년 미 대선에서 민주당이 패배한 결정적인 것은, 트럼프가 선거운동을 잘 했다기 보다는,  바이든 민주당 정부가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한 채, 후보도 너무 늦게 교체한 데다, 해리스도 후보로서 '개성'을 드러내지 못한 탓이 더 크다. 바이든의 ‘더 나은(좋은) 재건 Build back better’안의 후퇴, 이스라엘-우크라이나 전쟁 지원비 급증,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중산층,중하층 실질 임금(소득) 감소, 바이든 후보 매력없음, 교체된 해리스 강점 부족, 특히 민주당 내부 보수파들의 민주당 개혁 사보타지 (웨스트 버지니아 상원의원, 조 맨친의 BBB 안 사보타지 성공) 등이 민주당 패배의 원인들임. .. 2024. 11. 16.
2024 미국 대선 경합주, 미시건 주 (Michigan) 공화당 트럼프 승리 이유. 민주당 해리스 보다 8만표 앞서. (2012년 대선 ~ 2024년) 2020년 대선, 미시건 주에서 민주당 (조 바이든)이 트럼프보다 15만표 앞섰는데, 2024년에는 트럼프가 해리스보다 8만표 더 많았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미시건 주 (1) 제네시 (Genesee) 카운티 같은 경우, 민주당이 전통적으로 앞섰지만, 지난 12년간 민주당 지지율은 감소하고, 오히려 공화당 지지율이 조금씩 상승했다. (2) 와쉬티노 카운티와 같은 경우, 민주당이 전통적으로 70%가 넘는 지지율을 받는 곳이지만, 2024년 대선에서 민주당 응집력이 2020년보다 더 떨어졌다. (3) 2016년 대선에 비해, 2024년 대선에서 트럼프는 53만 5천표를 더 득표했다. 비율로는 2% 더 증가했다. 반면 민주당 후보는 0.8% 감소했다.  2024년 미국 대선 분석. 경합주 중에 하나인, .. 2024. 11. 16.
2024 미국 대선, 뉴욕 맨하탄 민주당 해리스 80.8%(480,178 표) 트럼프 17.3%(102,534표) 미국 뉴욕 맨하탄 결과는 민주당 해리스 80.8%(480,178 표) 트럼프 17.3%(102,534표) , 미국 주요 대도시에서는 대부분 민주당 해리스가 트럼프에 앞섰다.뉴욕시가 속한 뉴욕 주 농업 지대는 트럼프가 해리스를 앞섰다.   뉴욕주 전체. 해리스 55.4% (4,332,116 표) 트럼프 43.9% (3,430,797 표)    뉴욕 주 농업지대에서는 트럼프가 해리스에 앞섬.시라큐즈, 로체스터, 버팔로, 톰킨즈 등에서는 해리스가 트럼프를 이김.       미국 전체. 해리스는 선거인단 226표, 트럼프는 과반수 270을 훌쩍 넘긴 295표 획득, 트럼프가 45대에 이어, 47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226 Kamala Harris(Democrat) -   295 Donald Trump (.. 2024. 11. 7.
2024 미국 대선, 민주당 해리스 패배와 트럼프 당선 원인 민주당 해리스 고전 이유, 트럼프 당선 원인 1. 후보 교체 너무 늦었다. 민주당 대통령 중, 가장 민주당 관료주의에 찌들고 무능한 대통령이 조 바이든이었다. 중간에 해리스로 교체했으나, 때는 늦었다.  2. 조 바이든 경제 실정에 대한 원망.  인플레이션 국면에서 미국 중하층 소득 감소, 세계 시장에서 미국의 경제적 지위 약화로, 미국인들의 자신감 상실. 62%가 미국경제 더 나빠질 것이라고 예상. 트럼프의 ‘관세’ 장벽, 보호무역주의, 미국제일주의가 효력이 그렇게 강력하지 않더라도, 조 바이든보다는 낫겠다는 여론 퍼짐.2020년 대선에서 조 바이든이 승리한 러스트 벨트, 미시건, 위스컨신, 조지아, 펜실베니아, 네바다 등에서 트럼프의 승리 예상. 2024년 경합주에서 모두 트럼프가 승리할 것으로 보임.. 2024. 11. 6.
2024 미국 대선, 민주당 해리스, 공화당 트럼프 박빙. 미 대선을 결정짓는 10가지 승리 요소들 - BBC 보도 트럼프도 해리스도 당선가능하다. 각각 5가지 이유들. 트럼프 승리 요소. 1) 경제 상황의 악화와 조 바이든의 인기 하락 속에 트럼프를 대안으로. 미국인 26%만이 현재 미국 상태 만족, 72%는 불만족경제적 상황이 더 좋아질 것이다 32%, 더 나빠질 것이다 62% 2)트럼프, 악재와 나쁜 뉴스에도 별 손해를 받지 않는다. 2021년 1월 미국 의회 의사당 난입, 연이은 기소, 형사유죄 판결에도, 트럼프 핵심 지지율 40% 유지. 트럼프에 대한 극단적 태도가 공존. 공화당은 그를 정치적 마녀사냥의 희생자로 간주하고, "트럼프는 절대 안돼" 보수파와 민주당은 트럼프는 대통령 자격이 없다고 판단.  양 극단적 평가 세력들의 크기는 비등비등하다, 그래서 트럼프는 그에 대한 '편견' 없는 유권자들이 자기를 찍.. 2024. 11. 5.
미국 대선, 여론조사. 해리스 48.6%, 트럼프 45.9% , 20-30 유권자 주요 관심사. '경제 정책' 경제 성장, 소득 불평등, 빈곤 (economic growth, income inequality and poverty) 10월 8일. 전국 여론조사. 해리스 48.6%, 트럼프 45.9%  플로리다. 트럼프 50.3%, 해리스 45.3%  펜실베니아. 해리스 48.2%, 트럼프 47.4%  뉴욕. 해리스 53.9% 트럼프 39.7%  미시건 - 해리스 48.2%, 트럼프 46.4%  캘리포니아. 해리스 59.8% , 트럼프 34.8%   18세~29세 유권자 층에서는, 민주당 해리스 후보가 공화당 트럼프에 31% 앞서. 미국 유권자 민심. 일한 만큼 제대로 보상을 받지 못하다고 발언하는 미국 젊은 유권자들.인플레이션 (고물가)과 고금리 때문에  노동소득과 실질소득, 가처분 소득이 줄어든 미국 젊은 유권자들의 최대 관심사는 경제 문제이다.  1. 경제 현안이 2024년 미국 대선의 핵심 주제로 나서다.  18~26세 미국 .. 2024. 10. 8.
조지아 대법원 트럼프 투표소송 기각 + 2020 미국 대선, 조지아 주, 6만 부재자 투표 개표중, 바이든이 트럼프와의 격차를 1만 5천표 차이로 좁히며 추격중임. 조지아 법원은 트럼프 선본의 체담 선거구 (Chatham) 투표 소송을 기각시켰다. 비디오 법정 소송 절차. 트럼프 선본 변호사 조나단 크럼리 (Jonathan Crumly) 주장 요지 -> "조지아 주 법률에 따라, 합법적인 투표만 개표하고 불법 투표는 개표하지 말아라" 는 요구와 청원. 이에 대한 판사 제임스 배스 (James Bass), "증거 제출이 없어서, 그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 청원도 기각함" “I’m denying the request and dismissing the petition” 11월 5일 체담 카운티 대법원은 트럼프 선본과 조지아 공화당이 체담 카운티 개표를 중지하라고 요구한 것을 거부했다. 트럼프와 공화당 요구 사항, 늦게 도착한 부재자 투표는 무효라는 조지아 법률을 체담.. 2020. 11. 6.
2020 미국 대선, 트럼프 개표 결과 수용하지 않고, 트럼프 미시건 주 디트로이트 개표 '혼란' 하다 트위터 트럼프 개표 결과 반응. 트럼프 트위터, "디트로이트 부재자 투표 개표 현황, 혼란, 개표 장소 창문과 참관인을 폐쇄했음" 트럼프는 미시건 주 개표 결과를 인정하지 않고, '혼란, 혼돈, 무질서'라고 비난하고 있다. Watch: Detroit Absentee Ballot Counting Chaos as Workers Block Windows, Bar Observers 71Twitter/@MattFinnFNCKYLE OLSON4 Nov 2020522:21Absentee ballot counting in Detroit descended into chaos on Wednesday when hundreds of unofficial Republican observers concerned about fraud co.. 2020. 11. 5.
2020 미 대선 개표율 90%인, 미시건 주, 바이든이 트럼프 역전, 당선 가능성 높아져 9:29 am 미시건, 바이든이 트럼프에 역전, 개표율 90%인 상황, 이후 개표도 바이든에게 더 유리함. 민주당 바이든이 49.3% (2,511,297 표), 트럼프가 49.1% (2,499,351 표), 바이든이 밤새 개표하는 동안 트럼프를 역전함. 특히 디트로이트는 개표율이 70%인 상황에서, 바이든이 67% (447,793표), 트럼프 31.6%(211,275표) 획득, 바이든이 앞으로도 트럼프와 격차를 더 벌일 수 있음. 미시건에서 바이든이 밤새 역전함으로써, 네바다, 위스컨신, 미시건 3곳 초경합 부동주 (swing states)에서 승기를 잡았다. 이럴 경우, 트럼프가 펜실베니아, 조지아, 노스캐롤라이나 등에서 이기더라도, 조 바이든이 대통령에 당선될 가능성이 커졌다. [참고] 2016년 대.. 2020. 11.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