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정치/2025 개헌_의원내각제

<한국 정치 개혁을 위한 개헌 및 정치제도 개선 학술회의 개최>

by 원시 2025. 4. 21.

<한국 정치 개혁을 위한 개헌 및 정치제도 개선 학술회의 개최>

 

 

 

  : 4. 25.() 9:30∼17:10

  : 대회의실(421), 세미나2(406), 세미나3(405-1)

프로그램

 

 

 

- 개회식

09:30∼09:50

사회: 한정훈(서울대)

개회사: 김범수(한국정치학회 회장)

환영사: 이관후(국회입법조사처 처장)

         강원택(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 원장)

  : 우원식(국회의장)

 

 

 

- 세션 1

10:00∼12:00

<대회의실>

패널 1: 한국의 민주주의, 지방분권, 그리고 개헌

사회: 강원택(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 원장)

발표: 유승익(명지대)

       윤광일(숙명여대)

       차재권(부경대)

토론: 공진성(조선대), 조원빈(성균관대), 이소영(대구대)

 

 

 

- 세션 2

13:30∼15:10

<3세미나실>

패널 2: 개헌의 정치동학: 해외의 경험들과 그 함의

사회: 임성호(경희대)

발표: 이상현(전북대)

       오창룡(부경대)

       김성조(연세대)

토론: 박현석(국회미래연구원), 송정민(국회입법조사처),

        한의석(성신여대)

 

 

 

<2세미나실>

패널 3: 시민의회를 통한 선거제도 개혁

사회: 김의영(서울대)

발표: 서현수(한국교원대), 김주형(서울대)

       이지문(연세대)

       김인균(성균관대)

       윤왕희(성균관대)

토론: 김용태(국회의원 국민의힘),

       박지혜(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조계원(고려대), 문은영(건국대),

       허석재(국회입법조사처) 김상준(경희대)

 

 

 

- 세션 3

15:30∼17:10

<3세미나실>

패널 4: 개헌과 권력구조 변경의 방향

사회: 임경훈(서울대)

발표: 이종곤(이화여대)

     지병근(조선대)

     한정훈(서울대)

토론: 조진만(덕성여대), 신정섭(숭실대), 이재묵(한국외대)

 

 

 

<2세미나실>

패널 5: 정치 위기와 한국의 민주주의

사회: 임성학(서울시립대)

발표: 김한나(진주교대), 박원호(서울대)

     장한일(국민대), 김나연(국민대)

     김아람(제주평화연구원)

     박용수(연세대) “

토론: 조영호(서강대), 이인복(연세대), 장승진(국민대), 성예진(성균관대)  

 

 

주최

 

- 국회입법조사처, 한국정치학회,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

 

 

'한국정치 > 2025 개헌_의원내각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 포인트 개헌. 대통령 선거에서 결선투표제 실시. 2018년 문재인 개헌안에 '대통령 결선투표제' 내용이 추가됨.  (1) 2025.04.10
2024.Dec.23. 민주당 이재명의 주장 "탄핵이 급한데, 개헌은 한가한 소리다"라는 의견에 반대함.  (1) 2025.04.10
315부정선거 이후, 419혁명으로 이승만 대통령을 축출하고, 51일만에 개헌을 실시해, 내각책임제(의원내각제)를 채택했다. 내각 총리와 국가의 상징적 대표 대통령을 선출했다.  (1) 2025.04.07
우원식 국회의장 , 조기대선과 개헌 (1차) 동시 투표 제안 평가 (1) 조기대선 전에 국회는 '대통령 결선투표제'를 통과시켜야 한다 (2) 17개 광역단체에서 1000명 시민 참여 개헌 위원회 토론을 시작하자.  (3) 2025.04.06
윤석열 탄핵. 2024.12.23. 헌법재판소의 역할과 개선점. 헌법재판소장과 재판관들을 직접 선거로 선출해야 한다.  (1) 2025.03.28
한인섭 법대교수님이 지적한 ‘헌법재판소’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식이, 대통령제가 아니라, 제도적으로 ‘독일식’과 같은 의원내각제 (책임총리제)이다.  (3) 2025.03.27
윤석열 탄핵, 헌법재판소 파면선고가 늦춰지자, 탄핵찬성 대중들이 정치적 분노가 쌓이고 있다. 대통령제의 폐해의 극단적인 표출 양식이다. 의원내각제 하에서는 탄핵 이후 2개월 내 바로 총선을 실시할 수 있다.  (2) 2025.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