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history)/윤석열 2022-

윤석열 탄핵 재판. 헌법재판소 심판 정족수는 심리는 7명, 판결은 6명 이상 찬성해야. 심판 기간은 접수일부터 180일 이내, 재판관 7명 출석이 불가능한 경우, 궐위 시간은 심판기간에 불산입.

by 원시 2025. 3. 31.

 

윤석열 탄핵 재판. 헌법재판소 심판 정족수는  심리는 7명, 판결은 6명 이상 찬성해야. 심판 기간은 접수일부터 180일 이내, 재판관 7명 출석이 불가능한 경우, 궐위 시간은 심판기간에 불산입.  

 

[주의] 다만 최근 이진숙 방통위원장 탄핵 심판시, 헌재가 6명이어도 판결이 가능하다고 결론. 

 

윤석열 탄핵의 헌법재판소 접수일 2024년 12월 14일. 

심판기간은 약 6개월 (180일)이므로, 대략 6월 14일 근처

 

 

 

23조

제23조(심판정족수) ① 재판부는 재판관 7명 이상의 출석으로 사건을 심리한다.
② 재판부는 종국심리(終局審理)에 관여한 재판관 과반수의 찬성으로 사건에 관한 결정을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재판관 6명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한다.
1. 법률의 위헌결정, 탄핵의 결정, 정당해산의 결정 또는 헌법소원에 관한 인용결정(認容決定)을 하는 경우
2. 종전에 헌법재판소가 판시한 헌법 또는 법률의 해석 적용에 관한 의견을 변경하는 경우


제38조(심판기간) 헌법재판소는 심판사건을 접수한 날부터 180일 이내에 종국결정의 선고를 하여야 한다. 다만, 재판관
의 궐위로 7명의 출석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그 궐위된 기간은 심판기간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전문개정 2011. 4. 5.]

 

'역사(history) > 윤석열 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석열 탄핵 심판, 문형배 이미선 헌법재판관이 임기만료일 4월 18일 이전에 판결을 완료하라 -만약 문형배,이미선 재판관이 재판을 그만 둔다는 것은, 의사가 폐암수술 도중에 ‘응 6시 퇴근이네’ 말하며, 수술실을 떠나 집으로 돌아간 것과 같다.  (0) 2025.04.01
한동수 감찰부장의 증언. 윤석열 검사와 한동훈 검사 관계 - 제 1의 관심은 정치인 수사였다. 윤석열은 자기 의견과 다르면 회피하거나 무시했다.  (4) 2025.03.31
한동수 검찰 개혁 방안. 1월 28일. 2025. .수사권과 기소권 분리 이후, 6000명의 검찰 수사 인력을 중수청 등 경찰로 이동하는 조치 필요. 검사동일체가 부당할 때, 하급 검사가 취할 수 있는 조치들 제안  (1) 2025.03.31
윤석열 탄핵 촉구하는 전국 시민 서명 캠페인 . 4월 1일까지 . 헌법재판소의 선고 지연에 대한 시민들의 분노.  (0) 2025.03.30
윤석열 탄핵 헌법재판소 판결이 지연되는 이유들 , 해법은 문형배 헌재소장이 탄핵결정 기일을 정해야 한다. 헌법학자들 대부분 윤석열 탄핵은 자명하다.  (1) 2025.03.30
헌법재판소 역할 개선. 대통령 탄핵은 '국민투표'로 결정하자는 제안.  (0) 2025.03.29
윤석열 탄핵. 곽종근 사령관의 반성문. 윤석열의 계엄령이 위헌,위법인지 판단하지 못해, 병력을 출동시켜 '국헌 문란의 죄'를 졌다. 부하들의 소극적 행동으로 인해 최악의 상황을 면했다.  (0)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