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 정당/독일

구 동독 지역에 극우정당 '독일을위한대안 (AfD)'에 대한 지지율이 높은 이유 조사.

by 원시 2025. 2. 24.

정치적 함의.

 

결국 '독일대안 AfD'의 급부상 문제는, 구 동독과 구 서독의 격차를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했다. 동독사람들을 오씨, 서독인들을 베씨라고 부르며, 제동독인들은 2등시민의식을 가지고 있음이 이번 총선에서 드러났다.

 

한국에 주는 정치적 의미는 무엇인가? 

 

한국의 진보정당, 좌파의 특질은 무엇이며 어떤 정치사적 의미를 가지는가? 

1) 박정희,전두환 군사독재의 30년간, 다원주의적 삶의 양식에 대한 철저한 억압과 파괴,

2) 정치체제 - 정당 활동과 시민사회 내부. 인권과 민주주의 파괴, 일상생활에서 권위주의적 획일적 사고방식 강요 

3) 노동 착취와 반노동자적 태도. 노동자들에 대한 노예적 취급, 노동자에 대한 무시와 교육을 연계한 노동착취의 정당화,

4) 냉전체제 유지.  반공반북이데올로기 주입 등에 저항해온 사람들이 바로 한국의 좌파와 '민주주의자들'이다. 이들 중에는 리버럴 민주당으로 간 사람들도 있고, 2000년 민주노동당 창당을 필두로 노동착취의 근절과 리버럴 민주주의를 넘어서 노동대중을 민주주의의 주체로 만들고자 한 좌파도 있다.

 

한국에서 좌파의 가치와 의미는, 다원주의적 삶의 양식 추구, 권위주의에 대한 비판과 민주적 인간관계의 확산, 직업차별의 완전한 철폐와 노동착취의 근절, 평화적 공존 체제 구축 등이 있다. 1997년 IMF 신자유주의 독재 체제 이후, 자본의 이윤추구 논리가 공동체의 연대의 가치들을 급속도로 파괴했다. 


-이러한 토대 위에서 신사회운동, 1997년 IMF 신자유주의 독재가 만들어낸 노-노 갈등과 노동자 분열, 도시공간의 사유화, 생태계 파괴, 인종주의와 성차별 문제들을 해결해야 한다.

 

 

구 동독 지역에 극우정당 독일을위한대안 (AfD)에 대한 지지율이 높은 이유 조사.

 

 

(해설) 구 동독지역 주들의 연간 1인당 GDP는 서독 지역에 비해 58%~75%에 그치고 있다. 응답자의 50%가 다원주의적 다양성을 실현하는 것보다는 민족공동체를 하나로 통합하는 강한 정당이 필요하다고 답변.

 

국수주의와 외국인 혐오 발언을 용인하는 게 다수.

구 동독처럼 1당 독재가 차라리 더 낫다고 생각.

응답자의 25%는 통독 이후 패배자가 되었다고 생각, 50%는 한번도 승자라고 생각해본 적이 없다.

3분의 2는 구 동독을 동경한다고 답변. 

이러한 동독지역 주민들의 ‘삶의 태도’를 잘 파악한 ‘독일을 위한 대안 AfD’가 여러 조직망들을 쉽게 만들어내고, 지지율을 끌어올렸다.

 

 

 

(카이 퇴링 Kai Doering 기사를 번역함  ) 

 

조사자. 라이프찌히 대학 의학 심리-사회학 명예교수, 엘마 브랠러 (Elmar Brähler)

민주주의 연구소 올리버 데커 (Oliver Decker)

 

1. 조사 결과

동독지역 3천 546명 인터뷰 조사 결과 극우파들의 주장에 상당수가 동의하고 있다.

자국이나 인종이 더 우울하다는 쇼비니즘과 외국인 혐오 발언을 비판하는 자는 응답자의 소수였다.

 

2.  민족공동체를 하나로 통합하는 강한 정당이 필요하다.

 

극우주장에 적극 동조하는 주들은 작센, 작센-안할트, 튀링엔 주이다. 인터뷰 조사자 엘마 브랠러는 이 지역 유권자들이 극우파와 신나치 정당에 투표할 확률이 높다고 강조했다. 응답자 2명 중에 1명은  민족공동체를 하나로 통합하는 ‘강한 정당’을 원하고 있다. 다원주의적 이해관계의 다양성 보다는 하나의 민족적 공동체를 더 선호했다.

 

3. 권위주의적인 국가를 찬성한다. 민주주의에 대한 약한 동의. 독일을위한대안 (AfD)가 이러한 의식을 잘 활용해 여러조직들을 형성했다.

 

브랠러의 조사에 따르면, 동독 주민들 상당수가 민주적 참여와 민주적 기본권의 보장을 희망하지 않고, 그 대신 권위주의적인 국가의 ‘외관상’ 보장을 원한다. (권위주의적 국가를 선호함)

‘독일을 위한 대안’과 같은 극우파 정당들이 많은 사람들에게 그들의 이데올로기를 제시하면서 다양한 관계망들을 형성하고 있다.

 

4. 1당 독재가 더 낫다. 일상생활에서 민주주의 원리가 잘 작동하지 않는다고 생각. 응답자의 3분의 2가 구 동독을 동경한다.

 

이외에도, 구 동독에서 많은 사람들이 체험했던 1당 독재에 대한 희망사항도 존재한다.

이번 조사에서, 동독 지역 사람들은 민족 공동체를 구현하는 단일한 강한 정당의 출현에 강한 동의를 표명했다. 다른 한편 일상 생활에서 민주주의 원리가 작동한다는 것에 별로 동의를 하지 않는다.

 

 동독에서 체험이 통일 후에 동독지역에 사는 사람들의 태도와 관점을 형성하고 있다. 

25% 동독인들은 1990년 통독 이후에 자신이 패자라고 느낀다. 동독 주민 50%는 단 한번도 자기자신이 승자라고 생각한 적이 없다. 응답자들은 구 동독에서 삶에 더 만족했다.

응답자의 3분의 2가 구 동독이 그립다고 말했다.

 

------------------------

 

선거 결과

2025년 2월 23일 독일 조기 총선에서, 독일을위한대안 AfD 의 지역구 후보가 당선된 곳. (하늘색)

주로 동독지역에 몰려있다. 

 

지역구 당선자. 기민당 (143) 기사련 (47석 - 바이에른 주), 사민당 (45석), 독일을위한대안 (AfD 46석), 좌파당 (6석), 녹색당 (123석) 

 

 

지역구 당선자. 기민당 (143) 기사련 (47석 - 바이에른 주), 사민당 (45석), 독일을위한대안 (AfD 46석), 좌파당 (6석), 녹색당 (123석) 

 

 

 

경제적 불평등 - 독일 지역별

 

기사련(CSU)의 1당 독재에 가까운 바이에른주의 연간 1인당 GDP는 4만 7천 유로인데 비해, 동독 주들의 1인당 GDP는 바이에른주의 60%에 해당한다.  

 

표 출처. https://www.pewresearch.org/short-reads/2019/11/06/east-germany-has-narrowed-economic-gap-with-west-germany-since-fall-of-communism-but-still-lags/

 

East Germany has narrowed economic gap with West Germany since fall of communism, but still lags

Despite improvements in recent decades, the former East Germany trails the former West Germany on several important economic measures.

www.pewresearch.org

 

 

 

 

2023. 6월 28일자. - vorwärts (전진) 

 

 

Studie der Uni Leipzig: Darum ist die AfD in Ostdeutschland so stark

Warum ist die AfD besonders in Ostdeutschland im Aufwind? Eine neue Studie der Universität Leipzig gibt Aufschluss darüber. Die Demokratie hat danach im Osten einen schweren Stand, was auch an Erfahrungen aus der DDR liegt.

von Kai Doering · 28. Juni 2023

 

Hohe Zufriedenheit mit dem Leben in der DDR: Eine neue Studie der Universität Leipzig bietet Erklärungsansätze für die Stärke der AfD in Ostdeutschland.

 

 

Hohe Zufriedenheit mit dem Leben in der DDR: Eine neue Studie der Universität Leipzig bietet Erklärungsansätze für die Stärke der AfD in Ostdeutschland.

Die Wahl des ersten Landrats von der AfD im thüringischen Sonneberg am Sonntag war für viele Menschen ein Schock. Und auch in den Umfragen für die Landtagswahlen in den ostdeutschen Bundesländern ist die in weiten Teilen rechtsextreme Partei im Aufwind. Eine Studie der Universität Leipzig liefert nun mögliche Erklärungen für den Erfolg der AfD.

 

Jede*r zweite wünscht sich eine „starke Partei“

Eine repräsentative Befragung von 3.546 Menschen in den ostdeutschen Bundesländern ergab danach eine hohe Zustimmung zu rechtsextremen Aussagen. Chauvinistische und ausländerfeindliche Aussagen würden nur von einer Minderheit der Befragten abgelehnt, betonten die Studienleiter Oliver Decker und Elmar Brähler bei der Vorstellung der Studie am Mittwoch in Berlin.

 

Besonders ausgeprägt sei die Zustimmung in den Bundesländern Sachsen, Sachsen-Anhalt und Thüringen. „Hier ist damit das Potential für extrem-rechte und neonazistische Parteien, Wähler zu finden, besonders hoch“, betonte Brähler. „Jeder zweite wünscht sich eine ‚starke Partei‘, die die ‚Volksgemeinschaft‘ insgesamt verkörpert. Statt pluralistischer Interessensvielfalt wird eine völkische Gemeinschaft gewünscht“, erläuterte Elmar Brähler, emeritierter Professor für Medizinische Psychologie und Medizinische Soziologie an der Universität Leipzig.

 

Schwache Zustimmung zur Demokratie

Die Untersuchung zeige, „dass sich derzeit viele Menschen in den ostdeutschen Bundesländern nicht mehr demokratische Teilhabe und Sicherung der demokratischen Grundrechte wünschen, sondern die scheinbare Sicherheit einer autoritären Staatlichkeit“. Extrem-rechte Parteien wie die AfD hätten hier mit ihren ideologischen Angeboten zahlreiche Anknüpfungspunkte in die Breite der Bevölkerung.

 

Hinzu komme der „Wunsch nach einer Einparteiendiktatur“ wie sie viele in der DDR erlebt haben. So erfährt die Forderung nach „einer einzigen starken Partei, die die Volksgemeinschaft verkörpert“ in der Untersuchung eine hohe Zustimmung von den Menschen in Ostdeutschland. Gleichzeitig ist die Zustimmung zur im Alltag gelebten Demokratie nur sehr schwach ausgeprägt.

 

Die Erfahrungen aus der DDR prägen die Einstellungen der Menschen in Ostdeutschland noch heute. „Ein Viertel fühlt sich als Verlierer der Wende, nicht mal die Hälfte möchte sich als Gewinner bezeichnen. Rückblickend ist die Zufriedenheit unter den Befragten mit ihrem Leben in der DDR hoch“, erläuterte Oliver Decker, Direktor des Else-Frenkel-Brunswik-Instituts für Demokratieforschung an der Universität Leipzig. Zwei Drittel der Befragten teilten eine Sehnsucht nach der DD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