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비교/생태-녹색34 [동물] 벌. 빨강 꼬리 석공벌이 집 짓는 과정. (a red-tailed mason bee) 빨강 꼬리 석공벌이 집 짓는 과정. Watch as a red-tailed mason bee creates a fortress, composed of a shell and sticks. 2024. 2. 16. [좋은 기사.경향] 꿀벌 위해, 식목일을 4월 5일에서 3월 21일로 앞당기기. 나무 심기 좋은 온도 6.5도. 벌의 먹이 밀원 지난 50년간 70% 소실. 꿀벌 먹이 밀원 나무 심기 1. 나무 심기 좋은 온도 6.5도.2. 식목일 - 세계 산림의날인 3월21일로 앞당기자는 ‘산림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3. 밀원 복원 필요성. 벌의 먹이 밀원 지난 50년간 70% 소실.4. 대안. 꿀벌의 먹이가 되는 꽃, 나무 등을 식목일에 일정 비율로 심자.5. 지구의 날, 환경의 날도 있지만, 식목일을 다시 휴일로 제정해서, 사람들이 기후위기에 대한 실질적인 실천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기고 꿀벌 위해 식목일 앞당기기, 역사보다 과학으로 판단해야 입력 : 2023.03.29 03:00 최태영 그린피스 생물다양성 캠페이너 식목일이 더워지고 있다. 기상청의 과거 관측에 따르면? 1960년 식목일의 서울 평균 기온은 5.3도였다. 그러나 작년 식목일의 서울 평균 기온은 10.3도를 기록했.. 2023. 3. 29. 11월 1일 벌들이 아직 날아들다. 따뜻한 늦가을 예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따뜻한 가을귀여운 녀석이 나타났다. 반갑다. 2022. 11. 2. 몸통이 녹색인 벌. 벌의 한 종류처럼 보이는데, 색깔이 특이하다. 벌같이 생겼는데, 다른 동물일 수도 있겠다. 2022년 10월 2022. 10. 7. 벌 개체수 감소. (한겨레 보도) 국내 농업은 살충제 규제 어려워…“꿀벌 보호는 식량위기, 생물다양성과도 연관” ‘농정’이 꿀벌 80억마리를 죽였다 올겨울 전국에서 떼죽음, 세계는 살충제 주목하지만 농촌진흥청은 ‘따뜻한 겨울’ 탓 국내 농업은 살충제 규제 어려워…“꿀벌 보호는 식량위기, 생물다양성과도 연관” 제1416호등록 : 2022-06-06 17:39 2022년 5월30일 경기도 양평군에서 벌을 키우는 김일숙씨가 벌집을 꺼내 꿀벌들의 상태를 살피고 있다. 2015년 귀농해 경남 하동에서 4년간 벌을 키우던 김일숙씨는 2020년 경기도 양평으로 터전을 옮겼다. 하동에 있을 땐 드론으로 주변 논과 산에 농약을 뿌릴 때마다 꿀벌이 우수수 죽어나갔다. 하동처럼 규모가 큰 농경지 주변에서는 양봉이 어렵겠다고 판단했다. 소규모 농경지가 많은 양평으로 온 까닭이다. 지난겨울 전국에서 꿀벌 벌통(봉군) 41만7556개, 꿀.. 2022. 6. 9. 꿀벌 보호. 벌의 중요성. 캘리포니아 '호박벌', 물고기와 같은 법적 보호 받아. 꿀벌, 벌이 생태계와 인간사회에서 얼마나 중요한가를 사람들이 깨닫게 되었다.수분 주체, 꽃가루 매개자 (pollinator)를 보호하자. 척추동물 이외에도, 벌과 같은 곤충과 무척추동물 (invertebrate)도 종 소멸을 우려해 보호종 법률 제정.이전에도 몇 차례 법률제정 운동이 있었지만, 캘리포니아 호박벌은 '보호종'으로 채택되지 않았다.이번에는 과거 법률 판정을 번복해, 호박벌이 보호종 소속이 되었다. * 기존 법률. 새, 포유류, 물고기, 양서류, 파충류, 혹은 식물)무척추동물은 보호종이 아니었다. 벌과 연관된 핵심어: Pollen, Pollinate. Pollinator (벌이나 나비 같은 꽃가루 매개자, 또는 꽃가루 공급원이 되는 식물) pollen 파우더... 꽃가루. 화분 (花粉), .. 2022. 6. 7. 2020 june- 경향신문 보도. 기후변화 증인들. 해수 온난화. 수목 변화. 벌 개체 감소. 폭염. 산불. 기후변화의 증인들(1)일상 속 기후변화 ‘피부’로 증언한다글 김한솔 기자·영상 최유진 PD입력 : 2020.06.22 06:00 경향신문·녹색연합 공동기획 제주 해녀들이 물질을 시작하러 바다로 이동하고 있다. 최유진PD “지구온난화가 현재 속도로 지속된다면 2030년과 2052년 사이 지구 기온이 산업화 이전 수준과 비교해 1.5도가량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많은 지역에서 극한 기온의 온난화, 일부 지역에서 호우 빈도와 강도의 증가, 일부 지역에서 가뭄 강도 또는 빈도의 증가 발생이 예상된다.”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2018년 발표한 ‘지구온난화 1.5도 특별보고서’에 적힌 내용이다. 어렵게 쓰여 있지만 지구 기온 상승폭이 1.5도 이상이 될 경우 어떤 지역에서는 기온이 크게 오르.. 2022. 3. 9. 벌 개체수 감소 원인들. 기후변화로 인해, 꿀없는 꽃. 냉해로 벌 활동시기 축소. 과일, 채소,식량에 악영향. 경향신문 보도.2020년. 7월 7일.2014년. 따뜻한 겨울 탓 배•꿀 흉작…이상기후, 더 자주 더 세져 더 암울 글 김한솔 기자•영상 최유진 PD입력 : 2020.07.07 06:00 수정 : 2020.08.21 14:02 이상기후 시대의 농사 나주에서 배 농사를 짓는 노봉주씨가 냉해로 인해 크기가 골프공보다 작고 모양이 찌그러진 기형 배들을 보여주고 있다(위 사진). 노봉주씨가 자신의 배밭에서 냉해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최유진PD yujinchoi@kyunghyang.com 빨라진 개화기에 꽃샘추위, 배꽃 고사로 착과 안 되고 기형 많아 “꽃이 피었는데 꿀벌 굶어 죽는 건 처음” 저온 탓 꿀 생산량 급감 농업 재해 세계적 현상…농작물값 폭등 땐 국내 식량 안보 타격 “사후 복구식 위기관.. 2022. 3. 9. 벌의 수명. 여왕벌 (3~6년), 일벌 (6~7주, 4~6개월) 수펄 (55일) 벌의 수명. 여왕벌 (3~6년), 일벌 (6~7주, 4~6개월) 수펄 (55일) How Long Do Bees Live? Updated: 7th February 2021 "How long do bees live? " The answer to this question depends on the type of bee referred to (honey bee, solitary bee or bumble bee), and the role of the bee within the colony. The lifespan of bees, can of course, also be affected by extraneous factors such as weather, availability of forage, human.. 2022. 3. 9. 벌 개체수 감소 이유들. 벌집 붕괴 증후군.(Colony Collapse Disorder) 군집 붕괴 현상. 봉군붕괴증후군. 벌집 붕괴 증후군.(Colony Collapse Disorder) KBS 스페셜. 2007년. 집 나가서 돌아오지 않는 벌, 과연 이유는 무엇일까 벌이 집을 나간 후 돌아오지 않는 원인들. 2006,2007년 미국, 이탈리아, 영국, 한국 등에서 벌들이 떼죽음을 당하거나 실종되는 현상이 벌어짐. 미 농무부는 원인 파악에 나서기 시작. 몇 가지 원인들을 가설적으로 설명할 뿐이다. 1) 휴대전화, 통신망 발달로 인해 벌의 두뇌 신경물질의 오작동. 2004년 전 세계 휴대전화 30억개.전자파에 노출된 벌의 뇌신경에 이상이 생겼다는 실험. HAARP 시설도 벌의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설도 제기. 2) 바이러스 감염설3) 과도한 살충제에 노출된 벌들의 죽음. 살충제 성분 중.. 2022. 3. 8. 벌 개체수 감소. What are the causes of bee decline? What are the causes of bee decline?SHARE: Why are bees declining and what are the main threats to bees? Our expert guide to the threats affecting bee populations in the UK and worldwide. Published: 25 Jul 2017 | 4 minute readHere in the UK, and globally, bees are facing many threats. These include habitat loss, climate change, toxic pesticides and diseas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2022. 3. 8. [동물] 벌. 제주도 꿀벌 3억 마리 실종. 꿀벌이 멸종되면 우리나라 농작물의 40%가 사라질 수 있음. 벌은 정말 소중하다. 내가 텃밭을 가꾸면서 가장 보람있는 일들 중에 하나가 바로 '벌' '나비'가 텃밭에 찾아오는 것이다.깨잎 꽃, 부추 (솔지) 꽃, 토마토, 고추, 딸기, 모두 나비와 벌이 찾아와서 열매를 맺게 해준다. 제주도에서 최근 벌이 실종되는 사건이 일어났다.원인이 무엇인가? [밀착카메라] "하늘로 솟았나"…꿀벌 3억마리 실종 미스터리 [JTBC] 입력 2022-03-03 20:44 [앵커] 오늘(3일) 밀착카메라는 제주의 양봉농가로 가봤습니다. 애지중지 키워온 꿀벌들이 사라져서 비상이 걸렸는데, 이런 꿀벌이 수억 마리에 달합니다. 무슨 일이 벌어진 건지 밀착카메라 이상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제주의 한 양봉농가. 꿀벌을 키운 지 37년째입니다. [이순철/양봉농가 주인 : 벌은 .. 2022. 3. 8. 죽기전에 사람들이 가장 후회하는 5가지. - 브로니 웨어.Top five regrets of the dying - Bronnie Ware .생명과 죽음. 삶과 죽음의 의미에 대한 기록. 참고자료. Top five regrets of the dying A nurse has recorded the most common regrets of the dying, and among the top ones is 'I wish I hadn't worked so hard'. What would your biggest regret be if this was your last day of life? • Bronnie Ware: 'Writing Top Five Regrets of the Dying has brought me to tears' • How to die: five positive steps to deal with death • Click here.. 2021. 1. 18.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