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history)560 1937년 서울 북한산 등반객들. 신발. 교복, 양복 차림. 10대 후반이나 20대 초반 남자들. Seoul, Korea, 1937 photographer Unidentified 북한산 등산기념 1937. 4. 3일 2022. 3. 23. 1938 조선 경부선 기차 내부, 출처. 조선총독부 철도국 '반도의 근영' 검토 필요. 경부선 식당차. Korea, 1938 photographer Unidentified 조선총독부 철도국 ‘반도의 근영’ 원제(半島の近影) 한반도 풍경 사진 130장 수록 2022. 3. 23. 1939 조선 여학생 체조 시간. 향상여자 기예학교 현 동명학원 Seoul. Korea. 1939 photographer Unidentified 향상여자 기예학교 현 동명학원 2022. 3. 23. 1930년대 서울 거리. 명동. 미쓰코시 경성점의 옥상정원 사진 작가 이름을 알았으면 좋았을 것 같다. 미쓰코시 경성점 고객들은 일본인과 조선인이다. 명동 明洞 Seoul, Korea, 1930's photographer Unidentified 미쓰코시 백화점 개점일 당시 내부와 사람들 1930년 개점한 미쓰코시 경성점 미쓰코시 경성점의 옥상정원 Seoul, Korea, 1930's photographer Unidentified * 2022. 3. 23. 1938년 조선 여성 의복. 중요한 자료. 의류, 풍속. 일제 시대. Korea, little girl carrying baby on her back, 1938 Forman, Harrison, 1904-1978 2022. 3. 23. 1938년 조선 남자 의복. 사진 해리슨 포먼. [인터넷 펌] Korea,men wearing traditional Korean hats and clothing, 1938 Forman, Harrison, 1904-1978 2022. 3. 23. 조선, 경성 거리. 1938. 조미료. 죽집. 떡집. 일본의 화학자 池田菊苗씨가 개발한 글루탐산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한 조미료 Seoul, Korea, 1938 Photographer Forman, Harrison The signs in the photo indicate the shop sells powdered condiments, rice cakes, and rice porridge. 문옆 가루양념 아지노모도라고 적혀있다. 일본의 화학조미료 회사 아지노모토(味の素, Ajinomoto) 味の素(아지노모토) 우리들에게는 미원으로 알려졌었죠 일본의 화학자 池田菊苗씨가 개발한 글루탐산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한 조미료 지금도 많이들 사용하고 있습니다 * 2022. 3. 23. 1951 6.16. 북한 인민군과 유엔사려오간 매튜 리지웨이. 사진. Time 자료. 한국전쟁사진중에 인민군과 미군이 함께 Time지를 읽고 있는 모습.. 사진속 타임지- 1951년 6월16일자로 표지인물은 당시 유엔군사령관이던 매튜 리지웨이 장군 1951년 7월8일 휴전회담이 이루어지고 있던 개성에서 촬영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이 수집한 한국전쟁중 사진을 2018. 6 국가기록원이 공개 2022. 3. 21. 캐나다 출신의 맥레(Macrae DM) 선교사 1898년부터 1937년까지 선교 활동.세브란스의전(1885년 설립된 한국 최초의 근대의학 교육 시작) Seoul, Korea. 1910's photographer The Reverend Corwin & Tayler 세브란스 병원 병리학부 Seoul, Korea. 1910's photographer The Reverend Corwin & Tayler 세브란스 유니언 의과학교 진료모습 Korea, 1898-1937 photographer Macrae DM 세브란스의전(1885년 설립된 한국 최초의 근대의학 교육 시작) 교수 시절의 의학생 실습 모습 캐나다 출신의 맥레(Macrae DM) 선교사 1898년부터 1937년까지 선교 활동 2022. 2. 22. 청 태종이 삼전도에 세운 비석이다. 원래 이름은 ‘대청황제공덕비’ 1916 쓰러진 채 방치되어 있는 삼전도비. Seoul, Korea, 1916 Photographer Unidentified 병자호란 1639년 직후 청의 요구로 인조가 남한산성에서 내려와 청 태종의 막사 앞에서 무릎을 꿇고 절하며 항복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청 태종이 삼전도에 세운 비석이다. 원래 이름은 ‘대청황제공덕비’이다. 2022. 2. 22. [서울신문] 김원웅 광복회장 해임. 비자금으로 6번 ‘무허가’ 마사지…김원웅, 해임 임시총회 수용 부끄러운 일임. 역사를 다루는 기관에서 이런 일이 일어나서 더 큰 문제다. 비자금으로 6번 ‘무허가’ 마사지…김원웅, 해임 임시총회 수용 2022-02-15 14:09 그동안 제기된 김원웅 광복회장의 의혹들이 국가보훈처의 감사로 대부분 사실로 확인되고 있다. 서울신문 DB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그동안 제기된 김원웅 광복회장의 의혹들이 국가보훈처의 감사로 대부분 사실로 확인되고 있다. 서울신문 DB 김원웅, 해임 임시총회 돌연 수용 대의원 61명중 41명이상 찬성시 가결 보훈처 “비자금 72500여만원 사용” 마사지·의원실 화초구입비 등 포함 수익금 횡령 의혹으로 경찰 수사를 받는 김원웅 광복회장이 일부 회원이 제기한 임시총회 개최 요구를 15일 수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총회에서 김 .. 2022. 2. 15. 조선시대. 고종과 순종 사진. 이완용. Korea, 1904 photographer G.G. Bain 고종 [高宗, 1852 ~ 1919.1.21] King Kojong and King Sunjong, Seoul, Korea, 1904 photographer Willard Dickerman Straight Collection: Willard Dickerman Straight and Early U.S.-Korea Diplomatic Relations, Cornell University Library 조선 고종과 순종. 사진사. 윌라드 디커먼 스트레이트. 보관 장소. 코넬 대학교. 초기 미국-조선 외교관계. 덕수궁 [Deoksugung Palace, 德壽宮] Seoul, Korea, 1910 photographer Unidentified 고종(왼.. 2022. 2. 14. [펌] 자료 사진.초기 장로회 평양신학교 학생들과 교수들, Korea, 1905 [펌] 자료 사진.초기 장로회 평양신학교 학생들과 교수들, Korea, 1905 Photographer Unidentified 맨 앞줄의 한석진이 태극기를, 길선주가 성경을 들고 있다. 2022. 2. 14. [언론보도] 이을호 선생, 한평생 고문후유증 시달린 ‘민청련 이론가’ 끝내 떠나다 한평생 고문후유증 시달린 ‘민청련 이론가’ 끝내 떠나다 등록 :2022-01-26 19:03 김경애 기자 이을호 우석대 김근태연구소 부소장 별세 1983년 민청련 창립때 ‘정책연구실장’ 맡아 1985년 남영동·남산 고문으로 정신분열증 ‘독재 정권의 고문 후유증으로 고통받던 비운의 천재’. 26일 오전 10시45분 67살을 일기로 별세한 이을호 우석대 김근태연구소 부소장을 두고 지인들이 평소 했던 말이다. 유족은 이날 고인이 지난해 12월 코로나19에 감염돼 그동안 입원 치료를 받아왔다고 밝혔다. 1955년 전북 부안에서 태어나 전주고를 수석 졸업한 고인은 74년 서울대 사회계열에 입학한 뒤 철학과로 전과했다. 4학년 때인 77년 소설가 김영현·시인 김사인 등과 함께 긴급조치 9호 위반 혐의로 첫 구속됐다.. 2022. 1. 27. 1971년 대선, 박정희는 출마할 수 없었다. 69년 7월 19일 역사적인 김대중의 효창운동장 연설, 박정희의 대항마로 떠오르다.삼선개헌 반대. 69조 3항. 개정안. 대통령의 계속 재임은 3기에 한한다. (대통령을 세번 역임가능) 현행안 (대통령은 1차에 한하여 중임할 수 있다) 1963년 대선, 4년 후 1967년 대선 승리자는 박정희였다. 중임했으면 1971년 대선에서는 박정희는 출마 자격이 없다. 그러나 박정희는 1969년 헌법을 바꿔, 1971년 대선에 출마할 수 있게 만들었다. 이승만의 사사오입, 1969년 박정희의 삼선개헌, 1972년 유신헌법, 1979년 박정희 피격과 전두환 노태우 1212 군사쿠데타, 1980년 광주항쟁으로 이어지는 현대사 흐름에서 1969년 삼선개헌 폭거는 현대 한국정치를 규정했던 중요한 한 사건이었다. 1967년 대선 승리 이후, 박정희는 경제성장과 북한과 체제경쟁에서 승리를 위해서 자기가 3번째 대통령을 해.. 2022. 1. 23. 헌법 파괴. 박정희 1969년 3선 개헌. 10월 18일 투표. 장기집권. 박정희 장기 집권 과정. 1969년 3선 개헌. 이승만에 이은 박정희의 3선 개헌과 헌법 파괴 책동. 2022. 1. 22. 박종철 열사. 물고문 치사 사건. 1987년 1월 16일 동아일보 1987년 1월 16일 이후 박종철 고문치사와 진상규명 투쟁 관련 기사. 1.박종철의 삼촌 박월길 증언. 박종철의 이마, 뒤통수, 목, 가슴, 사타구니에 멍이 있었다. 중앙대 의사 오연상(32세)이 심장이 멎은 박종철을 살리기 위해 '기관에 튜브를 집어넣어 인공호흡을 했다'캠플 주사를 놓고, 심장 마사지를 30분 했다. 그러나 박종철의 심폐기능이 회생되지 못했다. 눈물겨운 이러한 의료진의 분투가 있었다. 박종철의 어머니 정차순씨는 당시 54세였는데, 병원에서 기절해 실려갔다. 2. 1987년 1월 19일자. 동아일보. 박종철 고문치사 경찰 발표. 박종철 사망원인은 '물고문'하는 과정에 '경부 압박'으로 인한 질식사이다. 박종철에 대한 수사 경위. 1986년 10월 31일. 서울대 아크로폴리스 광장에.. 2022. 1. 16. 박종철 열사 35주기. 당시 어머니 (정차순)의 타종. 정차순씨는 아직 생존해 계시는 것으로 보인다. 한동안 잊고 살았던 박종철의 가족, 아버지 박정기, 어머니 정차순님. 시위 현장, 단상에 오르셨던 박종철 열사 아버지 박정기 선생은 2018년에 별세하셨다. (1928-2018) 어머니 정차순님의 건강을 빈다. 박종철 어머니의 타종을 다시 보며. 2022년 대선을 생각하다. 2022년 대선 잔치에 초대받지 못한 얼굴들. 1987년에 비해, 2022년 사람들이 더 여유롭고 민심이 따뜻해졌나? 타살당한 사람의 어머니 나이는 그대로이지 않은가? 87년 박종철 어머니 정차순(54세), 이한열 어머니 배은심(47세), 그리고 2018년 김용균의 어머니 김미숙(48세). 실은 나 역시 이들을 매일 생각하지 않는다. 아니 자기 일 하느라 다 잊고 살고, 또 그렇게 살지 .. 2022. 1. 16. 이한열 열사 모친 배은심 여사 별세. 배은심 어머니의 명복을 빕니다. 저희들이 해야 할 일을 제대로 하지 못해 죄송합니다. 배은심 여사 빈소 추모 행렬 “6월의 어머니 가셨다” 오열 박용근 기자입력 : 2022.01.09 16:47 이한열 열사 모친 고(故) 배은심 여사의 빈소가 9일 오후 광주 동구 조선대병원장례식장에 마련됐다. 연합뉴스 제공 고(故) 이한열 열사 어머니 배은심 여사의 빈소가 차려진 광주 조선대학교병원 장례식장에는 9일 오후 수많은 추모객들이 찾아와 고인의 명복을 빌었다. 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 박선영·표정두·류재을 열사의 유족들은 배 여사 영정이 걸리자마자 빈소에 달려와 오열했다. 이들은 “민주화와 노동 투쟁의 현장을 지킨 동지가 갔다”며 슬퍼했다. 이한열 열사를 주인공으로 한 영화 ‘1987’의 작가 김경찬 씨도 빈소를.. 2022. 1. 9. 2021. 12.23. 5·18 강경진압 거부 정웅 전 사단장 별세 5·18 강경진압 거부 정웅 전 사단장 별세 2021년 12월 23일(목) 19:15가가 회고록 집필…유족들 발간키로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31사단장으로서 강경 진압을 거부한 정웅(鄭雄·사진) 전 국회의원이 23일 오전 10시께 서울 자택에서 평안하게 별세했다고 유족이 전했다. 향년 93세. 순천에서 태어난 정 전 의원은 순천중학교를 졸업하고 순천시청에서 공무원으로 근무했다. 그러던 중 1949년 육군 호국군사관학교에 들어가면서 30년이 넘는 군인의 길을 걷게 됐다. 6·25 전쟁 때 전쟁 중 공로로 화랑무공훈장을 받은 뒤 대대장, 연대장을 거쳐 1980년 1월 소장 진급과 함께 광주 제31향토사단장으로 부임했다. 5·18 초기 강경 유혈 진압 지시를 거부했다가 사단장직에서 해임된 뒤 예편을 당했.. 2021. 12. 27. 2021.12.24, 문재인, 박근혜 사면한 이유들. 2016년 촛불시위가 정치적 농담이 되다. 민주주의 파괴한 정치범에 대한 대통령 사면권한을 폐지해야. 사면반대자의 해량 (海量:상대방에게 용서를 구하다)을 구할 사안이 아니다. 민주주의 파괴한 정치범에 대한 대통령 사면권한을 폐지해야 한다. 1. 문재인이 박근혜 사면 카드를 활용한 이유. - 대선에 이용. 문재인의 박근혜 사면 결정의 형식적 근거는 '국민통합과 포용'이다. 부가적으로 박근혜의 건강 악화도 고려했다 한다. 그러나 정치적으로 이용한 측면이 더 크다. 2022년 3월 대선을 앞두고, 박근혜 사면 카드를 사용함으로써 대구 경북 등 박근혜 지지층의 문재인과 민주당에 대한 반발을 누그러뜨리기 위함이다. 이명박에 대해서는 형집행 정지나 사면을 실시할 것으로 보이고, 빠르면 설 직전, 혹은 새로운 정권이 들어서면 할 것이다. 두 명을 한꺼번에 풀어주면 사면이 너무 정치적이라는 비난을 받을 수 있기 때문.. 2021. 12. 24.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2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