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비교/교육

11세~17세 (초 5학년 ~ 고등 2학년) 한국 청소년 신체활동 조사. 146개 국가중 신체활동이 가장 부족한 나라.세계보건기구 권고치, 매일 최소 60분 중강도 이상 운동을 하지 않는다.

by 원시 2025. 3. 27.

사회와 학교에서 신체활동, 스포츠 활동을 늘려야 한다.

 

1. 

 

11세~17세 (초 5학년 ~ 고등 2학년) 한국 청소년 신체활동 조사. 146개 국가중 신체활동이 가장 부족한 나라.

세계보건기구 권고치, 매일 최소 60분 중강도 이상 운동을 하지 않는다. 

 

2. 

한국 청소년 신체활동과 근력 운동 부족하다. 미국 남학생, 여학생과 비교

미국 남학생 하루 60분 신체활동 실천율 56 % , 한국 남학생은 19.4%

미국 여학생 하루 60분 신체활동 실천율 36%, 한국 여학생은  6% 

 

 

 

 

 

 

 

 

 

 

 

 

 

11세~17세 (초 5학년 ~ 고등 2학년) 한국 청소년 신체활동 조사. 146개 국가중 신체활동이 가장 부족한 나라.

세계보건기구 권고치, 매일 최소 60분 중강도 이상 운동을 하지 않는다. 

 

 

 

 

 

 

 

미국 남학생 하루 60분 신체활동 실천율 56 % , 한국 남학생은 19.4%

미국 여학생 하루 60분 신체활동 실천율 36%, 한국 여학생은  6% 

 

 

 

 

 

 

 

 


광부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5. 3. 27.(목) 12:00 배포 2025. 3. 27.(목) 08:00
많이 걷고, 학교 체육활동 적극 참여하면


정신건강, 비만 등 건강지표에 긍정적 영향- 2025년 「국민건강통계플러스」 첫 요약통계, ‘청소년 신체활동 추이와
관련 요인’ 주제로 발간


- 청소년 신체활동 실천율, 최근 10년간 증가 경향이나 국외에 비해 여전히매우 낮은 수준


- 신체활동 증가를 위한 학교·가정·지역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 필요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청소년건강행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청소년
신체활동 추이와 관련 요인」을 주제로 2025년 「국민건강통계플러스」


첫 요약통계를 발간하였다.


 「국민건강통계플러스」는 국가건강조사 결과를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도록
건강수준 변화를 다각적으로 분석한 보고서로, 2021년부터 매년 발간*되고 있다. * 요약통계, 현안보고서, 심층보고서 등 세 가지 형태로 발간


[신체활동 추이, 2015~2024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는 매년 유산소 신체활동(하루 60분 이상 신체활동, 고강도
신체활동), 근력강화운동, 주중/주말 앉아서 보낸 시간 등을 조사하여
신체활동 현황을 파악한다.


 특히 2022년에는 신체활동 심층조사를 실시하여 ▲걷기 실천 일수, ▲등하교/
등하원 시 신체활동 일수, ▲학교 체육수업시간 직접 운동 참여 횟수, ▲학교 스포츠 활동팀 참여 개수 등을 추가로 조사하였다.

 


 최근 10년 간(2015~2024년) 신체활동 실천율(하루 60분 주 5일 이상 신체활동실천율, 주 3일 이상 근력강화운동 실천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높았다.

 


 - 2 -
 특히, 중학교 남학생의 신체활동 실천율 증가 폭이 큰 반면, 고등학교 여학생은 뚜렷한 변화 없이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 청소년 신체활동 추이 ]


‧ (하루 60분 주 5일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 최근 7일 동안 운동 종류 상관없이 심장박동이 평상시보다
증가하거나, 숨이 찬 정도의 신체활동을 하루에 총합이 60분 이상 한 날이 5일 이상인 사람의 분율


‧ (주 3일 이상 근력강화운동 실천율) 최근 7일 동안 근력강화운동(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 역기 들기, 아령, 철봉, 평행봉 등)을 3일 이상 한 사람의 분율


 국외 청소년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 청소년의 신체활동 실천율은 146개 국가 중 가장 낮았고(WHO, 2016년 기준)
*


, 고등학생의 신체활동 실천율은


미국에 비해 약 30%p(YRBS, 2023년 기준)
** 낮은 수준이었다(붙임 2 참고)
 * 세계보건기구(WHO)의 청소년(11-17세) 신체활동 실천율(매일 60분 이상 중강도 이상의신체활동) 자료(출처: Lancet Child Adolesc Health 2020; 4:23–35)
** Youth Risk Behavior Survey(YRBS), 우리나라 청소년건강행태조사와 유사한조사로 2년 주기 실시

 

 


 - 3 -
[신체활동 참여 정도와 건강행태]

 


 신체활동 심층조사 결과(2022년 기준), 매일 10분 이상 걷기를 실천하는
청소년은 남학생 59.8%, 여학생 55.2%이었고, 주 1회 이상 학교 체육수업
시간에 직접 운동을 한 경우는 남학생 82.3%, 여학생 79.3%이었다. 일상생활에서 신체활동과 학교에서의 체육활동 참여 정도에 따라 참여*와 미참여 군으로 구분 시, 걷거나 체육활동 등에 적극 참여한 학생은 미참여 군에 비해 아침식사 결식, 스트레스 인지 등이 낮아 건강행태가 더 양호하였고,비만율도 참여군 10.3%, 미참여 군 11.8%로 참여군에서 더 낮았다. * (신체활동 참여군) 주 5일 이상 10분 이상 걷기 실천, 주 5일 이상 등하교/


등하원 시 신체활동, 주 3회 이상 학교 체육수업 시간 직접 운동 참여, 1개이상학교 스포츠 활동팀 참여를 모두 충족


[ 청소년 신체활동 참여 정도와 건강행태 ]


*p<0.001

 

 


※ 성별, 학교급으로 보정
※ 현재흡연율, 현재음주율, 우울감 경험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지표
 - 4 -

 

 

 


[신체활동 관련 요인]
 하루 60분 주 5일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 관련 요인은 성별, 걷기 실천,
등하교/등하원 시 신체활동, 학교에서 체육‧스포츠 활동팀 참여, 주중 학습
목적 이외 좌식 활동 시간 등이었다.

 


 특히, 일상생활에서 매일 10분 이상 걷기를 실천한 학생은 주 5일 미만에 비해 신체활동 실천율이 약 3배 높았고, 학교에서 체육수업 시간 직접 운동
참여 횟수(주 3회 이상), 스포츠 활동팀 참여 개수(2개 이상)가 많은 학생은 참여하지 않은 학생에 비해 실천율이 약 2.5배 더 높았다. 구분 aOR1) 95%CI2)

 


성별 남학생 2.963 (2.777 - 3.160)
여학생(기준) 1
학교급 중학교 0.974 (0.895 - 1.060)
고등학교(기준) 1
주관적 학업성적
상 1.042 (0.956 - 1.136)
중상 1.081 (0.998 - 1.172)
중 1.276 (1.163 - 1.401)
중하 1.718 (1.541 - 1.916)
하(기준) 1
걷기 실천 일수
주 7일 3.007 (2.763 - 3.273)
주 5∼6일 1.936 (1.757 - 2.133)
주 5일 미만(기준) 1
등하교/등하원 시 신체활동 일수 주 5일 이상 1.086 (1.027 - 1.148)
주 5일 미만(기준) 1
학교 체육수업 시간 직접 운동
참여 횟수
주 3회 이상 2.541 (2.312 - 2.792)
주 1∼2회 1.273 (1.153 - 1.405)
최근 7일 없다(기준) 1
학교 스포츠 활동팀 참여 개수
2개 이상 2.395 (2.214 - 2.592)
1개 1.507 (1.404 - 1.616)
없다(기준) 1
주중 학습목적 이외 좌식 활동
평균 시간
2시간 미만 1.336 (1.225 - 1.458)
2∼4시간 미만 1.096 (1.029 - 1.167)
4시간 이상(기준) 1
주말 학습목적 이외 좌식 활동
평균 시간
2시간 미만 0.956 (0.863 - 1.060)
2∼4시간 미만 0.978 (0.916 - 1.045)
4시간 이상(기준) 1


1) aOR: 보정 교차비, 2) 95%CI: 95% 신뢰구간
* 음영 표시된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 나는 결과

 


※ aOR 수치 해석 예시: 학교 체육수업 시간에 직접 운동에 참여하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주 3회 이상 직접
운동에 참여한 청소년은 신체활동 실천을 할 가능성이 2.5배 높음

 

 


[ 청소년 신체활동 실천율 관련 요인 ]

 


 - 5 -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최근 10년간 청소년의 신체활동 실천율 증가는
긍정적인 변화이지만 여전히 개선이 필요한 수준”이라며,
“일상생활에서 신체활동과 학교에서의 체육활동의 적극적 참여는 정신건강, 비만 등 건강지표에도 바람직한 영향을 미치므로, 청소년의 신체활동 증가를 위해학교‧ 가정·지역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 하다”고 강조하였다.
 아울러 “학교 체육활동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체육‧스포츠 활동 관련 문항을 3년 주기에서 매년 조사로 변경하고, 2025년에 실시하는 신체활동 심층조사
결과를 상세 분석하여「청소년건강행태조사 결과발표회」를 통해 공유하는 등
청소년 건강정책 근거 생산 강화 및 관련 부처와 적극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고
덧붙였다.

 


 「국민건강통계플러스」 및 국가건강조사 관련 보고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누리집(https://knhanes.kdca.go.kr)에서 내려받아 활용 가능하다. <붙임> 1. 청소년건강행태조사 개요
2. 청소년 신체활동 실천 현황 비교
3. 2025년「국민건강통계플러스」발간 계획
<별첨> 2025년「국민건강통계플러스」제1호 요약 통계
담당 부서 만성질환관리국 책임자 과 장 오경원 (043-719-7460)
건강영양조사분석과 담당자 연구관 김선자 (043-719-7461)

 

 


 - 6 -

 


붙임 1 청소년건강행태조사 개요
□ 사업목적
○ 우리나라 청소년의 건강행태 현황 파악
○ 청소년 건강행태 국내・외 모니터링 지표 산출
 *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학생건강증진기본계획, WHO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 지표로 활용□ 추진경과
○ 「국가 만성병 감시체계 구축 계획」 일환으로 2005년 도입, 매년 실시○ 대표성 확보, 시의적절한 결과 활용을 위해 표본설계 매년 실시(’11년~),
조사 시기 변경*(9월→6월, ’12년~) 및 조사명(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청소년건강행태조사, ’18년~) 변경
 * 코로나19 유행으로 조사시기 임시 변경(6월→8월, ’20〜’23년)
○ 모바일기기(태블릿PC, 스마트폰 등) 활용한 조사 실시(’23년~)
□ 조사내용
○ (조사대상) 중1~고3 학생 약 6만 명(17개 시·도, 800개 학교)
○ (조사방법) 익명성 자기기입식 온라인조사
 * 학교 수업시간 내 조사지원 담당교사 감독 하에 모바일기기(태블릿PC 등) 활용 조사
○ (조사시기) 6-7월
○ (조사내용) 14개 영역, 약 120개 문항 조사, 약 110개 지표 산출

 

 


 * 흡연, 음주, 신체활동, 식생활, 비만 및 체중조절, 정신건강, 손상 및 안전의식, 구강건강,
개인위생, 성행태, 약물, 인터넷중독, 건강형평성, 폭력

 


 ** ’18년 이후 순환조사 체계 운영(필수문항: 매년, 순환문항: 3년 주기, 선택문항: 필요시)
문항구분 주기 2024년 2025년 2026년
필수문항 1년 모든 영역별로 매년 조사하는 문항
순환문항
※관련영역은
동시 조사
3년
흡연, 음주, 손상 및
안전의식, 성행태 등
신체활동, 체중조절, 식생활, 구강건강, 개인위생
정신건강, 약물, 인터넷중독, 건강형평성
선택문항 필요시 필요에 따라 일시적으로 조사하는 문항

 

 


<순환조사체계>

 


 - 7 -
붙임 2 청소년 신체활동 실천 현황 비교
○ (국가 간 비교, WHO) 2030년까지 “신체활동 부족률 15% 감소” 목표 설정 후146개 국가, 298개 학생 기반의 조사자료 분석 결과를 논문*으로 발표(2016년 조사 자료가 최신 결과)
* (출처) Global trends in insufficient physical activity among adolescents: a pooled analysis of 298
population-based surveys with 1·6 million participants. Lancet Child Adolesc Health 2020; 4:23–35. - 국가 간 청소년(11-17세) 신체활동 부족률* 비교 시 우리나라가 146개국 중
가장 높은 수준(2016년 기준)
* 신체활동 부족률: WHO 신체활동 권고 지침(중강도 또는 고강도 신체활동을 매일 적어도 60분
이상 실천)에 미달한 경우에 해당(신체활동 실천율: 100 – 신체활동 부족률로 산출)
 구분 남학생 여학생 전체
전체 평균(146개국) 77.6% 84.7% 81.0%
대한민국 91.4% 97.2% 94.2%
신체활동 부족률, 11–17세 남학생 (2016년 기준)
신체활동 부족률, 11–17세 여학생 (2016년 기준)

 

 


 - 8 -
○ (미국과 비교, YRBS) 미국 고등학생의 하루 60분 주 5일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우리나라보다 32.9%p 높았음(2023년 기준)
구분(고등학생) 청소년건강행태조사
(2023년) 차이 YRBS1)
(2023년)
하루 60분 주 5일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2)
전체 13.4% < 32.9%p 46.3%
남학생 19.8% < 36.2%p 56.0%
여학생 6.6% < 29.4%p 36.0%
주 3일 이상
근력강화운동 실천율3)
전체 23.6% < 27.5%p 51.1%
남학생 37.0% < 26.8%p 63.8%
여학생 9.4% < 27.8%p 37.2%
1) Youth Risk Behavior Survey(YRBS), 우리나라 청소년건강행태조사와 유사한 조사로 2년 주기 실시2) 최근 7일 동안 운동 종류 상관없이 심장박동이 평상시보다 증가하거나, 숨이 찬 정도의
신체활동을 하루에 총합이 60분 이상 한 날이 5일 이상인 사람의 분율
3) 최근 7일 동안 근력강화운동(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 역기 들기, 아령, 철봉, 평행봉 등)을3일 이상 한 사람의 분율
- 미국(2년 주기)과 우리나라(매년) 고등학생의 신체활동 실천율 추이 비교
 - 9 -
붙임 3 2025년「국민건강통계플러스」발간 계획
□ 개요
○「국민건강통계플러스」는 국가건강조사 결과의 정책·학술적 활용도 제고를위해 건강수준 변화를 다각적으로 분석한 결과와 정책적 제언을 담은 보고서- 건강 수준 변화 추이 등 현황 파악을 위한 “요약통계”, 사회적 관심 현안을 심층 분석한 “현안보고서”, 정책 기획 및 평가 근거로 활용 가능한 “심층보고서” 등 세 가지 형태로 2021년 이후 매년 발간□ 2025년 발간 계획(안)
○ 국민건강영양조사 누리집(https://knhanes.kdca.go.kr)을 통해 온라인 게시 * 관련학회 및 기관, 원시자료 이용자 등이 활용하도록 공유
구분 발간(월) 주제
요약통계
3월 ○ 청소년 신체활동 추이와 관련 요인
4월 ○ 성인의 난청 유병 현황(2019-2023)
5월 ○ 음료류 섭취량 및 음료류를 통한 영양소 섭취 현황
7월 ○ 성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현황
현안보고서 6월 ○ 식생활 및 영양섭취 추이
심층보고서 10월 ○ 성인의 만성질환 유병률 추이

 

 

[별첨]+2025년+국민건강통계플러스+제1호+요약통계.pdf
0.50MB
[3.28.금.조간]+많이+걷고,+학교+체육활동+적극+참여하면+정신건강,+비만+등+건강지표에+긍정적+영향.pdf
1.35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