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비교/생태-녹색

전남 벌 숫자 감소. 2022년 10만 벌통 -> 2025년 4만 4천통으로 감소. 꿀벌의 경제적 가치 (과일,채소류 꽃가루 받이) 6조원

by 원시 2025. 3. 26.


한국양봉협회 조사에 따르면, 꿀벌이 꽃가루 받이 (수분) 기여도는, 수박 80%, 메론 80%, 딸기 80%, 사과 68.9%, 16개 과일 채소류 경제 가치는 약 6조원이다.

 

그런데 전남의 경우 지난 3년간 꿀벌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했다. 2022-2023 10만 벌통, 2023-2024 4만 6천 벌통, 

2024 -2025 4만 4천통으로 감소.

 

지금까지 전 세계적으로 꿀벌 개체수 감소 원인들로는 1) 해충 '응애'로 인한 바이러스 2) 기후 변화 (온난화) 3) 농약 과다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 등이 거론되었다. 

 

토종벌이건 양봉 벌이건 자연환경의 파괴를 줄여야만 그 개체수가 유지되거나 늘어날 수 있다.

 

 

 

관련 글. https://futureplan.tistory.com/13973

 

벌 개체수 감소 이유들. 벌집 붕괴 증후군.(Colony Collapse Disorder)

군집 붕괴 현상. 봉군붕괴증후군. 벌집 붕괴 증후군.(Colony Collapse Disorder) KBS 스페셜. 2007년. 집 나가서 돌아오지 않는 벌, 과연 이유는 무엇일까 벌이 집을 나간 후 돌아오지 않는 원인들. 20

futureplan.tistory.com

 

 

 

 

텅텅 빈 벌통들...'꿀벌' 몸값 치솟아 (뉴스투데이 2025.03.24 광주MBC)

광주MBC뉴스

 

109 views  Mar 23, 2025  #꿀벌 #양봉농가 #벌통
(앵커)


벌들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아직 원인 파악도 제대로 되지 않아
양봉농가는 말할 것도 없고 과수 농가는
말그대로 속수무책입니다.

서일영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기자)
전남 함평의 한 양봉농장.

꿀벌통을 열어보니 이미 죽었거나, 
곧 쓰러질 듯 비틀거리는 벌만 가득합니다.

벌이 사라지면서 
300여개의 벌통이 3년 만에 20여 개로 
줄었습니다.

 

 


이제는 벌이 한마리도 남지 않은 
수십개의 벌통들은 혹시 모를 
바이러스에 대비해 소각되거나 이렇게 
소독을 기다리며 쌓여있습니다.

 



장필중 / 10년차 양봉업자
"상심이 크죠. 이걸 계속 해야 될지 말아야 될지 
그래서 저도 마찬가지지만 다른 농가들도 
저랑 똑같이 이렇게 답답한 마음으로.."

 



실제 전남 양봉농가 2천 3백여 곳에서 
벌통 갯수가 급격히 줄고 있습니다.

벌통 1개엔 2만여마리의 꿀벌이 
생활하는 것을 감안하면, 매년 수억 마리의
벌이 사라지고 있는 겁니다.

심각한 건 해충인 '응애'로 인한 바이러스나 
기후변화, 농약으로 인한 환경 오염 등 
다양한 요인이 추정될 뿐 아직 정확한 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재업 / 함평양봉협회지부장
"첫째 벌이 왜 죽었는가. 그 원인을 좀 알았으면 답답하지가 않는데 
원인을 모르니까..최고 벌 농가로서는 지금 답답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꿀벌 보기가 어려워지면서 
꿀 수확철을 앞두고 벌집 가격은 치솟고 있습니다.

정대범 / 양봉업자
"지금 전국적으로 벌 가격이 작년에만 해도 한 30만 원 정도 갔어요. 
그런데 지금은 40만 원씩 해도 벌이 없고..팔고 싶어도 벌이 없습니다. 
벌이 지금 다 없어지고 있는 상태고.."

 


양봉농가 뿐 아니라 수분을 위해 벌을
임대하는 과수농가도 울상입니다.

 



꿀벌의 꽃가루 받이 기여도가 높은
수박과 딸기 등 16개 작물의
생산비 증가로 밥상 물가에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꿀벌이 꽃가루 받이 (수분) 기여도. 수박 80%, 메론 80%, 딸기 80%, 사과 68.9%, 16개 과일 채소류 경제 가치는 약 6조원 



이처럼 반복되는 피해에도 
벌 피해에 대한 정확한 실태조사 역시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MBC뉴스 서일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