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정치/민주당

KBS 여론조사, 조국 임명 '잘했다' 38.9% vs '잘못했다' 51.0%

by 원시 2019. 9. 12.

KBS 여론조사에서 주목해야 할 질의서와 답변들:


(1) 자신을 스스로 진보 성향이라고 평가하는 사람 가운데서도 22.2%도 조국 장관 임명을 부정 평가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 긍정 평가를 한 사람의 10.7% 역시 이번 임명에 대해선 부정적 평가를 했습니다.

(2)조국 장관 임명에 긍정 답변을 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따로 그 이유를 물었습니다.


 '검찰개혁 추진 적임자'(49.9%),

 '검찰 수사와 별개로 장관직 수행 문제 없어'(20.0%), 

'국정운영 동력 유지 위해 필요'(14.8%), 

'의혹 해소 또는 가짜 뉴스'(13.8%)라는 답변순이었습니다.


반면, 조국 장관 임명을 부정 평가한 사람들은

 '가족 문제 포함 의혹 해소 안 돼'(60.6%), 

'검찰개혁 추진 적임자 아냐'(15.8%), 

'검찰 수사에 영향 미칠 듯'(12.7%),

 '국정운영 도움 안 돼'(8.8%)를 그 이유로 꼽았습니다.


'조국 의혹'이 문재인 정권의 '공정과 정의'라는 정체성을 훼손했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공감한다'는 56.0%(매우 공감 29.8%, 공감하는 편 26.2%), '공감하지 않는다'는 답변은 40.1%(공감하지 않는 편 20.1%, 전혀 공감 안 해 20.0%)였습니다.


(3)

조국 장관 의혹에 대한 검찰 수사에 대해선 '검찰의 정당한 법 집행'이라는 응답이 49.8%로 가장 높았고, '검찰 개혁에 대한 저항'이라는 답변은 41.2%였습니다.


(4) 문재인 정부 평가

주목할 것은 28.7%에 달하는 '모름/무응답' 의 비율입니다. 응답자 4명 가운데 1명 이상이 문재인 정부가 잘한 분야를 묻는 질문에 모르겠다고 답하거나 '이거다'라고 답하지를 못한 것


(5) 조국 논란이 정당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조국 장관 관련 의혹과 검찰 수사에 따라서 지지정당이 변화했는지를 물었습니다. 응답자 가운데 8.4%가 지지정당이 바뀌었다고 답했습니다. 그 두 배에 달하는 16.9%는 지지정당을 바꿀지 고민 중이라고 답했습니다.


(6) 민심이 바라는 개혁이란?


문재인 정부가 시급하게 추진해야 할 개혁 과제에 대한 질문에는 응답자의 절반 가까이가 경제개혁(44%)이라고 답했습니다. 정치개혁(14.8%), 언론개혁(13.5%), 사법개혁(13.1%), 교육개혁(8.7%) 순서였습니다.


우리 경제가 직면한 가장 큰 문제로는 일자리 문제와 고용악화(29.1%)가 꼽혔습니다. 양극화(19%) 저출산 고령화(18.9%), 미·중간 무역전쟁 등 국제통상 갈등 (12.8%) 일본의 수출규제(8.9%)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281980




입력 2019.09.12 (15:30)수정 2019.09.12 (15:37)취재K


1816가


[KBS여론조사]① 조국 임명 ‘부정 평가’ 51%…30·40대, 호남에서만 ‘긍정’


8월 9일 개각 명단 발표 순간부터 대한민국을 떠들썩하게 했던 조국 장관. 우여곡절 끝에 열린 국회 청문회에 이어 지난 9일 문재인 대통령은 조국 후보자를 법무장관에 임명했습니다. 민심은 어떨까요? KBS가 추석을 맞아 특집 여론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조국 법무장관 임명'에 대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잘못했다'고 평가했습니다.


◆ 조국 임명 '잘했다' 38.9% vs '잘못했다' 51.0%




먼저 문 대통령이 지난 9일 조국 법무장관을 임명한 데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었습니다. 긍정 답변은 38.9%('매우 잘했다' 20.8%, '잘한 편이다' 18.1%)였습니다. 반면 부정 답변은 51.0%('잘못한 편이다' 13.6%, '매우 잘못했다' 37.4%)였습니다. 모름·무응답 비율은 10.1%였습니다.


◆ 30·40대, 호남에서만 '긍정평가'


조국 장관 임명에 대한 연령별, 지역별 평가는 크게 엇갈렸습니다.




연령별로는 30대와 40대가 조국 장관 임명을 긍정 평가했습니다. 30대의 50.6%가 긍정 평가했습니다. 40대가 가장 후한 평가를 했는데, 긍정 평가가 57.4%였습니다.



반면, 조국 장관의 딸 입시 의혹 등으로 분노를 표출했던 20대의 경우, 부정 평가가 더 높았습니다. 20대의 42.7%가 부정 평가했습니다. 50대는 57.7%가 부정 평가했습니다. 60대 이상의 경우 부정 평가 비율이 70.1%에 달했습니다. 긍정 평가(24.7%)의 세 배 가까운 수치입니다.







지역별로는 유일하게 광주/전라 지역에서 긍정 평가가 높았습니다. 호남의 경우 긍정 평가 58.1%, 부정 평가 23.9%였습니다.


다른 지역은 모두 부정 평가가 많았습니다. 특히 대구·경북(TK)의 경우 부정 평가가 64.9%로 긍정 평가(23.1%)의 거의 세 배에 달했습니다. 이 밖에도 부정 평가 비율은 부산·울산·경남(PK) 56.3%, 인천·경기 53.9%, 서울 50.5% 등이었습니다. 이들 모두 오차 범위를 넘어서는 수치입니다.




◆ 민주당 지지자 14.2%·진보층 22.2%도 '부정 평가'


눈에 띄는 대목도 있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자의 75.0%는 조국 장관 임명에 대해 긍정 평가했지만, 14.2%는 부정 평가했습니다.


 정의당 지지자 가운데 28.5%도 부정 평가했습니다. 


자유한국당 지지자는 압도적인 비율로 '잘못했다'고 답했습니다. 95.4%가 부정 평가했습니다.


자신을 스스로 진보 성향이라고 평가하는 사람 가운데서도 22.2%도 조국 장관 임명을 부정 평가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 긍정 평가를 한 사람의 10.7% 역시 이번 임명에 대해선 부정적 평가를 했습니다.



◆ 왜 긍정? '검찰개혁 적임자'…부정 이유는 '의혹 해소 안 돼"


조국 장관 임명을 긍정 또는 부정 평가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조국 장관 임명에 긍정 답변을 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따로 그 이유를 물었습니다.


 '검찰개혁 추진 적임자'(49.9%),

 '검찰 수사와 별개로 장관직 수행 문제 없어'(20.0%), 

'국정운영 동력 유지 위해 필요'(14.8%), 

'의혹 해소 또는 가짜 뉴스'(13.8%)라는 답변순이었습니다.


반면, 조국 장관 임명을 부정 평가한 사람들은

 '가족 문제 포함 의혹 해소 안 돼'(60.6%), 

'검찰개혁 추진 적임자 아냐'(15.8%), 

'검찰 수사에 영향 미칠 듯'(12.7%),

 '국정운영 도움 안 돼'(8.8%)를 그 이유로 꼽았습니다.




'조국 의혹'이 문재인 정권의 '공정과 정의'라는 정체성을 훼손했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공감한다'는 56.0%(매우 공감 29.8%, 공감하는 편 26.2%), '공감하지 않는다'는 답변은 40.1%(공감하지 않는 편 20.1%, 전혀 공감 안 해 20.0%)였습니다.




◆ '검찰개혁' 공감 57.7%…검찰 수사 정당 49.8%



검찰 수사에 대한 평가와 조국 법무장관의 장관직 수행 전망도 조사했습니다. 먼저 조국 장관이 지난 9일 취임사에서 검찰 권력은 강한 힘을 갖고 있으면서도 제도적 통제 장치를 갖고 있지 않다며 검찰 개혁의 필요성을 언급한 데 대해 공감하는지 물었습니다.


'공감한다'는 비율은 57.7%('매우 공감' 29.5%, '공감하는 편' 28.2%)를 기록했습니다.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37.0%('공감하지 않는 편' 15.2%, '전혀 공감 안 해' 21.8%)였습니다.


조국 장관 의혹에 대한 검찰 수사에 대해선 '검찰의 정당한 법 집행'이라는 응답이 49.8%로 가장 높았고, '검찰 개혁에 대한 저항'이라는 답변은 41.2%였습니다.



◆ "조국, 수사에 영향 미칠 것"…66.9%


또 조국 법무장관이 장관으로서 검찰 수사에 미칠지에 대해선 '영향 미칠 것' 66.9%, '영향 미치지 않을 것' 28.2%였습니다.


조국 장관에 대한 국정조사, 특검 도입 주장에 대해서도 의견을 물었습니다. '매우 동의' 32.7%, '동의하는 편' 22.1%로 긍정 답변이 54.8%였습니다. 반면 '동의 안 해' 21.0%, '전혀 동의 안 해' 20.0%로 부정 답변은 41.0%를 차지했습니다.


☞ [KBS여론조사]② 국정운영 평가 ‘못했다’로 역전



조사기관 : (주) 한국리서치

대 상 :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유선 202명, 무선 798명)

기 간 : 2019년 9월 10일 ~ 11일(2일간)

조사방법 : 면접원에 의한 전화면접조사

응 답 률 : 19.2%(총 5,220명과 통화, 그중 1,000명 응답 완료)

표본오차 : 95% 신뢰 수준, 최대허용 표집 오차 ±3.1%포인트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281981




KBS여론조사]② 국정운영 평가 ‘못했다’로 역전

입력 2019.09.12 (15:36)수정 2019.09.12 (17:06)취재K

163가

[KBS여론조사]② 국정운영 평가 ‘못했다’로 역전



◆ 국정운영 평가…부정 53.3%


이번 KBS 여론조사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이 국정운영을 잘하고 있는지도 물었습니다. 취임 1주년 때부터 지난해 추석, 올해 신년, 취임 2주년, 그리고 지난 8월 광복절까지 반복해온 똑같은 질문입니다. 국정운영 평가에 대한 민심 추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정운영에 대해 부정평가가 53.3%, 긍정평가가 44.8%로 나왔습니다. KBS 여론조사에서 문재인 대통령 국정운영에 대한 부정 평가가 긍정을 앞지른 건 처음입니다. 이번 여론조사는 지난 광복절 조사 이후 4주 만에 이뤄진 것입니다. 4주 동안 정국을 뒤흔든 이슈는 조국 장관 임명이었습니다.





◆ 가장 잘한 분야.. 모름/무응답 28.7%


문재인 대통령이 공약으로 내세워 추진 중인 정책 중에 가장 잘한 분야를 물었습니다. 앞선 조사에서처럼 '남북관계 및 외교 정책' 이 여전히 가장 잘한 분야로 꼽혔습니다. 그런데 취임 1주년 조사(2018년 5월) 때 남북관계와 외교정책을 선택했던 응답자가 64.5%였습니다. 이번 조사에선 25.8%로 뚝 떨어졌습니다. 그런데도 남북·외교 관계가 가장 잘한 정책으로 선택됐습니다.


그다음은 '저출산 고령화 등 복지정책' (13.4%), '적폐청산 및 정치개혁' (12%)이 잘한 분야라는 답이 나왔습니다. 집값 안정 등 부동산정책 (5.4%) 사교육비 절감 등 교육정책(4.3%)이 그다음이지만 비율은 한 자릿수입니다.


주목할 것은 28.7%에 달하는 '모름/무응답' 의 비율입니다. 응답자 4명 가운데 1명 이상이 문재인 정부가 잘한 분야를 묻는 질문에 모르겠다고 답하거나 '이거다'라고 답하지를 못한 것입니다.





◆ 지지 정당… 민주당 33.7%, 자유한국당 22.7%



정당별 지지도도 확인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이 33.7%, 자유한국당이 22.7%로 나타났습니다. 4주 전 광복절 때 조사와 비교해 보면 민주당은 4.8% 포인트 떨어졌고 한국당은 3.1% 포인트 올랐습니다.




정당 지지도에 조국 이슈가 영향을 미쳤는지도 확인해봤습니다. 조국 장관 관련 의혹과 검찰 수사에 따라서 지지정당이 변화했는지를 물었습니다. 응답자 가운데 8.4%가 지지정당이 바뀌었다고 답했습니다. 그 두 배에 달하는 16.9%는 지지정당을 바꿀지 고민 중이라고 답했습니다.




◆ 차기 주자 이낙연 18.6% 황교안 14.6%..9위 조국


차기 대통령으로 누가 적합하지를 물었습니다. 언론에서 거론되는 15명의 이름을 불러주고 답을 얻는 방식입니다. 이번에는 처음으로 조국 장관을 후보군에 포함해서 물었습니다.




18.6%가 이낙연 총리, 14.6%가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라고 답했습니다. 둘의 격차는 줄었습니다. 8월 조사에서 10.3% 포인트 차이였지만, 이번에는 4% 포인트로, 오차 범위 안에 들어왔습니다.


새로 후보에 올린 조국 장관은 9위에 올랐습니다. 줄곧 대선 후보군에 이름을 올려 왔던 박원순 서울시장(2.5%)이나 심상정 정의당 대표(2.5%) 보다도 높은 순위입니다.




◆ "경제 개혁 시급"


문재인 정부가 시급하게 추진해야 할 개혁 과제에 대한 질문에는 응답자의 절반 가까이가 경제개혁(44%)이라고 답했습니다. 정치개혁(14.8%), 언론개혁(13.5%), 사법개혁(13.1%), 교육개혁(8.7%) 순서였습니다.


우리 경제가 직면한 가장 큰 문제로는 일자리 문제와 고용악화(29.1%)가 꼽혔습니다. 양극화(19%) 저출산 고령화(18.9%), 미·중간 무역전쟁 등 국제통상 갈등 (12.8%) 일본의 수출규제(8.9%)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