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보정당_리더십/2024년 총선

22대 .410 총선, 윤석열 패배 점쳐짐.. 윤석열 정권 심판론 46.5%, 거대야당 심판 28.9%, 잘모름 24.6%. 비례대표 투표. 무당층 13.9%, 국힘위성 29.8, 민주위성 20.6, 조국혁신당 24, 녹색정의당 2.8, 새미래..

by 원시 2024. 4. 1.

 


1.총선 지역구 지지율, 민주 45.5% 국힘 34.7%

2. 윤석열 정권 심판론 46.5%, 거대야당 심판 28.9%, 잘모름 24.6% 

3. 비례대표 투표 .  국힘위성 29.8, 민주위성 20.6, 조국혁신당 24, 녹색정의당 2.8, 새미래 0.9, 개혁신당 3, 자유통일 3, 무당층 13.9% 

 

 

410 총선에서 윤석열의 패배가 점쳐지고 있다. 그 이유는 지난 2년간 모든 여론조사에서 지적된 다음과 같은 문제들 때문이다. 

 


동아일보


업데이트 2024-04-01

안규영 기자 사진

[총선 D―9 여론조사]


비례, 與 29.8% 조국당 24% 민주연합 20.6%

‘오늘이 투표일이면 지역구 국회의원 선거에서 어느 정당 후보에게 투표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더불어민주당 후보에게 투표하겠다는 응답이 45.5%, 여당인 국민의힘 후보를 찍겠다는 응답은 34.7%로 나타났다. 

 

양당의 격차는 10.8%포인트로 오차범위(±3.1%) 밖이었다. ‘정부 견제를 위해 제1야당인 민주당 후보가 다수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은 42.5%였고 ‘국정 안정을 위해 여당인 국민의힘 후보가 다수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은 33.4%로 9.1%포인트 차였다.

동아일보가 창간 104주년을 맞아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8, 29일 전국 성인 남녀 10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31일 이같이 나타났다. 

 

지역구 후보 투표 여론조사에서 4·10총선 최대 승부처인 서울 지역(48석)에선 민주당이 49.5%, 국민의힘이 32.6%로 16.9%포인트 격차로 나타났다. 

 

최대 의석수(74석)가 걸린 경기·인천에선 민주당(45.7%)과 국민의힘(33.1%)의 격차가 12.6%로 조사됐다. 

 

총선 때마다 캐스팅보트로 꼽혀 온 대전·세종·충청 지역(28석) 조사에선 민주당이 45.9%, 국민의힘이 35.8%로 10.1%포인트 격차였다. 

 

격전지 낙동강벨트가 있는 부산·울산·경남 지역(40석)에선 국민의힘이 46%로 민주당(34.9%)과 11.1%포인트 차이였다.


비례대표 정당 투표 의향은 국민의미래 29.8%, 조국혁신당 24.0%, 더불어민주연합 20.6%순이었다.

 

조국혁신당과 더불어민주연합을 합치면 44.6%로 국민의미래보다 14.8%포인트 높았다.



‘정권 심판론과 거대 야당 심판론 중 어느 의견에 동의하느냐’는 질문에는 ‘현 정권을 심판해야 한다’는 응답이 46.5%, ‘거대 야당을 심판해야 한다’는 응답은 28.9%로 17.6%포인트 차였다.



의대 증원 이슈와 관련해선 응답자의 57.2%가 ‘증원하되 규모, 시기를 조정한 중재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답했다.

 

 ‘정부안대로 2000명을 증원해야 한다’는 응답은 28.5%, ‘의대 정원을 확대하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은 8.3%였다.

 

 정부의 고물가 대응 조사에선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이 69.8%, ‘잘하고 있다’는 응답이 21.1%로 나타났다. 

 

여론조사는 무선전화 면접 100% 방식으로 무선 RDD(전화번호 임의 걸기)를 표본으로 실시했으며 95% 신뢰 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 응답률은 9.3%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민주, 수도권-충청 지역구 오차밖 앞서… 국힘, PK-TK 우세


[총선 D―9 여론조사]


“정권심판” 46.5% “巨野심판” 28.9%
정당 지지는 민주-국힘 오차범위내
투표 유보-무당층 14% 막판 변수


9일 앞으로 다가온 4·10총선에서 여야가 총선 승리를 위한 핵심 승부처로 삼은 지역인 수도권과 충청에서 ‘오늘이 투표일이면 지역구 국회의원 선거에서 어느 정당 후보에게 투표할 것인가’ 질문에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뽑겠다’는 응답이 ‘국민의힘 후보를 뽑겠다’는 응답보다 높게 나타났다.



양당의 정당 지지도 조사에선 민주당 39.5%, 국민의힘 34.4%로 오차범위(±3.1%) 이내인 5.1%포인트 격차로 나타났다. 

 

국민의힘은 지역구 후보 지지율과 정당 지지율이 거의 같았던 반면 민주당은 지역구 후보 지지율이 정당 지지율보다 6.0%포인트 높게 나타난 것. 조국혁신당 지지율은 6.9%였다. 

 

전국에서 민주당과 국민의힘 이외의 다른 지역구 정당 후보를 뽑겠다는 응답이 5.8%, 투표 유보·무당층은 14%로 조사돼 선거 막판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 서울서 민주 49.5% 국힘 32.6%

동아일보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8, 29일 전국 성인남녀 10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지역구 후보 투표 관련 조사에서 민주당 후보 지지는 45.5%로 국민의힘 후보 지지 34.7%와 오차범위 밖인 10.8%포인트 차였다.


여야가 서울 핵심 승부처로 삼는 한강벨트 등 48석이 걸린 서울에서 민주당 후보를 뽑겠다는 응답이 49.5%, 국민의힘 후보에게 투표하겠다는 응답은 32.6%로 16.9%포인트 차였다. 

 

이종섭 전 호주대사 논란 등 ‘대통령실발 리스크’ 여파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이 전 대사는 조사 기간인 29일 오전 사퇴했다. 여권에서 “만시지탄” 반응이 나왔다. 

 

이번 조사에서 서울 응답자의 62.8%가 이 전 대사가 사퇴해야 한다고 답했다. 

 

호남 지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고 전체(57.5%)보다 높은 비율이었다.

전체 지역구(254석)의 29.1%인 74석이 몰려 있는 인천·경기에서도 민주당이 45.7%, 국민의힘이 33.1%로 12.6%포인트 격차로 나타났다. 여당 관계자는 “서울과 인천, 경기가 하나의 생활권이 되면서 지지율이 연동돼 움직인다”고 봤다.

부산·울산·경남(40석)에선 국민의힘 후보(46%)가 민주당 후보(34.9%)보다 더 많은 지지를 받았다. 다만 여야는 10석이 걸린 낙동강벨트에선 접전 판세로 보고 있다.

대표적인 스윙보터 지역인 대전·세종·충청(28석)에선 민주당 후보가 45.9%, 국민의힘 후보가 35.8%로 집계됐다.

여당의 대표적인 텃밭인 대구·경북에선 국민의힘 후보가 45.4%로 민주당(30%)과 15.4%포인트 차였다. 민주당 텃밭인 광주·전라에서는 민주당 후보(72.6%)와 국민의힘(11.4%)의 격차가 61.2%포인트였다.

● 정권 심판론 46.5% vs 거야 심판론 28.9%


‘정부 견제를 위해 제1야당인 민주당 후보가 다수 당선돼야 한다’(42.5%)는 응답과 ‘국정 안정을 위해 여당인 국민의힘 후보가 다수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33.4%)은 9.1%포인트 격차였다.

‘정권 심판론과 거대 야당 심판론 중 어느 의견에 동의하느냐’는 질문에 ‘현 정권을 심판해야 한다’는 응답은 46.5%, ‘거대 야당을 심판해야 한다’는 응답은 28.9%로 17.6%포인트 차였다. 

 

여야 핵심 승부처로 꼽히는 서울(47.4%)과 인천·경기(51.2%), 대전·충청·세종(43.3%) 등에서 정권 심판론이 오차범위 밖에서 높았다. 여당 텃밭에서 정권 심판론과 거야 심판론 격차가 오차범위 이내인 점도 눈에 띈다. 

 

부산·울산·경남에선 정권 심판론 39.8%, 거야 심판론 37.9%였고

대구·경북에선 정권 심판론(32.5%)과 거야 심판론(35.3%) 격차가 2.8%포인트였다.

선거 막판 투표 유보·무당층의 선택이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지역구 후보 투표 조사에서 중도층의 유보·무당층이 17.2%, 20대에선 25%에 달했다. 

 

직업별로는 학생(28.4%)이 가장 많았다. 중도층 응답 가운데 민주당 후보 지지는 42%였고 국민의힘 지지는 32.4%였다.


김준일 기자 jikim@donga.com
안규영 기자 kyu0@donga.com

 

 

윤석열 정권 심판론 46.5%, 거대야당 심판 28.9%, 잘모름 24.6% 

 

비례대표 투표 .  국힘위성 29.8, 민주위성 20.6, 조국혁신당 24, 녹색정의당 2.8, 새미래 0.9, 개혁신당 3, 자유통일 3, 무당층 13.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