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칼 마르크스 '자본' 일본어 번역자. 오카자키 지로 (岡崎 次郎 강기차랑)

by 원시 2023. 10. 24.

일본인 오카자키 지로. Karl Marx, Das Kapital (자본) 번역자. 1904-1984 추정.

 

도쿄대학 철학과 졸업, 다시 경제학과 졸업. 인민전선 사건으로 투옥. 

친구의 평가. 니시다 노부하루 (1902-33)는 오카자키 지로를 '무사태평한 허무주의자'라고 말한 적이 있음.

'공부하다가 가끔 논 것'이 아니라, '놀다가 가끔 독서하는 삶'을 살았다고 고백.

항상 죽음이라는 단어에 사로잡혀 있던 허무주의자이다.

 

그러나 친구 니시다가 공산당 사건으로, 고문 끝에 죽음.

1937년 노동파 지식인 탄압으로  알려진 인민전선 사건, 오카자키 지로 역시 체포, 1년 감옥.

그러나 오카자키 지로는 '살롱 마르크스주의가 군관의 먹잇감에 된 것에 불과하다고 평가'

 

만주 동아경제조사국 근무, 베이징에서 45년 일본 패전 맞이.

 

50-68년까지 규수대학과 호세이대학 교수, 68년 퇴직하고, 저술에 전념.

교수 퇴직 이유는 학생운동의 폭력성에 혐오감과 자책감 느낌.

 

1984년 79살 오카자키 지로는 7살 연상 부인과 함께 도쿄 자택을 나가, 9월 30일 오사카 호텔을 마지막으로 종적을 감췄다.

 

오카자키는 스스로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는 말을 실천했다.

 

1972년 발생한 연합적군 사건으로 일본 학생운동은 퇴조. 대학가는 포스트구조주의와 포스트모너니즘이 유행.

마르크스 책들 판매 격감. 궁핍해짐.

 

오카자키 지로의 부인 이름은 '구니'

 

 

 

------- 

 

오카자키 지로(일본어: 岡崎 次郎おかざき じろう: 1904년 6월 29일 - ?? )는 일본의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다.

홋카이도 에사시 출신. 제1고등학교를 거쳐 1927년 동경제국대학 문학부, 1929년 동 경제학부를 졸업. 전후 1950년부터 큐슈대학 교양부 교수, 호세이대학 경제학부 교수를 역임했다. 1968년 호세이대 교수직을 사임하고 저술에 전념했다.

전후 일본 마르크스 경제학계의 대부였던 사키사카 이츠로가 번역했다고 알려진 이와나미판 『자본론』을 하도급받아 번역한 실제 번역자다. 명의만 사키사카였을 뿐, 거의 관여하지 않아서 실질적으로 오카자기의 번역이다.

1983년 『마르크스에 기댄 60년: 자조생애기』라는 자서전을 출판해서 사키사카를 비판했다. 친구 지인들에게 책을 돌리는 책모임을 겸해 이별모임을 가진 오카자키는 서쪽으로 가겠다는 말만 남기고 이듬해 1984년 6월 6일, 모든 가재도구를 정리하고 아내와 함께 가출했다. 

 

부부의 발걸음은 시나가와의 호텔에 투숙한 것을 시작으로 이즈반도의 오오히토온천・하마마츠・경도・오카야마・하기・히로시마까지 신용카드 사용기록을 남겼다. 그리고 그해 9월 30일 오사카의 한 호텔에 투숙한 것을 끝으로 생활반응이 끊겨, 현재까지도 생사 불명이다.

 

----------------

 

권혁태의 또 하나의 일본 2 1035,스스로를 지운자본론번역자, 그는 지금 어디에

 

일본에서 유통되는 가장 유력한 두 종류 <자본론>의 번역자 오카자키 지로,

 

 

----------

말년에 부인과자살여행’… 법률적으로 죽었지만, 사상적으로는 아직도여행

 

등록 2014-11-07 17:11

 

한국에서 <자본론>( 3)이 처음 완역 출간되기 시작한 것은 1987년이다(이론과실천사 발행·강신준 옮김). 이 해에 제1권이 번역돼 나왔고, 몇 해 뒤 완간됐다. <자본론> 1권이 처음 출판된 것이 1867년이니 지구 반대편을 돌아반공의 땅 한국에서 출판되기까지 무려 120년이 걸린 셈이다.

 

물론 전석담·최영철 옮김으로 1947년 서울출판사에서 나온 적이 있으나, 이는 제1권을 4권으로 분할 번역한 책이다. 120년이 단순히 시간의 경과만을 의미하지 않음은 말할 것도 없다. 많은 사람들이 이고전하나 때문에 신체구속을 당하기도 쫓기기도 피를 흘리기도 했다. 실제로 1987년에 <자본론>을 간행한 출판사 대표는 구속까지 당했다.

 

 

캐피털수도론이라고 옮기니

 

1970년대에 외국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사람이캐피털수도론이라는 제목으로 옮긴 반입서적 목록을 제출해 <자본론> 반입에 성공했다는 웃지 못할 이야기도 있다. 유학 간 학생들이 가장 먼저 구입한 책이 <자본론>이었다는 소문도 있었다. 사회주의를 반공서적의 행간에서 찾아내 이해했듯이, <자본론>도 다른 서적의 구석에서 찾아낸 인용문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접했으니, 이런 지식들이 <자본론>에 대한대체재이기는커녕보완재도 될 수 없었음은 말할 것도 없다. <자본론>을 처음 언제 접했는지 기억에 없으나 영어판 아니면 일본어판이었던 것만은 분명하다. 물론 읽었다 해도 이해했을 리 만무하니 아마구경했다는 편이 정확할 것이다.

 

 

 

 

한국에서 나온 완역된 〈자본론〉의 일부(왼쪽). 맨 오른쪽이 강신준 교수가 1987년에 처음 번역 출간한 〈자본〉이다. 일본 오카자키 지로가 번역한 〈자본론〉(오른쪽). 이 번역본과 함께 일본에서 많이 읽히는 또 다른 번역본인 사키사카 이쓰로의 이와나미판에 대해 오카자키 지로는 자서전에서 자신이 실질적으로 번역했다고 말했다. 한겨레 윤운식 기자, 인터넷서점 화면 갈무리

 

 

 

 

손에 넣을 수 없고 손에 넣어도 이해하기 어려우면환상은 커지는 법이니, <자본론>은 그 내용과 관계없이 당시에 하나의신화가 되었다. 1988년 대학원 2학년생으로 또 다른 <자본론> 번역 교정 작업에 참여했던 류동민이 간행한 <기억의 몽타주>(한겨레출판·2013)에 발문을 기고한 김인환이비루하고 누추한 이 현실의 누더기 속에서 한 세대의 젊은 사람들이 <자본론>을 금기로부터 해방시켰고 <자본론>을 읽을 수 있게 함으로써 그것을 비신화화했다고 쓰고 있는 것처럼, <자본론>의 한국어판 출간으로 한국 사회는 <자본론>물신화경향에서 비로소해방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셈이다.

 

그런데 류동민은 교정 작업을 하면서전자오락 갤러그에서 전진하고 회전하고 후진하며 공격해오는 파리 모양의 외계인마냥 오역들이 꾸역꾸역 나타났, “오역의 틈바구니에서는 마치 무기를 바꾸듯 번역 원고와 대조할 원서를 독일어판 <자본론>에서 일어판 <자본론>으로 바꿔갔다고 말하고 있다.

 

여기서 류동민이 교정에 참고한 일어판 <자본론>은 아마 이와나미(岩波)판이거나 아니면 오쓰기(大月)판이었을 것이다.

 

일본에서 <마르크스 엥겔스 전집> 1928년부터 간행을 시작해 1935년 총 32권으로 개조사에서 완간되었지만, <자본론> 번역은 이보다 다소 빨라 1924년에 완역 출판되었다. 물론 이전에도 <자본론> 번역 시도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초역 단계에서 끝나거나 1권만 번역되는 데 머물렀다.

 

아마 러시아혁명, 정치적으로 다소열린 공간을 만들어주었던 이른바다이쇼 데모크라시’, 그리고 시대를 휩쓸었던 교양주의의 덕을 톡톡히 본 듯하다. 번역자는 다카바타케 모토유키(高畠素之·1886~1928)라는 사람으로 이 책 출간 이후에는 점차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국가사회주의자에 가까워진다. 1927 1025일치 <동아일보>에는 다카바타케 <자본론> 번역판의 일본어 광고가, 1930 1011일에는 한글 광고가 각각 실린 것으로 보아 우편으로 일본에 책을 주문하는 독자가 한반도에도 적지 않았던 듯하다.

 

제자의 업적을 가로챈 이와나미판 번역자

 

 

<동아일보> 경제부장을 지냈고 조선공산당 중앙위원을 역임한 이봉수(李鳳洙·1892~?)옥중수기’(<동아일보>, 1930 1014)를 보니, <자본론>을 감옥으로 차입하는 것도 가능했다고 쓰고 있다.

 

또 가와카미 하지메(河上肇)가 쓴 <자서전>을 보면, 자신이 일부를 번역해 출판한 <자본론>을 수감 중인 일본 공산당 고위 간부에게 발송했다는 기술이 등장한다. 이렇게 보면 적어도 당시 일본에선 <자본론>의 시중 판매는 물론, 옥중 차입도 가능했던 듯하다. 1904년에 번역 소개되었다가 직후에 금서가 된 <공산당 선언>을 제외하면 마르크스 관련 책이 일본에서 공식적으로 출판 금지된 적은 없었다.

 

 

다카바타케 번역본 이후 일본에선 다양한 번역본이 등장했다. 지금 일본 서점에서 구입 가능한 <자본론>은 신일본출판사(일본 공산당 계열), 아오키서점판, 일본경제신문사판 등이 있지만, 역시 사회적 영향력과 역사적 무게감에서 보면 이와나미판과 오쓰키판을 넘어서지 못한다.

 

이와나미판의 번역자는 사키사카 이쓰로(向坂逸郞·1896~1985)이고, 오쓰키판의 번역자는 오카자키 지로(岡崎次郞·1904~84?)로 되어 있다. 사키사카는 도쿄대학 경제학부 출신으로 독일 유학 뒤 규슈대학 경제학부 교수를 지냈다. 인민전선 사건(1937)으로 투옥되기도 한, 이른바노농파의 유명 논객으로 알려져 있다.

 

전후에는 사회당 좌파, 특히사회주의협회파를 이끌었고 소련의 체코 침공(1968)이나 아프가니스탄 침공(1980)에도 일관되게 소련 입장을 지지한 대표적인친소사회주의자였다. 그런데 후일 오카자키가 쓴 자서전 <마르크스에 기대어 산 60>(1983)에 따르면, 사키사카 번역으로 나와 있는 이와나미판 <자본론>도 실질적으로는 오카자키가 번역한 것이다. 사키사카가 오카자키의 스승에 가까운 인물이었으니 제자의 업적을 스승이 가로챈 셈이다.

 

이렇게 보면, 일본에서 유통되는 가장 유력한 두 종류의 <자본론>은 모두 오카자키 지로가 번역한 것이다. 이 밖에도 <마르크스 엥겔스 전집>을 비롯해 마르크스 저작의 대부분을 번역했으니, 그는 마르크스 이론의 일본 번역사에서 가장 핵심적인 사람이라 할 수 있다.

 

오카자키는 1902년 홋카이도에서 태어났다. 그는 도쿄대학 철학과를 졸업하고 다시 경제학과를 졸업한 뒤, 인민전선 사건으로 투옥되는 등 강건한 실천적 마르크스주의자로서의 삶을 산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정반대였던 듯하다.

 

친구인 니시다 노부하루(西田信春·1902~33)가 그를 가리켜무사태평한 허무주의자라 평하고, 또한 오카자키 스스로도공부하다가 가끔 논 것이 아니라놀다가 가끔 독서하는 삶을 살았다고 고백한 것처럼, 항상죽음이라는 단어에 사로잡혀있던 허무주의자였다. 하지만 시대의 격랑은 그를 가만두지 않았다.

 

특히 친구 니시다가 공산당 사건으로 체포된 뒤, 지독한 고문 끝에 1933년에 사망한 사건은 그를 충격으로 몰아넣었다. 당시특이 체질로 인한 병사로 발표된 니시다의 죽음이 사실은 고문 때문이었다는 점이 밝혀진 것은 1957년 무렵이었다.

 

“서쪽으로 간다는 말을 남기고

 

오카자키는 이른바노농파지식인 탄압으로 알려진 인민전선 사건으로 1937년에 체포돼 약 1년 동안 감옥 생활을 경험하지만, 인민전선 사건에 대한 세간의 높은 평가와 달리, 그는 후일살롱 마르크시스트가 군관의 먹잇감에 된 것에 불과하다며 냉담한 평가를 내리고 있다.

 

그 뒤 그는 만주의 동아경제조사국에서 일하다가 베이징에서 패전을 맞이한다. 그리고 1950년부터 1968년까지 규슈대학과 호세이대학 교수를 지내다가 1968년에 퇴직하고 전업적 저술가의 길을 걷는다. 대학 퇴직은 당시 대학을 휩쓸고 있던 학생운동의 폭력성에 혐오감과 자책감을 느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인명사전이나 위키피디아에서 오카자키 지로를 찾아보면, 생년은 정확히 나와 있는데 몰년은 ‘?’로 되어 있거나 ‘1984?’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왜일까?

 

 

1984 66, 79살의 노인 오카자키 지로는 7살 연상인 부인을 대동하고 도쿄의 자택을 나섰다. 직전에 지인들에게는서쪽으로 간다는 말을 남긴 대로, 그는 서쪽 지방을 전전하다가 같은 해 930일 오사카 호텔을 마지막으로 종적을 감추었다. 1994 617일치 <주간 아사히>늙은 마르크시스트 오카자키 부처의 죽음 여행의 끝이라는 자극적인 제목으로 보도한 것처럼, 그의 자발적인실종자살여행이었다.

 

왜냐하면 그는 평소 지인들에게 줄곧자신의 인생은 스스로 끝내겠다고 공언했기 때문이다. ‘실종’ 1년 전에 출간한 자서전에서 그는마르크스와 이별한 나는 이제 할 일이 없다. 하고 싶은 것도 없다. 아니 할 수 있는 것이 없다고 하는 게 정확할지 모르겠다. 지금 나에게 문제는 어떻게 살 것인가가 아니라 어떻게 잘 죽을까라고 말했던 것처럼, 그의실종은 오랫동안 계획된 것이었다.

 

다만 남아 있는 문제는주위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그리고 자신도 고통을 받지 않고 죽는 것이었다. 왜냐하면 일본을 대표하는 트로츠키주의자였던 쓰시마 다다유키(對馬忠行·1901~79) 1979년에 머무르고 있던 도쿄의 양로원을 몰래 빠져나와 행방불명됐다가 넉 달 뒤 고베항에서 백골 사체로 발견돼 사회적으로 적지 않은 파장을 불러일으켰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카자키는 스스로의흔적을 남기지 않고 죽는 것이 자신의 과제라고실종전에 지인들에게 흘려 말했었다.

 

오카자키의 자발적인실종을 그가 믿어 의심치 않았던 유물론자로서의 삶과 관련시켜 철학적으로 말하는 사람도 있고, 일본 사회의죽음의 미학으로 설명하는 사람도 있다. 혹은 생활고를 원인으로 드는 사람도 있다. 실제로 그는 70살을 맞이한 1974년에벌어놓은 돈은 없고 신용카드 사용액을 생각하면 살림은 적자다. 유일의 수입원인 <마르크스 엥겔스 전집>이나 <자본론> 인세는 급하게 하강선을 긋고 있다. 뭐라도 하지 않으면 살아갈 수 없는 상태였다고 쓰고 있다.

 

1972년에 발생한 연합적군 사건으로 학생운동이 퇴조하고, 일본 사회는 급격하게 소비사회로 빠져들고 있었다. 또 마르크스주의가 퇴조하고 이를 대신해 포스트구조주의나 포스트모던 이론이 대학가를 뒤덮기 시작했다. 이런 상황에서 마르크스 관련 서적 판매량은 급감했고 이 때문에 인세 수입에 의존하던 오카자키의 살림은 날로 궁핍해졌다. “채권도 채무도 없는 채로 생애를 마치고 싶다는 그의 작은 희망은 실현되기 어려워졌다. 게다가 당연하게도 노화가 그를 괴롭혔다.

 

자신의 죽음을 선택하라던 트로츠키

 

 

레닌은 “55살 이상 사는 것은 큰 죄라고 했던 투르게네프의 말을 자주 인용했다. 샤를 보들레르는 말년에삶은 유쾌하지 않다. 나는 음울한 노년기에 들어섰다고 하면서빨리 죽기를 바란다고 했고, 그는 실제로 50살이 되기도 전에 삶을 마감했다. 예이츠도내가 늙었다는 사실 때문에 피곤하고 미칠 듯 화가 난다고 쓰고 있다.

 

일중독자였던 트로츠키도 항상 노화를 두려워했고 그 때문인지혁명가에게는 자신의 죽음을 자신이 선택할 권리가 있다고 말했다. 트로츠키는 암살자의 손에 비참하게 살해되었지만, 오카자키는 트로츠키의 말대로 스스로 삶을 마감하는 여정에 나섰다.

 

그는 법률적으로 죽었지만, 사상적으로는 아직도여행중이다. 그의 자발적인실종에 딴죽을 걸 이유는 없지만, 그와동행, 혹은동행할 수밖에 없었던 그의 부인구니는 무슨 생각을 했을까?

 

 

권혁태 성공회대 일본학과 교수

 

출처. https://h21.hani.co.kr/arti/world/world/38282.html

 

스스로를 지운 ‘자본론’ 번역자, 그는 지금 어디에

일본에서 유통되는 가장 유력한 두 종류 <자본론>의 번역자 오카자키 지로,<br class="nt"> 말년에 부인과 ‘자살여행’… 법률적으로 죽었지만, 사상적으로는 아직도 ‘여행’ 중

h21.hani.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