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이용마 기자, 부당 해고 당한 이유는?

by 원시 2019. 3. 5.

이용마 기자, 부당 해고 당한 이유는?

발행일시 : 2019-02-24 23:40



사진= 전국언론노동조합 문화방송본부 제공 


<사진= 전국언론노동조합 문화방송본부 제공 >


이용마 기자가 화제다.




서울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박사학위를 취득한 이용마 기자는 1996년 MBC에 입사했다.




2012년 MBC파업 당시 노조 홍보국장을 맡아 170일간 파업을 이끌다 부당 해고 됐다.




부당해고 이유는 이명박 정부 시절 김재철 사장 퇴진 등을 관철시키기 위한 파업과정에서 부당해고를 당했던 것.




이후 이용마 기자는 정권교체 이후인 2017년말 복직됐다.




리영희재단은 그를 공영방송 정상화 투쟁에 대한 공로를 인정, 제 5회 리영희상 수상자로 선정하기도 했다.




한편 이 기자는 현재 복막암 투병 중이다.




윤정희 기자 jhyun@nextdaily.co.kr




이용마


February 6 at 7:46 PM · 


현실




죽고싶다. 엄마 품에 파묻혀 엉엉 소리내어 울고싶다. 이제 육신의 고통에서 그만 벗어나고 싶다고.




살고싶다. 철부지 아이들의 해맑은 얼굴을 보면 차마 떠나기 어렵다. 아이들과 티격태격하며 소소한 행복을 더 느끼고 싶다.




현실. 현실은 두 가지 감정과 거리가 멀다. 잔인할 정도로 냉혹하다. 삶과 죽음의 경계 어디선가 방향도 모른 채 떠돌고 있다. 무중력 상태라 아무리 허우적거려도 소용이 없다.




이용마


February 13 at 8:12 PM ·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다녀갔다. 대통령께 두가지 메시지 전달을 부탁했다.




하나는 소득주도 성장정책 기조를 유지해달라는 것이다. 재벌 중심의 경제체제를 바꾸지 않으면 정권이 아무리 바뀌어도 서민들의 삶은 달라지지 않는다. 재벌과 유착하는 정치엘리트만 바뀔 뿐이다. 박정희 이래 수십년간 지속되어온 경제구조를 바꾸어야 한다. 소득주도 성장정책은 그 초석일 뿐이다. 기득권 세력의 압력과 유혹을 이겨내야 한다. 어렵겠지만 문재인 정부는 그 기초만 깔아도 성공이다.




둘째는 공론화위원회 방식의 국민대표단 제도를 더 활성화해주면 좋겠다. 우선 공영방송 사장 선임과정에 이 제도를 전격 도입해 국민들이 직접 사장을 뽑을수 있게 하면 공영방송 종사자들이 정치권 눈치를 볼일이 없어질 것이다. 나아가서는 검찰총장이나 경찰총장 등 권력기관장들도 모두 청문회를 거친뒤 국민대표단이 뽑도록 법을 바꾸는 것이 좋다. 제왕적 대통령제는 특정인에게 몰린 권한을 분산하고 국민에게 돌려줌으로써 타파될수 있다. 이걸 총리에게 몰아주는 개헌을 해보아야 제왕적 총리제만 만들 뿐이다.




차기 개각때 국민대표단을 뽑아 인사청문회 통과여부를 이들의 의견을 물어 결정하는 것도 방법이다. 이건 법 개정 없이 대통령의 결정으로 그냥 시행하면 된다. 야당이 시비를 걸수는 있겠지만, 적어도 여야가 청문회 결과를 놓고 소모적인 적격, 부적격 논란을 하는 것보다 훨씬 깔끔할 것이다.




이제 이런 의견성 글도 거의 마지막이 아닌가싶다. 온몸의 에너지가 빠져서 머리로 정리하는 것도 쉽지 않다. 생에 대한 의지를 한번도 의심한 적 없는데... 능력과 의지의 한계를 절실히 느낀다.




이용마

January 31 · 

나는 정치학을 전공한 박사지만 경제 문제에 더 관심이 많았다. 아마 외환위기 이후 중대한 경제변동 국면에 2년 동안 경제부를 출입하면서 많은 걸 보고 배웠기 때문일 것이다. 정치와 경제가 분리될 수 없다는 정치경제학적 문제의식도 큰 역할을 했다.




김대중.노무현 정부에서도 한결같이 강조했지만 문재인 정부에서도 가장 중요한 건 경제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이다. 재벌 중심의 현 경제체제를 그대로 두고 기득권 타파를 논하는 건 어불성설이다. 기득권 세력은 지금의 경제체제에서 끊임없이 자양분을 빨아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어느 정권이 들어서든 마찬가지라는 말이 나오는 건 이런 배경에서다.




기득권 세력이 지속적으로 경제적 과실을 독점하는 현 경제체제를 바꾸지 않으면 아무리 '민주적인' 정권이 들어서도 힘을 쓰지 못할 것이고 서민들의 삶은 변하지 않을 것이다. 현 경제체제는 기득권 세력을 뒷받침하는 가장 중요한 물리적 기반이다.




 아주 간단한 예로 자유총연맹이나 재향군인회 같은 관변단체들이 정부나 경제단체의 금전적 지원을 더 이상 받지 못한다면 유지가 가능하겠는가. 자유한국당도 마찬가지다. 회원들의 후원에 100퍼센트 의존하는 참여연대 같은 시민단체와 너무 다르지 않은가.




그렇다고 재벌체제를 해체하자는 얘기는 절대 아니다. 가능하지도 않다. 기득권 세력이 경제적 과실을 독점하는 구조를 바꿔가자는 얘기다. 다행히 시점이 꼭 나쁘지는 않다. 기존 체제를 지탱해온 재벌주도 성장정책이 그 한계를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문재인 정부가 김대중.노무현 정부처럼 중도에 일탈하지 말고 일관된 경제정책을 유지해주기를 바란다. 소득주도 성장정책은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경제체제가 하루아침에 바뀌지는 않는다. 그 과도기의 고통은 불가피할 수 있다. 기득권 세력은 이를 빌미로 온갖 공격을 해올 것이다. 




결국 진정성으로 국민들을 이해시키고 뚫고 나갈 수밖에 없다. 당분간 모든 걸 경제 문제에 걸고 전진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과거 자유주의 시장경제가 대공황과 양차 세계대전을 거친 뒤에야 케인지주의를 수용하며 복지주의 체제로 넘어간 걸 보면 우리나라에서 경제 패러다임의 전환도 힘든 과정을 거쳐야 가능할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