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시계획

서울시 공급 위주 주택 정책 바꿔야 한다. 유동자금 1100조원

by 원시 2018. 11. 3.


다른 산업 발전과 사회경제가 주택건설 자본의 움직임과 연관되어 있다. 유동자금 1100조원을 부동산 투기 현장이 아닌 다른 곳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두번째, 서울 집중화 현상을 막고, 서울의 행정 기능과 교육 기능을 다른 도시로 분산시켜야 한다. 서울로 사람들이 몰려들고 난 이후, 경제 정치 문화 교육 권력이 막강해지면, 주택 부동산 가격은 상승하기 쉽다. 

주택 공급 위주 정책은 현재 서울시의 정치 경제 문화 교육 권력을 바꾸지 않고서는 실효성이 현격히 떨어진다. 언발에 오줌누기식이다.



뉴스 > 부동산

부동산 ‘그들만의 리그’ 심화된다…유동자금 1100조 어디로?

퇴로 못찾는 시중 유동자금…집값 최대 변수


최서우 기자 입력 : 2018-11-02 19:53수정 : 2018-11-02 20:46

SNS 공유하기

 


<앵커>

보신 것처럼 그동안 집값이 많이 올랐던 지역을 중심으로 분위기가 빠르게 가라앉고 있습니다.


얼마나 더 떨어질지, 언제까지 이 분위기가 이어질지 궁금한데요.


최서우 기자와 관련 내용을 좀 더 짚어보겠습니다.


최 기자, 서울 주요 지역 집값이 이번주 하락으로 돌아선 것이 확인됐는데, 본격적인 하락세가 시작됐다고 볼 수 있는 건가요?


<기자>

대세 하락을 단정하기엔 이른감이 있지만, 분위기는 확실히 달라졌습니다.


한국감정원이나 부동산 정보업체가 매주 주택가격 동향 통계를 내놓는데, 최근 강남 집값이 꺾였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호가를 낮춘 매물이 늘었고, 매도자 절대우위였던 시장 분위기도 달라졌습니다.


다만, 그동안 서울에 비해 상대적으로 집값이 안 올랐던 수도권 지역은 집값 격차를 줄이는 이른바 '갭메우기' 현상이 국지적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앵커>

이같은 흐름 변화를 단기간에 집값이 많이 올랐으니, 숨고르기에 들어간 것으로 봐야할까요.


정부 대책 효과로 봐야될까요?


<기자>

대책 효과만으로 해석하기엔 복합적인 요인이 얽혀있습니다.


분명한 건 정부 대책중 대출 규제는 시장에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효과를 낼 것이란 겁니다.


여기에 전반적인 경기 하강 국면과 기정사실화된 금리 인상이란 변수도 매수 심리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앵커>

대출 규제에 구애받지 않는 유동자금이 풍부하다는 점은 여전히 변수로 꼽히고 있는데요?


<기자>

시중에 풀려있는 유동자금이 1100조 원인데, 내년에 풀릴 토지보상비 규모도 20조 원이 넘습니다.


증시 등 금융시장 전망이 어두운 상황에서 별다른 퇴로가 없다면 시중 유동 자금은 여전히 부동산 시장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큽니다.


다만, 이런 큰손들이 움직여도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예전보다 제한적일 가능성이 큽니다.


증시에서도 기관투자자나 외국인 등 큰손이 움직이고 개인들이 뒤따라가면서 시장 움직임이 결정되는데, 지금 부동산 시장에선 상당수 투자수요가 대출에 손발이 묶여서 운신의 폭이 제한되기 때문입니다.


<앵커>

시중 유동 자금이 부동산 시장으로 유입된다면 언제, 어디로 움직일 가능성이 클까요?


<기자>

오늘(2일) 제가 통화한 전문가들 얘기를 종합해보면 시점은 내년 상반기 이후, 지역은 결국 서울로 좁혀집니다.


최소한 연말까지는 현재 분위기가 당분간 이어진다는 얘기가 됩니다.


정부가 발표 예정인 신도시 계획이 주로 수도권 위주고 서울시가 발표한 공급 계획은 물량도 한계가 있고 현실화되기까지 시간도 꽤 걸립니다.


서울의 주택 공급부족이 해결되지 않는 한, 풍부한 시중 유동자금은 서울 집값 불안의 가장 큰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큽니다.


<앵커>

잘 들었습니다. 

입력 : 2018-11-02 19:53 ㅣ 수정 : 2018-11-02 20:46


http://sbscnbc.sbs.co.kr/read.jsp?pmArticleId=1000091985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