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_언어_languages/Chinese_한자4

유복(裕福)과 유복(有福) 구별 유복(裕福 유푸...) - 살림이 넉넉하다. 유복한 집안. 넉넉하다 (유). 형성문자 (옷 의 + 계곡 곡 ) 너그럽다 tolerant, liberal (유관) 복 구성. 보일 시 + 찰복 유복(有福) - 불우하다 반대말. 행운이나 복이 있다. 2024. 1. 8.
윤석열 표현법 '성과를 거양하다 擧揚 = 성과를 올리다' 우리말 표현법. 한자어와 우리말. "이번 순방에서 그래도 많은 성과를 저는 거양했다고 생각합니다" 거양하다. 들어올리다라는 뜻으로 씀. 보통 우리말 표현으로는 '성과를 올리다' 이렇게 쓰는데, 들어 올리다라는 한자어로 '거양'하다를 쓰다. 거양하다 擧揚하다 [거ː양하다] -높이 들어 올리다. - 칭찬하여 높이다. 거국적으로 정치를 하다. (거국: 온 나라, 국민 모두) 거동 (옛날 왕이 궁 바깥으로 나가는 일. 행동 거지) 거론하다 거사 (혁명, 반란 등을 일으킴) 거양하다 = 칭찬하다. 2022. 10. 4.
중국 , 조선족 유래 소개. 한복 - 소수 민족 의복. 토가족과 조선족 도안 화폐 1987년 발행. 중국 조선족, 중국의 56개 소수 민족 중에 하나이다. 중국 내부 조선족. 180만. 중국 동북 지역에 거주. 길림, 흑룡강, 요령 (遼寧,辽宁 라오닝) 3개 지역에 주로 거주한다. 1990년대 전에는, 조선족들은 주로 흑룡강, 길림, 요령 3개 성에 분포되어 있었다. 헤이롱쟝, 지린, 라오닝. 비록 조선족이 3개 성에 주로 거주했지만, 약 30퍼센트 조선족은 북경, 상해, 항주, 성도, 제남, 서안, 무한을 비롯 대도시,중도시에 거주했다. 조선족의 50%는 지금 한국(남한)에 살고 있다. 길림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이고, 조선말과 문자를 사용하고 있다. 대부분 조선족은 중국어와 조선말을 다 사용한다. Tibet (서장 자치구 西藏自治区) 에도 1천명 미만 조선족이 거주하고 있다. 1990년대 이전에는, .. 2022. 2. 6.
한국어 명사, 중국 단어와 한국 단어 공통점과 차이 ? commune 공국, communism 공산주의 우리말 명사 유래- 어디서 빌어왔는가? 그리고 어떻게 우리말을 만들어 낼 것인가? 중국어는 그 뿌리가 그림 언어 (pictorial language)이고, 한국어는 소리, 음성, 표음문자 (phonetic language:表音)이다. 우리말 명사 유래: 어디서 빌어왔는가? 중국어는 그 뿌리가 그림 언어 (pictorial language)이고, 한국어는 소리, 음성, 표음문자 (phonetic language:表音)이다. 어린시절 한자를 배울 때는 상형과 그림을 포함 6가지 한자 조어 원리가 있다고 했다. 그 당시만에 해도 우리말과 한자 혹은 중국어의 차이를 알 지 못한 채, 천자문을 그리고 외우고 그랬다. 1. Democracy . 우리가 가장 많이 쓰는 단어 중에 하나가 민주주의라는 명사이다. 중국어.. 2018. 3. 25.
반응형